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EONAN CIT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도시 내 양봉꿀벌 서식환경 분석 연구 - 천안시를 중심으로 - (Habitat Analysis Study of Honeybees(Apis mellifera) in Urban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 Focused on Cheonan -)

  • 김휘문;송원경;김성열;형은정;이승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5-64
    • /
    • 2017
  • The problem of the population number of honeybees that is decreasing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has a great influence on human beings and the entire ecosystem. The habitat of honeybees is recognized to be superior in urban environment rather than rural environment, and predicting for habitat assessment and conservation is necessary. Based on this, we targeted Cheonan City and neighboring administrative areas where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areas, urban areas, and forest areas is displayed equally. In order to predict the habitat preferred by honeybees, we apply the Maxent model what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es. We also selected 10 environmental variables expected to influence honeybees habitat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survey. As a result of construct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using the Maxent model, 71.7% of the training data were shown on the AUC(Area Under Cover) basis, and it was be confirmed with an area of 20.73% in the whole target area, based on the 50% probability of presence of honeybe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variable has influence on land covering, distance from the forest, altitude, aspect.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of honeybee's habitat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o be higher in wetland environment, in agricultural land, close to forest and lower elevation, southeast and west. The prediction of these habitat environments has significance as a lead research that presents the habitat of honeybee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of ecosystems in terms of urban space, and it will be useful for future urban park planning and conservation area selection.

대기오염 측정 자료에 의한 지방도시의 대기환경규제지역 설정에 관한 타당성 검토 (Investigation on the Validation for Designating Air Quality Control Region among Provincial Cities by the Data Measured with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 유미선;양성봉;우경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1-190
    • /
    • 2016
  • Regional air quality regulation is a system that allows the Minister of Environment to designate the local area as air quality control region where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are exceeding the environmental standards, and the local governments that administrate the regulated area have to develop and practise a plan for reducing the air pollutants. From the data observed yearly by the monitoring stations in 8 provincial cities with more than 0.5 million people was judged the compliance with air quality standards in each municipality for the period of 2003 to 2013.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air pollutants concentrations of each c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on that exceeds the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of CO, $SO_2$ and 24-hour $NO_2$. But all municipalities exceeded the standards of 8-hour $O_3$, annual and 24-hour $PM_{10}$, and therefore 8 municipalities can be designated to be under the local air regulation. For the annual $NO_2$ were the monitoring sites necessary requirements for designation of the air quality regulation region in Cheongju, Cheonan, Daejeon and Gwangju area. Incase of 1-hour $O_3$, some of stations in Pohang, Cheongju, Cheonan and Changwon area were over the designation standards for the air quality control region.

기능평가를 이용한 마을습지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Village Wetland Ecosystem Services Using Function Evaluation Methods)

  • 박미옥;양승빈;황유리;서효선;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13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n assessment indices to evaluate the ecosystem services of the unique functions of wetlands as well as economic value provided by the village wetlands. The assessment indicators applied in this study were used by the RAM indices. The results of RAM assessment on the village wetlands in Cheonan city were analyzed by item and critical functions of the village wetland. They were derived by assessment indicators of ecosystem services, and the village wetland ecosystem were presented by Focus Group Interview (FGI). The 20 critical indices were selected from 52 different indices by analyzing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 items. 13 indicators excluding duplicate indexes by function, were selected as ecological service impact indicators. Finally, ecosystem services were evaluated by using AHP analysis to calculate the weight of each assessment indices and apply it to the 9 village wetl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unctions of the village wetlands are compliant with the ecosystem services. Based on this assessment of the unique functions of wetlands, it will serve as a methodology for assessing ecosystem services.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on 49 wetlands in Cheonan. The detailed assessment of wetland ecosystem services based on the wetland ecosystem function proposed by this study, was further developed as a follow-up study. It suggested that the wetland areas should be compared and be used as a general standard. In addition to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value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the village wetlands, it would be useful to assess the unique features and convert them into value.

인접지역 공동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 구축의 과제: 충남 천안시와 아산시의 혁신주체 분석 (Regional Innovation System for Co-developing Neighboring Cities: Analysis on the Innovation Actors of Cheonan and Asan, Chungnam)

  • 김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0-79
    • /
    • 2006
  • 충남 천안과 아산지역의 공동체적 발전을 위해 지역혁신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서, 두 지역의 혁신주체들을 대상으로 공동발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천안-아산지역에 근무하는 지역의 지도층 인사들은 천안-아산지역의 공동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으며, 천안시-아산시의 합병과 같은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동시에 천안-아산지역의 접경지역 공동개발과 공동체적인 산업개발 및 육성에도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천안-아산 지역이 공동발전을 위해 공무원 집단이 가장 큰 역할 해야 할 것으로 주문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실망도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시민단체와 교수집단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접지역의 공동체적 발전을 위한 공동 지역혁신체계구축을 위한 3단계를 제안하고 있다.

