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 Contrast Ag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Bacterial Stringent Signal Directs Virulence and Survival in Vibrio cholerae.

  • Oh, Young Taek;Kim, Hwa Young;Yoon, Sang S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
    • /
    • 2019
  • The stringent response (SR) is characterized as a bacterial defense mechanism in response to various growth-inhibiting stresses. It is activated by accumulation of a small nucleotide regulator, (p)ppGpp, and induces global changes in bacterial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Recent work from our group has shown that (p)ppGpp plays a critical role in virulence and survival in Vibrio cholerae. The genes, relA and relV, a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p)ppGpp, while the spoT gene encodes an enzyme that hydrolyzes it in V. cholerae. A mutant strain defective in (p)ppGpp production (i.e. ${\Delta}relA{\Delta}relV{\Delta}spoT$ mutant) lost the ability to produce cholera toxin (CT) and lost their viability due to uncontrolled production of organic acids, when grown with extra glucose. In contrast, the ${\Delta}relA{\Delta}spoT$ mutant, a (p)ppGpp overproducer strain, produced enhanced level of CT and exhibited better growth in glucose supplemented media via glucose metabolic switch from organic fermentation to acetoin, a neutral fermentation end product, fermentation. These findings indicates that (p)ppGpp, in addition to its well-known role as a SR mediator, positively regulates CT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growth fitness in V. cholerae. This implicates SR as a promising drug target, inhibition of which may possibly downregulate V. cholerae virulence and survival fitness. Therefore, we screened a chemical library and identified a compound that induces medium acidification (termed iMAC) and thereby loss of wild type V. cholerae viability under glucose-rich conditions. Further, we present a potential mechanism by which the compound inhibits (p)ppGpp accumulatio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AC treatment causes V. cholerae cells to produce significantly less (p)ppGpp, an important regulator of the bacterial virulence and survival response, and further suggesting that it has a therapeutic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novel antibacterial agent against cholera.

  • PDF

랫트에서 Chitosan-Trimer가 복강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Trimer o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Rats)

  • Kwon, Eun-ju;Jang, Kwang-ho;Jang, I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7-264
    • /
    • 2001
  • 복강 내 유착은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된 복막의 손상으로 장막표면의 염증반응을 일으켜 창상조직의 혈관투과성이 증가하여 많은 장액성 혈액삼출물이 생산되고, 이 혈액삼출물내의 fibrin이 제거되지 않으면 초기섬유소성 유착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착방지는 섬유소성 부착물의 정상적인 용해를 방해하는 인자들과 관계가 있다. Chitosan은 poly-$\beta$(1$\longrightarrow$4)-D-glucosamine으로 chitin을 탈아세틸화시킨 것으로 복강유착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Hyaluronic acid(HA)와 구조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쥐에서 회장에 유착을 유도한 후 PBS (control group), 1% Chitosan Trimer (CT, 1% CT group), 3% CT (3% group), chitin (chitin group)을 복강내 주입하여서 10일 뒤에 유착방지효과, 유착발생정도, 조직검사, 혈액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총백혈구수, 총적혈구수, PCV, PLT, Total protein은 전군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검사상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 CT군은 다른 군에 비해 Fibrosis와 염증반응정도에 대한 점수가 낮았다. 혈장섬유소원은 전군에서 수술 후 증가하였으나 3% CT군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율이 낮아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막 (60%), 장막-장간막 (13.3%), 장막-고환쪽 결합조직 (10%), 대망-간 (10%), 장막-대망 (3.3%), 장막-맹장3 (3.3%)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3% CT군이 62.2% 로 대조군 97.7%, 1% CT군 81.8%, chitin군 93.3%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유착 형성은 대조군, 1% CT, 3% CT 및 chitin 투여군에서 각각 2.07$\pm$0.81, 1.03$\pm$0.63, 0.64$\pm$0.53 및 1.67$\pm$0.71로 3% CT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0.001).

