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_{2}$

검색결과 2,581건 처리시간 0.031초

멀티채널에서의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 연구 (Optimal Incentives for Customer Satisfaction in Multi-channel Setting)

  • 김현식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1호
    • /
    • pp.25-47
    • /
    • 2010
  • 고객만족제고에 관심을 기울이고 노력을 경주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유통업자들에게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고객만족노력을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노력 역시 활발해 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상호 경쟁하는 멀티채널을 운용하는 기업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고객만족제고방안에 관한 연구는 종업원이나 단일유통업자 등단일주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을 뿐 경쟁이 발생하는 멀티채널 상황에서의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게임이론에 기반한 수리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멀티채널을 운용하는 기업의 고객만족제고방안에 주안점을 두어 제조업자가 두 유통업자를 운용하는 멀티채널 모형을 상정하여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를 어떻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명성수준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2)멀티채널 사이의 보완적 외부효과가 클수록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3)유통비용이 클수록 멀티채널에서의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의 수준은 낮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채널간 경쟁강도가 높을수록 고객만족제고 인센티브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방선균(Nocardia sp. CS682) 발효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면역글로불린 및 소장내 미생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ry Actinomycetes (Nocardia sp. CS682) Ferment on the Laying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Immunoglobulin and Small Intestinal Microflora Contents in Laying Hens)

  • 이아름;신동훈;김찬호;정병윤;유진철;홍영호;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9-69
    • /
    • 2011
  • 본 연구는 방선균 목 노카르디아 종 CS682 균주의 발효물 CS682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제품 DSC682$^{(R)}$를 산란계에게 급여 시 산란 생산성, 난품질, 혈액 성상, 소장 내 미생물, 면역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은 Hy-Line Brown$^{(R)}$ 갈색 산란계로 실시하였는데, 실험 1은 86주령, 실험 2는 26주령의 실험계를 2단 4열 2수 케이지에 수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1은 대조구, 항생제구(avilamycin 6 ppm), CS 682-0.1(CS682 0.1%), CS682-1.0(CS682 1.0% 첨가) 등 4 처리였으며, 5반복, 반복당 24수(12케이지), 총 480수로 실시하였고, 실험2는대조구, 항생제구(avilamycin 6 ppm), DCS682-0.05(DCS682$^{(R)}$ 0.05%), DSC682-0.1(DCS682$^{(R)}$ 0.1%), 그리고 DCS682-0.2(DCS682$^{(R)}$ 0.2% 첨가) 등 5처리였으며 5반복, 반복당 40수(20케이지), 총 1,000수로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산란율, 난중, 연 파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 전환율 등 산란 생산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난품질에서 난각 강도는 항생제구와 CSC682 처리구들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난황색은 CSC682-1.0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는 산란 생산성에서 사료 섭취량이 DCS682-0.05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난각색에서 Hunter Lab color L(Lightness) 즉 밝기가 항생제구와 DCS682 처리구들이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난황색은 DCS682-0.1~0.2구들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Haugh unit은 항생제구와 DCS682-0.1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실험 1과 2에서 혈장 면역글로부린(IgG, IgA) 및 난황 면역그로부린(IgY)의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1에서 erythrocytes 중 평균 적혈구 용적(MCV)은 대조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MCH)은 항생제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는 leukocytes 중 단핵구(MO)에서 대조구와 DCS682-0.05구가 유의적으로(p<0.05 또는 0.01) 높았다. 실험 1에서 C. perfringens수는 항생제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S. typhimurium수는 유의적으로(p<0.05) 차이가 있었는데 항생제구가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CS682 처리구들이었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 Universal bacteria, Lactobacillus 그리고 E. coli의 수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Lactobacillus 수가 DCS682-0.05와 DCS682-0.1구들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다음으로 대조구와 DCS682-0.2 첨가구였으며 항생제구가 가장 낮았다. C. perfringens 수는 항생제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S. Typhimurium은 처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가 있었는데 항생제구가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DCS682-0.2이었으며, DCS682-0.05와 0.1구들은 대조구보다는 낮았으나 유의한(p<0.05)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CS682 0.1% 또는 DCS682 0.1~0.2% 첨가는 난각 강도, 난황색, 난각색, Haugh unit를 개선시키고, 소장 내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LaCl3-CsCl 2성분계 용융염의 점도 (Viscosities of LaCl3-CsCl Binary Melts)

  • 김기호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7-92
    • /
    • 2013
  • Viscosities of $LaCl_3$-CsCl binary melts were measured by the capillary method over the range of their liquidus temperatures to about 1200 K. The cell constant were determined by using pure wate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Viscosities of melted $LaCl_3$ were decreased with the content of CsCl for all over the composition range of binary melts. Composition versus viscosity relation for the binary melt showed a non-linear relationship from the additivity line and the deviations showed a maximum value at about 60 mol% CsCl. This suggest the existence of the complex ion of $LaCl_4{^-}$ in the melt. Activation energy for the viscous flow of the binary melts decreased monotonously with the increasing content of CsCl after a few increasement till 40 mol% CsCl. All of these results were the resemble with the viscosities of $LaCl_3$-NaCl binary melts.