  • PDF

천안 구도심 명동지역 도시재생 전략수립 연구 (Schematic Regeneration Strategy of Old Downtown, Myeongdong, in Cheonan)

  • 성민호;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31-3239
    • /
    • 2014
  • 1970~1980년대의 급격한 경제개발과 도시의 발전 이후 현재에 들어 당시에 개발된 원도심지의 노후화와 기존기능이 빠르게 빠져나가는 도심공동화 현상이 발생하면서 근래에 도시재생이 도시계획 및 도시개발의 새로운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천안의 구도심인 명동지역(중앙동, 문성동)또한 공동화 현상이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천안시에서는 재개발 및 활성화 사업을 진행하였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재생 및 TOD개발 관련 사례를 분석해보고 명동지역의 현황분석을 통해 명동지역의 발전 및 공동화 이유와 기존 활성화 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명동지역의 새로운 활성화 계획을 제안하였다. 활성화 계획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명동지역의 경우 버스터미널과 천안역, 중앙시장까지 어우르는 도시흐름을 형성하는 하나의 결절점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2)민자역사유치, 지하상가와 연결된 쇼핑루트 개발, 통합 환승센터 및 이를 중심으로 한 마켓단지조성, 동남구청 부지의 문화센터 개발 및 예술공원 등의 개발이 서로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생활만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Security Needs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ectronic Security System Users by City Size)

  • 유영창;이종환;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30-3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와 지방도시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과 생활만족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대도시(서울)와 지방도시(천안 아산)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 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표집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지역에서 은행 귀금속점 편의점 통신업체등의 4개 영업점을 대상으로 2차 분할하여 실시하였으며, 1차는 2008년 6월 서울 소재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을 한강기준으로 강동, 강서, 강남, 강북, 도심권 등의 5개 지역으로 분할하여 각 지역에 1개동을 추출 40명씩 총 200부를 표집 하였다. 2차는 2009년 1월 천안 아산 소재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4개 지역에서 50명씩 200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812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의 신체적 안전욕구충족은 차이가 있다. 즉, 대도시 이용자가 지방도시 이용자보다 환경적, 심리적, 정보적 안전욕구충족은 높다. 둘째,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들의 생활만족은 차이가 있다. 즉, 대도시 이용자가 지방도시 이용자보다 안전생활 만족은 높다. 셋째, 도시크기에 따른 기계경비시스템 이용자의 안전욕구충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대도시 이용자들의 경우 신체적, 환경적, 정보적, 물리적 안전욕구충족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은 높다.

도시하천 수변공간 내 자전거도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bike way in the Urban river Waterfront)

  • 서용수;동재욱;조성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81-489
    • /
    • 2017
  • 본 연구 대상지 천안천은 도심지 내 주거 밀집지역과 다중이용시설에 근접하여 도심지를 관류하는 도시하천이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자연형 하천 정화사업은 하천기능 제고와 자연생태계 복원 및 친수공간을 확보하여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였다. 조성된 수변공간 내 자전거도로는 산책로 중심으로 사업이 시행되어 부족한 자전거도로 기능을 관련 법규에 알맞은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활용실태 및 시민의식조사에서는 경사로, 하천 횡단시설, 계단시설, 안전시설, 표지판 및 노면표시, 주차시설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 개선점으로 경사로 12% 이하 개선과 징검다리로 단절된 구간 7개소에 잠수교 설치를 제시하였고, 자전거도로 관련 법규에 따른 표지판 노면표시 설치와 대중교통 환승에 필요한 천안역과 천안 버스터미널의 자전거 주차시설 확충 등을 제안하였다. 천안천 수변공간 내 자전거도로는 자전거 이용시설과 업무 조직의 제도적인 확충과 도시하천 자전거도로 관련 법규에 따른 시설개선으로 접근성과 단거리 이동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생활교통 공간의 발전은 도심 교통난 해소와 자전거 교통 활성화에 기인하여 시민의 편익 증대가 기대된다.