  • PDF

68Ga-BAPEN 소동물 PET영상 연구 (Small Animal PET Imaging Study of 68Ga-BAPEN)

  • 김지후;이재성;양보연;김수진;김중현;정재민;이동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4호
    • /
    • pp.172-1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동물의 심근에서 $^{68}Ga$-BAPEN PET 영상분석을 통해 심혈 영상 추적자로서의 적용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소동물용 PET/CT에서 쥐 9마리를 대상으로 120분간의 $^{68}Ga$-BAPEN PET/CT 스캔을 시행하였다. 특별히 킷트를 통해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68}Ga$-BAPEN을 합성이 가능하였다. PET 영상은 쥐의 몸통부분에서 $^{68}Ga$-BAPEN의 생체 동적분포를 나타낸다. $^{68}Ga$-BAPEN PET 영상은 처음 수분간 대동맥과 간에서의 섭취가 나타났고 점차 심근에서의 섭취가 이루어졌다. 관심영역은 좌심근, 심혈, 폐, 간에 그렸고 시간-방사능 곡선을 얻었다.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68}Ga$-BAPEN이 쥐 심근에 잘 결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정확한 약동학적 파라미터 도출을 위한 최소 PET 스캔시간은 타장 기와의 영상 대조도가 일정비에 이르는 주사 후 60분이 적합하였다. 이때 심근의 섭취를 심혈, 간, 폐에서의 섭취로 나누어 얻은 영상 대조도는 각각 1.66, 0.60, 2.82였다. 결론적으로 $^{68}Ga$-BAPEN은 심근 혈류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추적자로서 적합하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임상에서의 진단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Head and neck extra nodal NHL (HNENL) - Treatment Outcome and Pattern of failure -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Giridhar, Prashanth;Mallick, Supriya;Bhasker, Suman;Pathy, Sushmita;Mohanti, Bidhu Kalyan;Biswas, Ahitagni;Sharma, At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267-6272
    • /
    • 2015
  • Background: Extra nodal lymphoma (ENL) constitutes about 33 % of all non-Hodgkin's lymphoma. 18-28% develops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 multimodality treatment with multi-agent chemotherapy (CT) and radiotherapy (RT) is considered optimu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ieved the treatment charts of patients of HNENL treated in our institute from 2001-2012. The charts were reviewed and the demographic, treatment details and outcome of HNENL patients were retrieved using predesigned pro-forma. Results: We retrieved data of 75consecutive patients HNENL. Median age was 47years (Range: 8-76 years). Of the 75 patients 51 were male and 24 were female. 55patients were evaluable. The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in Table 1. All patients were staged comprehensively with contrast enhanced computed tomography of head, neck, thorax, abdomen, pelvis and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66 patients received a combination multi-agent CT with CHOP being the commonest regimen. 42 patients received 4 or lesser number of cycles of chemotherapy whereas 24received more than 4 cycles chemotherapy. Post radiotherapy, 41 out of 42 patients had a complete response at 3 months. Only 21patients had a complete response after chemotherapy. All patients received radiation (mostly involved field radiation) as a part of the treatment.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45 Gray (Range: 36 Gray-50 Gray). The radiation was planned by 2D fluoro simulation based technique in 37cases and by 3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in 36 cases. Two patients were planned by the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technique. IMRT was planned for one thyroid and one nasal cavity primary. 5 patients experienced relapse after a median follow up of 19 months. The median survival was not reached. The estimated two and three year survival were 92.9% (95%CI- 68.6- 95.35) and 88% (95%CI- 60.82 - 92.66) respectively.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higher stage and poorer baseline performance status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se progression free survival. 5 patients progressed (relapse or primary disease progression) after treatment. Of the 5 patients, two patients were primary orbital NHL, two patients had NHL nasal cavity and one was NHL thyroid. Conclusions: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 HNENL confers excellent disease control with acceptable side effects.

3D 프린터로 제작된 CT 팬톰을 이용한 물리적 관심영역과 설정 관심영역의 크기에 따른 하운스필드의 비교 (Comparison of Hounsfield Units by Changing in Size of Physical Area and Setting Size o f Region o f Interest b y Using the CT Phantom Made with a 3D Printer)