양자화 제한 집합에 기초한 컴프레시브 센싱 복구 (Compressive Sensing Reconstruction Based on the Quantization Constraint Sets)

  • 김동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5호
    • /
    • pp.8-1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컴프레시브 센싱(compressive sensing, CS)에서 양자화된 측정을 사용하여 CS 복구(reconstruction)를 하는 경우에 일반화된 양자화 제한(generalized quantization constraint, GQC) 집합을 사용하여 convex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GQC에서는 기존의 양자화 제한 집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균일 스칼라 양자기를 사용한 CS 복구의 모의실험을 통하여 m/klogn > 2 인 CS 문제에서, 기존의 QC 방법에 비하여 CS 복구의 에러에서 3.4-3.6dB의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Cs^+$$Sr^{2+}$ 이온의 제거 (Removal of $Cs^+$ and $Sr^{2+}$ Ions by Natural Zeolites)

  • 김덕수;박재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47-356
    • /
    • 1993
  • The three natural zeolites collected in Yungil-gun, Kyungsangbuk-do, Korea, were analyzed by means of chemical wet methods and X-ray diffr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imary species of those zeolites were clinoptilolite mixed with heulandite, feldspar, montmorillonite, and quartz. These zeolites were chemically treated with NaOH, $\textrm{Ca(OH)}_2$, and HCl solution and their differences were also studied with X-ray diffraction method. The capabilities of removing $Cs^+$ and Sr^{2+}$ ions with chemically untreated zeolites, chemically treated zeolites, and also with synthetic zeolites were compared. The effect of other cations in removing Sr^{2+}$ ions was also studi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Cs^+$ and Sr^{2+}$ ions could be removed up to 98% and 95% respectively out of 5 ppm with chemically untrearted natural zeolites. The treatment of 0.02N-$\textrm{Ca(OH)}_2$ and that of 2N-NaOH were most effective In removing $Cs^+$ and Sr^{2+}$ ion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mountaintop of Sangjung 1-dong natural zeolite treated with 2N-NaOH was most efficient in removing Sr^{2+}$ ions mixed with other cations, compared with any other chemically treated and untreated natural zeolites in this work.

  • PDF

답토양(畓土壤)에서 Cesium-137 흡(吸)·탈착(脫着)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Cs137 from Paddy Soil)

  • 김재성;임수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1
    • /
    • 1986
  • 원자력시설(原子力施設)에서 방출(放出)될 수 있는 장반감기핵종중(長半減期核種中)의 하나인 $Cs^{137}$을 5개 답토양(畓土壤)에 처리(處理)하여 토양중(土壤中)에서의 흡(吸) 탈착상태(脫着狀態)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s^{137}$은 토양(土壤)에 다량(多量) 흡착(吸着)되며 치환성형태(置換性形態)의 탈착량(脫着量)은 K첨가에 따라서는 감소(減少)하였고, $Cs^{137}$ 처리량(處理量)의 증가에 따라서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치환성형태의 탈착량(脫着量)은 수용성(水溶性)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2. 토양(土壤)에 첨가된 $Cs^{137}$의 존재형태(存在形態)는 토양(土壤)에 따라서 차이(差異)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수용성(水溶性)이 5.9%, 치환성(置換性)이 17.1%, 비치환성(非置換性)이 77.0%로 나타났다. 3. 토양(土壤)에 흡착(吸着)된 $Cs^{137}$의 수용성(水溶性) 및 치환성탈착량(置換性脫着量)은 토양(土壤)pH와 치환성 염기함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유기물과 점토함량(粘土含量)의 증가에 따라서는 증가하였다. 4. 토양(土壤)에 흡착(吸着)된 $Cs^{137}$은 Illite와 Vermiculite가 많은 토양(土壤)에서 비치환성형태(非置換性形態)로의 흡착(吸着)이 많았다.

