• 제목/요약/키워드: Camellia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7초

알로에(蘆회), 녹차(綠茶), 꿀(蜂蜜)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pigmentation Effects of Aloe, Camellia sinensis and Mel)

  • 한은정;이길영;김혜정;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5-163
    • /
    • 200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pigmentation effects of Aloe, Camellia sinensis and Mel. Methods :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melanin production & melanoma cell viability in cultured B16 melanoma cells, UV screen and cyt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were measured. Results : Aloe has som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on the other hand Camellia sinensis and Mel do not have. They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melanoma cell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Aloe and Camellia sinensis have some inhibitory effects on UV scree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loe and Camellia sinensis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external application have some depigmentation effects. Following this, We should use them for whitening agents and the depigmentation effects of the other natural subjects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external application should be examined.

  • PDF

동백나무 숲의 생육현황 및 토양환경 분석 - 전라도 지방 천연기념물 동백나무 숲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Growth Status and Soil Environment in Camellia japonica L. Forest at Jeolla-province Natural Monuments)

  • 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1
    • /
    • 2013
  • 본 논문은 천연기념물 수림지 조사연구의 결과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백나무 숲의 입지환경과 생육환경과 토양환경을 조사하고, 동백나무 숲에 토양이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천연기념물 동백나무 숲의 입지환경은 산록부의 계곡 또는 하천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조량이 많은 남동향, 동향, 남향을 주향으로 하고 있어 외부 환경요인에 의한 입지조건은 양호하나, $15{\sim}30^{\circ}$의 경사지에 분포하여 경사에 의한 토양유실의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동백나무 숲의 생육현황은 이령림 경급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층의 임목밀도가 높아 하층에 발생된 동백나무 치수의 생장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수관폭이 좁은 피압목이 발생되어, 평균 수고는 8.09m로, 일반적인 동백나무의 수고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수관폭 분포는 경급 내 변이가 심하여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천연기념물 동백나무 숲의 토양성분은 토성, 토양산도 등 10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종합하면 토성, 토양산도, 칼슘, 유기물, 마그네슘 함량은 양호하였고, 칼륨은 부족하였으며, 질소와 인산은 과잉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동백나무 숲의 생육상태와 토양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그네슘과 칼슘 및 질소전량에 한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이 동백나무 숲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칼슘, 질소전량의 항목을 제외한 7가지 항목은 동백나무 숲의 생육에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동백나무 숲의 생육현황과 토양과의 관계 및 토양환경뿐만 아니라, 동백나무 숲의 생육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된 동백나무 숲의 보전과 현황자료 구축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during fermentation)

  • 고은혜;박은미;김민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35-23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0, 1, 2, 및 4% (w/v)의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막걸리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그리고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첨가 결과 DPPH, hydrogen peroxide, nitric oxide 및 superoxide onion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사료된다.

국내 자생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Native Camellia japonica in Korea)

  • 이숙영;김선민;황은주;표병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4-322
    • /
    • 2004
  • 동백나무의 잎과 꽃의 식용자원화를 위한 일환으로서 동백의 부위별 성분분석, DPPH radical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 및 항미생물 활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꽃과 어린 잎 부위에서 70% 이상의 함유율을 보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꽃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3%이상이었으며, 지방 함량은 씨부위에서 23.08%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회분의 함량은 수피 부위에서 2.97%와 탄수화물의 함량은 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어린잎(RC$_{50}$=30.37$\mu\textrm{g}$/mL), 꽃봉오리 (RC$_{50}$=52.97$\mu\textrm{g}$/mL)와 꽃(RC$_{50}$=59.48 $\mu\textrm{g}$/mL)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RC$_{50}$ 값이 584.04$\mu\textrm{g}$/mL의 활성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백을 각 부위별로 추출하여 병원성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 등 4균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검토한 결과, 동백의 수피 부위가 P. vulgaris와 B. subtilis에 대한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어린잎은 C. albicans와 T. beigelii 모두에 대하여 매우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

영지, 녹차 및 구기자 물 추출물이 호도 지방질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Camellia sinensis and Lycii fructus on the Lipid Stability of Walnut)

  • 이숙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3-338
    • /
    • 1999
  • 호도에 4。Bx의 영지, 녹차 및 구기자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저장 안전성을 조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Bx로 제조한 천연 첨가물의 종류가 호도의 AV와 POV에 미치는 영향은 구기자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영지<녹차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저장기간 2개월까지 첨가물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첨가물에 의한 항산화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영지 첨가 시 2개월, 녹차 첨가 시 4개월, 구기자 첨가 시 8개월 연장하여 권장유통기간을 설정하여도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2. 4。Bx의 구기자는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이 있어 호도의 저장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의 항산화 및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In vitro antioxidant property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ing activities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extracts)

  • 박은미;김민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41-244
    • /
    • 2017
  •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컬 소거능, 철이온 킬레이팅과 환원력 시험을 통해 조사한 결과,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alpha}$-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능 또한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이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제주 동백 나무 겨우살이의 메탄올 및 에탄올 추출물을 건강기능 의약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Floral Visitors and Nectar Secretion of the Japanese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 Rho, Jeong-Rae;Choe, Chun-Cho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2호
    • /
    • pp.123-125
    • /
    • 2003
  • We studied the nectar secretion of the Japanese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an evergreen tree and observed its floral visitors during the day. The mean volume of nectar secreted, during daylight (08:31 to 16:30 h) was 30.26$\pm8,29ml$ (SD) (n = 27). During the late afternoon and overnight (16:31 to 08:30 following day), 100.54$\pm54.85$(n = 27) of nectar was secreted. Total volume measured when flowers were sampled once every two hours for an eight-hour period was approximately one-half the volume which was measured when the flowers were sampled only once after eight hours. The mean nectar volume secreted was 8.55$\pm8.3ml$(n = 30) between 08:31 to 10:30, 4.38$\pm$6.1 ml (n = 30) between 10:31 to 12:30, 4.6$\pm5.4ml$(n = 30) between 12;31 to 14:30, and 4.02$\pm3.5ml$(n = 30) between 14:31 to 16:30 hours. During the day, Japanese Camellia flowers were principally visited by the Japanese white-eye (Zosterops erythropleura erythropleura 5.), a native bird, although insects and squirrels also visited to a lesser degree.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II ) - 金鰲列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Kum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343-359
    • /
    • 1990
  •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forest vegeation was carried out in Kumo archipelago at the period of May 21th 1990 to May 29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Pin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Torreya nucifera, Carpinus corean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s were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A New Furocoumarin from the Leaves of Camellia sinensis(L.) O. Kuntze

  • Banerjee, Jayashree;Ganguly, S.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11-13
    • /
    • 1997
  •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defatted tender leaf of Camellia sinensis a new 4-hydroxy angular furocoumarin $C_{12}H_8O_5$, m.p. $212^{\circ}C$, was isolated using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ic technique.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established as 4-hydroxy-2'-methoxy angular furocoumarin on the basis of physical methods viz. $^1H$ NMR, $^{13}C$ NMR and MS.

  • PDF

동백 발효 추출물 단기 투여의 활성에 대한 연구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Fermented 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 김형우;이근진;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5-62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fermented 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Methods : Methanol extracts of fermented 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were prepared and a dose of 100 and 400mg/kg/day was administered orally into mice. And after appropriate weeks, changes of serum enzym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its effects on serum glucose, cholesterol and short term administration safety. Results : Fermented flower extrac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serum level of cholesterol. And showed no toxicity on kidney and liver within the dose of 400mg/kg/day. Conclusion : Thus above result showed no toxicity on kidney and liver in male and female m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