  • 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421-4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dimension, D) 프린터로 자체 제작한 팬톰을 이용하여 관전압과 관전류량 변화 중심으로 균일한 조직의 물리적 영역 크기 변화에 의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와 설정치 영역 크기 변화에 의한 ROI 내에서의 하운스필드(hounsfield units, HU)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단면영상과 HU를 획득하기 위해 4-다중 검출기 전산화단층영상장비를 이용하였다. 팬톰 제작은 용융적층조형술(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프린팅 방식의 3D 프린터 기기를 사용하였다. 팬톰의 구조는 $160{\times}160{\times}50mm$의 원통형으로 33 mm, 24 mm, 19 mm, 16 mm, 9 mm 크기의 원형 구멍을 대칭되도록 두 쌍으로 설계하였다. 구멍에는 증류수를 혼합한 조영제를 충전하였다. X선의 관전압과 관전류량는 각각 90 kVp, 120 kVp, 140 kVp 그리고 50 mAs, 100 mAs, 150 mAs로 변화시켜 단면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의 ROI 내 HU 측정은 image J 프로그램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관전류량보다는 관전압이 HU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일한 밀도를 갖는 물질이라도 물리적 영역 크기가 작아질수록 HU는 감소하였으며 ROI 설정 영역 크기가 작아질수록 HU는 증가하여 HU가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5 HU 이내의 노이즈 수준에서 ROI를 최대한 크게 설정하는 것이 물리적 영역 크기와 ROI 설정 영역 크기에 의한 변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개에서 발생한 십이지장 샘암종 (Imaging Features of Duodenal Adenocarcinoma in a Dog)

  • 정미애;이민수;이인혜;이아라;박수원;임채영;박희명;엄기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3-599
    • /
    • 2010
  • 7년령의 중성화한 수컷 Basset hound 가 식욕부진, 체중 감소, 혈변, 구토의 증상을 4개월 동안 보이며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상, 소적혈구성, 저색소성 빈혈을 보였으며, 그 외 임상검사 소견은 정상이었다. 방사선 단순 촬영 시연부 조직 음영이 증가 된 것을 우측 상복부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는 내림 십이지장의 벽이 전반적으로 비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검을 통해 조직의 만성 염증 소견과 점막밑까지 침투되어있는 증식된 점막과 다수의 작은 샘과 같은 구조들을 확인하였고, 장샘암종을 확진 하였다. 13개월 동안의 대증치료 후에 환자는 폐사하였다. 본 증례는 개에서 드문 십이지장 샘암종의 임상학적, 영상진단학적, 조직병리학적 검사와 그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높은 안정성을 갖는 초미립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 (Ultrasmall Polyethyleneimine-Gold Nanoparticles with High Stability)

  • 김은정;염정현;김한도;이세근;이가현;이현주;한상익;최진현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61-165
    • /
    • 2011
  • 본 연구는 수계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안정한 생체적합 금 나노업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환원제와 안정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용해 응집성이 낮은 초미립 폴리에틸렌이민 금 나노입자를 상온의 수용액 상에서 합성하였다. 폴리에틸렌이민 금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크기는 8~12 nm이었고, 수계의 나노콜로이드 %에서 50nm 내외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였으며, 매우 뛰어난 안정성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금속 전구체의 농도에서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을 때, 입자의 크기가 두드러지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의 X-선 회절분석 결과, 금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결정 피크가 발견되었다. 또한 세포배양실험 결과, 폴리에틸렌이민과는 달리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는 98%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합성된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는 CT 조영제 등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전골반 강도변조방사선치료에 의한 급성부작용 (Intensity Modulated Whole Pelv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x Cancer: Analysis of Acute Toxicity)

  • 최영민;이형식;허원주;차문석;김현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48-254
    • /
    • 2006
  • 목 적: 자궁경부암으로 전골반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급성부작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동아대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전골반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를 대상하였다. 정맥 조영제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촬영을 하였다. 중심부위 임상표적체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에는 원발병소, 자궁, 질, 자궁방조직 등을 포함하였고, 림프절 CTV는 1 cm 이상의 림프절과 조영제로 확인된 골반부위 혈관으로 정하였다.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은 중심부위 CTV로부터 1 cm 여유를 추가한 용적으로 정하였는데, 질의 후면으로부터는 5 mm의 여유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림프절 CTV로부터 1.5 cm 여유를 추가하여 PTV에 포함시켰다. PTV의 95% 이상에 50 Gy의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계획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60일 동안의 급성부작용을 공통독성기준(common toxicity criteri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급성 위장관부작용으로 1도의 오심, 1도 및 2도의 설사가 각각 10 (58.9%), 11 (64.7%), 1 (5.9%)명에서 각각 발생되었으나, 3도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혈액학적 부작용으로는 백혈구감소증, 빈혈, 혈소판감소증 등이 각각 15 (88.2%), 7 (41.2%), 2 (11.8%)명에서 발생되었으나, 3도 이상의 부작용은 백혈구감소증에서만 2명(11.8%)에서 발생되었다. 3도의 백혈구감소증이 발생된 환자들은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였다. 결 론: 자궁경부암에 대한 전골반 방사선치료에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이용함으로써 중등도 이상의 급성부작용을 감소시켜 치료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