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18

검색결과 794건 처리시간 0.034초

Anodic Alumina와 Retriculate Vitreous Carbon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수용액에서 중금속이온의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 Ions in the Aqueous Solution Using Anodic Alumina and Retriculate Vitreous Carbon Electrodes)

  • 조승구;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4호
    • /
    • pp.120-129
    • /
    • 2003
  • 0.3M의 옥살산 용액에서 anodic alumina를 제작하였으며 barrier 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20wt% 황산 용액에서 한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이 anodic alumina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수용액에서 $Cd^{2+}$, $Co2^{+}$$Pb^{2+}$이온들을 환원시켜 제거하였다. XRD와 SBM으로 anodic alumina의 구조를 분석하였고, SEM 결과 anodic alumina에는 60nm의 pore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wt% 황산 용액으로 처리 후 anodic alumina의 표면이 황산에 약간 녹기 때문에 anodic alumina의 표면의 규칙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anodic alumina를 음극, 그리고 탄소를 양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Cd(NO_3)_2{\cdot}4H_2O$, $Co(NO_3)_2{\cdot}6H_2O$$PbSO_4$ 수용액에 24시간동안 직류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전류를 흘려준 시간에 따라 전압이 각각 4.6, 3.4 및 5.1V 까지 증가하다가 4.2, 2.7 및 2.4V로 일정해지는 결과를 얻었다. 전류를 흘려준 시간이 18시간까지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용액내의 금속이온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음극인 anodic alumina의 표면에 각 금속들이 석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odic alumina로 금속이온을 제거한 수용액을 retriculate vitreous carbon(RVC)를 작업전극으로 하는 flow cell로 제2차 금속이온 제거를 수행하였다. $Cd^{2+}$$Co^{2+}$이온의 농도는 용액을 flow cell에 20분간 흘려줄 때까지만 감소하였고 $Pb^{2+}$이온 농도는 30분까지 감소하였다. 이 경우 $Cd^{2+}$, $Co^{2+}$$Pb^{2+}$이온들 제거효율은 각각 34.78, 28.79 및 86.38% 이었다. 또한 $Cd^{2+}$$Co^{2+}$이온이 동시에 RVC전극에 흡착 가능한 결과를 보였으며 제거효율은 32.30 및 31.37% 이었다.

  • PDF

우슬 메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카드뮴 흡입독성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on Cadmium Inhalation Toxicity in Rat)

  • 강홍구;홍지우;한현정;황유연;정재열;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784-1794
    • /
    • 2004
  • To study the effects between Cd inhalation toxicity and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4 rat groups were exposed to Cd aerosol by whole-body inhalation exposure for 6 hours/day, 5 days/week, and 4 weeks. Cd concentration in air was 0.98㎎/㎥ and mass median diameter(MMD) was 1.78㎛. 3 different dose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to 3 inhalation exposure groups applied for 4 week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st body weight gain for 4 weeks and food intake per day were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The highest lung weight was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 and the highest liver and kidney weight were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Ⅱ(p<0.05). The lowest Cd content in lung was 22.77㎍/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The highest Cd concentration in blood was 11.71㎍/㎗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p<0.05). Cd concentrations of 14.87㎍/g in liver and 17.91㎍/g in kidney were the highest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p<0.05). The lowest Cd concentration in liver and kidney were 5.71㎍/g and 3.17㎍/g from the control(p<0.05). For weekly Cd concentration in urine, the highest value was 0.48㎍/㎖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 of the 3rd week and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 Ⅱ of the 4th week. For weekly Cd concentration in feces, the highest value was 0.32㎍/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 Ⅱ, Ⅲ. The highest metallothionein concentration in lung was 89.02㎍/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The highest metallothionein concentrations in liver and kidney were 265.47㎍/g and 214.21㎍/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 respectively(p<0.05). The highest Hct, Hb, and WBC values were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Ⅱ and the highest RBC value was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Mostly damaged part in liver tissue was hepatic lobule and the degrees of damage were lessened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Proximal, distal convoluted tubules and glomerulus in kidney tissue were mostly damaged part. Degeneration and swelling were partially observed but the degrees of kidney tissue damage were lessened more or less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소리쟁이를 이용한 중금속오염토양의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mbrosia trifida, Rumex crispus for phytoremediation of Cu and Cd contaminated soil)