  • PDF

석탄비산재로 합성한 제올라이트 X에 의한 수중의 Cs 이온 흡착에 반응표면분석법 적용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on Adsorption of Cs Ion in Aqueous Solution with Zeolite X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 이창한;이민규
    • 청정기술
    • /
    • 제23권4호
    • /
    • pp.413-420
    • /
    • 2017
  •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비산재로부터 합성한 제올라이트 X를 이용한 Cs 흡착의 회분식 실험 및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Cs 흡착 실험에 적용된 회귀 방정식은 반응변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었다. 결정계수($r^2$)가 0.9630으로서 이 모델은 높은 상관성을 가졌다. pH > Cs 농도 > 온도와 같은 실험적 요인의 순서로 Cs의 제거효율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통계적인 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흡착속도는 유사 2차 모델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표현되었다. Langmuir 등온선 모델로부터 계산된 최대 흡착용량은 293 K에서 $151.52mg\;g^{-1}$이었다. 또한, Vant Hoff 식에 의해 계산된 열역학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흡착반응이 흡열반응이며, 자발적인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ynthesis of Polyamine Grafted Chitosan Copolymer and Evaluation of Its Corrosion Inhibition Performance

  • Li, Heping;Li, Hui;Liu, Yi;Huang, Xiaohua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42-147
    • /
    • 2015
  • Two new chitosan derivatives, polyamine grafted chitosan copolymers have been synthesized for corrosion protection of carbon steel in acidic medium. First, methyl acrylate graft chitosan copolymer (CS-MAA)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chitosan (CS) and methyl acrylate (MAA) via the Michael addition reaction. Then, CS-MAA was reacted with ethylene diamine (EN) and triethylene tetramine (TN) respectively to synthesize ethylene diamine grafted chitosan copolymer (CS-MAA-EN) and triethylene tetramine grafted chitosan copolymer (CS-MAA-TN), and the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t last, the corrosion inhibition activities on Q235 carbon steel were investigated by using gravimetric measurements, metallographic microscop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measurements. The compounds CS-MAA-EN and CS-MAA-TN show an appreciable corrosion inhibition property against corrosion of Q235 carbon steel in 5% HCl solution at $25^{\circ}C$. It has been observed that CS-MAA-EN shows greater corrosion inhibition efficiency than CS-MAA-TN. The inhibition efficiency of CS-MAA-EN was close to 90% when the mass fraction concentration was 0.2%~0.3%; the inhibition efficiency of CS-MAA-TN was close to 85% when the mass fraction concentration was 0.02%. The present work provided very promising results in the preparation of green corrosion inhibitors.

Physiologic Cervical Alignment Change between Cervical Spine X-ray and Computed Tomography

  • Lee, Ho Jin;Kim, Il Sup;Hong, Jae Tae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5호
    • /
    • pp.784-790
    • /
    • 202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radiological parameters used to determine cervical alignment from cervical spine radiographs (X-CS) and cervical spine computed tomography (CT-CS), both within and between modalitie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68 patients (≤60 years old) without a definite whole spine deformity who underwent CT-CS and X-CS. We measured occipital slope (O-s), C1 slope, C2 slope, C7 slope, sella turcica - C7 sagittal vertical axis (StC7-SVA), spino-cranial angle, T1 slope, and C27-SVA. We calculated the O-C2 angle, O-C7 angle, and C2-7 angle from the measured parameters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es among multiple parameters. Results : The intrinsic correlation features among multiple cervical parameters were very similar for both X-CS and CT-CS. The two SVA parameters (C27-SVA and StC7-SVA) were mainly influenced by the upper cervical slope parameters (r=|0.13-0.74|) rather than the lower slope cervical parameters (r=|0.08-0.13|). The correlation between X-CS and CT-CS for each radiological parame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0.26-0.44) except for O-s (r=0.10) and StC7-SVA (r=0.11). Conclusion : The correlation patterns within X-CS and CT-CS were very similar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X-ray and 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ost radiological parameters, and the correlation score increased when the horizontal gaze wa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lower cervical parameters were no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ranslation-related parameters (C2-7 SVA and StC7-SVA). Therefore, the upper cervical segment may be a better predictor for determining head and neck translation.

추출조건에 따른 진피(陳皮) 및 승마(升麻) 추출물의 미백 활성효과 (Inhibitory Effect of Citrus Unshiu Peel and Cimicifuga Dahurica Extracts on Melanogenesis accroding to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 이윤정;송현우;이보리;나혜림;송봉준;이영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6
    • /
    • 2022
  • Objectives: Excessive melanin production leads to skin pigmentation, which causes various cosmetic and health problems. Citrus unshiu Markovich peel (CS) and Cimicifuga dahurica (CD) have long been widely used as a oriental medicinal plant because of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ul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on melanogenesis according to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CS and CD extracted were prepared by ethanol extraction (E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USE), Supercritical extraction (SCE), reflux extraction (RE), respectively. Resul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were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effect of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B16-F10 melanoma cells.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at 10-200 ㎍/mL. Conclusions: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CS and CD extracts have potential as a safe treatment for excessive pigmentation or as a natural ingredient in cosm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