지역상권과 고객구성의 상호작용을 통한 상권활성화에 관한 정책제안 - 천안상권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licy Suggestions of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Commercial Districts and Customer Component : The Way of Revitalizing Commercial Districts in Cheonan City)

  • 김현교;김철호;이동일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3권1호
    • /
    • pp.73-91
    • /
    • 2012
  • 본 연구는 상권을 동태적관점에서 상권을 구성하는 업종중심특성과 상권고객인 유동인구중심특성의 적합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천안시에 소재하는 천안역상권, 두정동상권, 신부동상권의 업종데이터와 유동인구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간경과에 따른 업종과 고객중심특성변화를 분석하여 정책적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상권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동태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아닌 특정시점에서의 연구로 한정되어 있으며, 상권쇠퇴요인과 상권 활성화 요인의 대부분이 도심기능쇠퇴에 따른 도심기능 활성화처럼 서로 대응관계에 놓여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으로는 상권데이터관리체계구측과 획일적 활성화정책이 아닌 상권특성별 목표고객과 유입고객의 일치성을 고려한 활성화전략, 상권쇠퇴지수개발 등이며, 소상공인 지원정책 목표를 지역상권 활성화와 개별점포 경쟁력 강화의 동시추진으로 확대 제안하고 있다.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토지 통계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천안시·아산시를 사례로 (A Prediction of the Land-cover Change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and Land Statistical Data: Case Study for Cheonan City and Asan City, Korea)

  • 김찬수;박지훈;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토지피복도 작성을 위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고, 토지지목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미래의 토지지목 변화를 예측하였다. 토지지목 예측 방법에는 이중지수 평활법을 이용하였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각 연도별 토지피복 분류 결과, 천안·아산시의 토지피복 변화에서 가장 큰 증가 면적을 보인 유형은 인공구조물이며, 다음으로 수역, 초지, 나대지 등도 증가하였다. 반면에 산림지, 논, 습지, 밭 등은 감소하였다. 토지지목의 시계열분석 결과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중지수 평활법을 이용한 토지지목 변화를 예측한 결과, 2010년에서 2100년까지 논, 밭, 산림지와 습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인공구조물, 수역, 나대지, 초지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기후변화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기후변화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을철 갈대의 수확관리에 따른 이듬 해 조사료 생산성 비교 (Forage Productivity of Phragmites communis according to Harvest Management in Autumn)

  • 서성;박진길;김원호;김맹중;박형수;최기춘;성하균;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12
  •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가을철 수확관리가 이듬 해 생육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시험 1은 경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 2010년 10월 28일 수확 시 예취높이를 3 cm, 15 cm, 25 cm, 무예취구 등 4처리를 두고 2011년 10월 7일에 수확하였으며, 시험 2는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 2010년 10월13일 예취높이를 10 cm, 20 cm, 무예취구 등 3처리를 두고 2011년 7월 7일에 1차, 10월 7일에 2차 수확을 실시하였다(시험 1). 이듬 해 수확한 갈대의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ha당 3,092 kg으로 예취구에 비해 많은 경향이었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1,236 kg으로 15 cm 예취구(1,234 kg)와 25 cm구(1,241 kg)와 같은 수준이었고, 3 cm구의 수량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무예취구의 건물 소화율과 RFV는 각각 39.98%와 65.3으로 예취구의 건물소화율 42.36~46.40%, RFV 67.8~72.5에 비해 낮았으며 조사료(건초) 등급은 5등급(불량)이었다. 건물률은 무예취구가 50.67%로 예취구(45.31~47.60%)에 비해 높았다(시험 2). 이듬해 1차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ha당 10,441 kg으로 예취구에 비해 많은 경향이었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예취높이 20 cm구에서 3,885 kg으로 무예취구(3,693 kg)와 유의적 차이 없이 많았으며, 10 cm구의 수량은 가장 적은 경향이었다. 사료가치는 예취구에서 양호하여 20 cm 구에서 건물 소화율과 RFV는 각각 43.23%와 64.1로 높았다(p<0.05). 조사료(건초) 등급은 예취구는 5등급(불량), 무예취구는 6등급(부적합)이었다. 재생 갈대의 수량과 사료가치는 처리 간 차이 없이 조사료(건초) 등급은 4등급(다소 불량)이었다. 연간 건물수량과 조단백질 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20 cm구에서 ha당 5,354 kg로 무예취구(5,178 kg)와 차이가 없었으며, 10 cm구(4,531 kg)는 가장 적었다. 1차 건물수량은 연간 수량의 75%, 조단백질 수량은 72%, 가소화 건물수량은 69%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재생 수량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수확기에 있는 갈대는 가을철이라도 한 번 수확해 주는 것이 사료화 이용과 함께 이듬 해 생육에 유리하였으며, 수확 시 예취높이는 15~20 cm가 권장되었고, 장기적으로 갈대 자원의 안정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 1회 수확이 바람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