  • 강병화;심상인;이상각;김광호;정일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2-267
    • /
    • 1998
  • 본 실험은 환경친화적인 중금속 정화방법의 하나인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소리쟁이를 선발하여, Cu, Cd농도에 따른 생육양상, 흡수범위 및 정화차이능을 구명하여 식물 복원법적용의 타당성을 제안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금속처리에 따른 공시초종의 생육반응은 상이하였으며, 특히 Cu, Cd처리에서 단풍잎돼지풀, 돼지풀이 생육이 좋았으며 소리쟁이는 Cd처리에서 생육이 불량하였다. 처리농도에 따라 지상부와 지하부발달은 Cu의 200ppm, Cd의 50ppm까지는 생육저해는 일어나지만 중금속의 흡수량은 공시초종 모두에서 양호하여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환경친화적인 중금속정화방법은 오염원에 따라 초종선택이 중요하며, Cu오염지역에서는 지상부의 축적량은 처리농도가 높아지더라도 변화가 작은 단풍잎돼지풀은 phytoremediation뿐만 아니라 phytostabilization(식물안정화)을 위한 피복식물로서도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카드뮴 장기노출 후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기관에 따른 카드뮴의 배출 (Cadmium Elimination in Tissu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fter Long-Term Exposure)

  • 김성길;장석우;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4-48
    • /
    • 2003
  • 넙치 (P. olivaceus)를 카드뮴 아치사 농도인 5, 50, 100 ${\mu}g/L$의 구간에 30일간 노출시킨후 청장기간을 가져 아가미, 간, 신장, 창자 및 근육에서 축적된 카드뮴의 제거정도를 조사하였다. 아가미에서는 노출농도 50 ${\mu}g/L$ 이상에서는 배출 10일째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배출이 가장 빨랐던 기관은 창자로써 배출 10일째부터 노출농도 50, 100 ${\mu}g/L$에서 $5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간은 배출 10일째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노출 20일 이후에는 노출구간 50, 100 ${\mu}g/L$에서는 각각 $66.20\%$$86.22\%$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신장에는 카드뮴 노출이후 각 구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근육은 다른 기관들과는 달리 카드뮴 노출 이후 배출실험에서도 지속적인 농도 증가가 나타냈다. 카드뮴 노출 30일 후 배출되는 20일 동안 가장 많이 배출되는 기관의 순서는 창자>간${\geq}$아가미>>신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가미, 창자와 간은 배출 20일 동안 급격한 카드뮴의 제거가 나타났으며, 신장은 유의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농도변화가 거의 없었다. 근육은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카드뮴이 없는 해수에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삼 및 인삼제품류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 허수정;김미혜;박성국;이종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9-333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인삼 및 인삼제품류 8종 100건에 대하여 중금속 함량을 조사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유도결합 플라즈마분광기(ICP), 원자흡광광도계(AAS) 및 수은분석기 둥을 이용하여 납, 카드뮴 등 중금속을 측정하였다. 인삼(n=30) 중 납 등 중금속 함량은 다음과 같았다[min-mak(mean), 단위 mg/kg]. Hg은 0.002-0.02(0.007), Pb은 0.018-0.39(0.106), Cd은 0.004-0.413(0.106), As는 불검출 -0.094(0.013), Cu는 0.24-5.5(3.2), Mn 3.18-50.4(20.09), Zn은 0.76-44.27(13.42). 또한 인삼제품류 (n=70)에 대한 중금속 함량은 다음과 같았다[min-max(mean), 단위 mg/kg]. Hg은 0.0001-0.002(0.001), Pb은 0.001-0.133(0.017), Cd는 불검출 -0.181(0.008), Cu는 불검출 -1.1(0.13), Mn 0.73-30.15(1.61), Zn은 0.02-13.42(1.02).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국민의 인삼 및 인삼제품류를 통한 수은, 납, 카드뮴 섭취량은 FAO/WHO에서 설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의 0.003%, 0.01%, 0.02%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Chitosan Increases α6 Integrinhigh/CD71high Human Keratinocyte Transit-Amplifying Cell Population

  • Shin, Dong-Wook;Shim, Joong-Hyun;Kim, Yoon-Kyung;Son, Eui-Dong;Yang, Seung-Ha;Jeong, Hye-Jin;Lee, Seok-Yong;Kim, Han-Kon;Park, Soo-Nam;Noh, Min-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3호
    • /
    • pp.280-285
    • /
    • 2010
  • Glycosaminoglycans (GAGs) and chitosan have been used as matrix materials to support the dermal part of skin equivalent which is used for both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evaluations of drugs potentially used for dermatological diseases. However, their biological roles of GAGs and chitosan in the skin equivalent are still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whether GAGs and chitosan directly affect keratinocyte stem cells (KSCs) and their transit-amplifying cells (TA cells). Among supporting matrix materials, chitosa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alpha}6$ $integrin^{high}/CD71^{high}$ human keratinocyte TA cells by 48.5%. In quantitative real-time RT-PCR analysis, chitosan significantly increased CD71 and CD200 gene transcription whereas not ${\alpha}6$ integrin.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gene transcription of both keratin 1 (K1) and K10 in the chitosan-treated human keratinocy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uggesting that chitosan inhibit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We also found that N-acetyl-D-glucosamine (NAG) and $\beta$-(1-4)-linked D-glucosamine (D-glc), two components of chitosan, have no effect on the expression of CD71, K1, and K10, suggesting that each monomer component of chitosan is not enough to regulate the number of epidermal keratinocyte lineage. Conclusively, chitosan increases keratinocyte TA cell population which may contribute to the cellular mass expansion of the epidermal part of a skin equivalent system.

장군광산 광미 토양으로부터 아카시아의 중금속 전이에 관한 연구 (Heavy Metal Uptake of Acacia from Tailing soil in Abandoned Jangun Mine, Korea)

  • 정홍윤;김영훈;김정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3-185
    • /
    • 2015
  • 장군광산은 과거 갱도채굴한 폐금속광산으로 위치는 $N36^{\circ}$ 51'31.59", $E129^{\circ}$ 03'38.91"에 위치하고 있다. 산사면에 적치해 놓은 광미 적치장은 상부에 오염되지 않은 토양으로 약 20 cm 정도 복토한 후 아카시아를 식재해 놓은 상태이다. 광미 적치장에 식재해 놓은 아카시아는 대략 15년생 정도이다. 광미 적치장에서 채취한 토양시료의 중금속 농도는 As (66.43-9325.34 mg/kg), Cd (0.96-1.09 mg/kg), Cu (16.90-57.60 mg/kg), Pb (57.33-945.67 mg/kg), Zn (154.48-278.61 mg/kg)으로 비오염 토양인 대조군의 As (38.98 mg/kg), Cd (0.42 mg/kg), Cu (10.26 mg/kg), Pb (8.21 mg/kg), Zn (46.74 mg/kg) 보다 훨씬 높다. 가장 오염도가 높은 토양에 식재된 아카시아의 잎에서의 As, Cd, Cu, Pb, Zn의 농도는 각각 165.95, 0.04, 10.68, 3.18, 48.11 mg/kg이다. 비오염 토양에 식재되어 있는 아카시아의 잎에서의 중금속 농도는 As 1.31mg/kg, Cu 3.90 mg/kg, Pb 0.22 mg/kg, Zn 11.01 mg/kg이다. 아카시아에서의 중금속의 농집도는 껍질과 잎에서 높으며 심재와 변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낸다.

(TCTA/TCTA1/3TAZ2/3/TAZ) : Ir(ppy)3 발광층을 이용한 고효율 녹색 인광소자 (High Efficiency Gree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ing the Emission Layer of (TCTA/TCTA1/3TAZ2/3/TAZ) : Ir(ppy)3)

  • 장지근;신상배;신현관;김원기;유상욱;장호정;공명선;이준엽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347-351
    • /
    • 2008
  • We have fabricated and evaluated newNew high high-efficiency green green-light light-emitting phosphorescent devices with an emission layer of [$TCTA/TCTA_{1/3}TAZ_{2/3}/TAZ$] : $Ir(ppy)_3$ were fabricated and evaluated, and compared the electr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these devices we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hosphorescent devices with emission layers of ($TCTA_{1/3}TAZ_{2/3}$) : $Ir(ppy)_3$ and (TCTA/TAZ) : $Ir(ppy)_3$. The current density, luminance, and current efficiency of the a device with an emission layer of ($80{\AA}-TCTA/90^{\circ}{\AA}-TCTA_{1/3}TAZ_{2/3}/130{\AA}-TAZ$) : 10%-$Ir(ppy)_3$ were $95\;mA/cm^2$, $25000\;cd/m^2$, and 27 cd/A at an applied voltage of 10 V, respectively. The maximum current efficiency was 52 cd/A under the a luminance value of $400\;cd/m^2$. The peak wavelength and FWHM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in the electroluminescence spectral were 513 nm and 65 nm, respectively. The color coordinate was (0.30, 0.62) on the CI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hart. Under the a luminance of $15000\;cd/m^2$, the current efficiency of the a device with an emission layer of ($80{\AA}-TCTA/90{\AA}-TCTA_{1/3}TAZ_{2/3}/130{\AA}-TAZ$) : 10%-$Ir(ppy)_3$ was 34 cd/A, which has beenshowed an improvement of improved 1.7 and 1.4 times compared to those of the devices with emission layers of ($300{\AA}-TCTA_{1/3}TAZ_{2/3}$) : 10%-$Ir(ppy)_3$ and ($100{\AA}-TCTA/200{\AA}$-TAZ) : 10%-$Ir(ppy)_3$, respectively.

90% $Bi_2Te_3-10% Bi_2Se_3$ 단결정의 밴드갭 에너지와 열전특성 (Band-Gap Energy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90% $Bi_2Te_3-10% Bi_2Se_3$ Single Crystals)

  • 하헌필;현도빈;황종승;오태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9-354
    • /
    • 1999
  • Dopant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와 donor dopant로 $CdI_2$를 첨가한 $Bi_2Te_3-10%$ 단결정을 Bridgman법으로 성장시키고 Hall 계수, 전하이동도, 전기비저향, Seebeck 계수, 열전도도 빛 성능지수를 77~600K의 온도범위에서 측정하였다. Dopant를 첨가하지 않은 90% $Bi_2Te_3-10% Bi_2Se_3$ 단결정에서 포화정공농도는 $5.85\times10_{18}cm^{-3}$ 이고 degenerate 온도는 127K 이었£며, 전하 이동에 대한 산란인자는 -0.23 이고 전자이동도와 정꽁이동도의 비 ($\mu_e/\mu_h)$는 1.45 이었다. 90% $Bi_2Te_3-10% Bi_2Te_3$ 단결정의 OK 에서의 밴드갭 에너지는 0.200 eV 로서 $Bi_2Te_3-Bi_2Se_3$계 단결정에서눈 $Bi_2Se_3$의 놓도가 증가할수록 밴 드갭 에너지가 증가하였다. Donor dopant로 $CdI_2$를 첨가한 90% $Bi_2Te_3-Bi_2Se_3$ 조성의 n형 단결정에서 성능지수의 최대값은 $CdI_2$를 0.05 wt% 첨가한 경우에 약 230K에서 $3.2\times10^{-3}/K$를 나타내었다.

  • PDF

기울어진 비구면 프레넬 렌즈와 C-8 type 전구를 이용한 해상용 랜턴의 배광곡선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by simulation for the angular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s of marine lanterns using a tilting aspherical Fresnel lens and a C-8 type light bulb)

  • 조현석;조재흥;박승남;박철웅;김용완;김종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11-518
    • /
    • 2004
  • 대구경이 가능하며 가벼운 프레넬 렌즈로 10 해리 (18.53 km)까지 빛을 비출 수 있는 해상용 랜턴을 설계하고 배광곡선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렌즈설계 프로그램으로 직경 250 mm와 300 mm인 프레넬 렌즈를 설계하였으며, 이 프레넬 렌즈의 groove 변수들을 최적화하였다. 해상용 랜턴에서 사용하는 전구의 배광곡선을 고려하여 이 프레넬 렌즈의 배광곡선을 조명설계 프로그램으로 계산하였다. 이 결과 전구를 최적의 위치로 정렬하였을 때 이 해상용 랜턴들의 최대광도는 각각 KS 규격인 720 cd를 훨씬 넘는 1000 cd(직경 250 mm의 해상용 랜턴의 경우)와 1300 cd (직경 300 mm의 해상용 랜턴의 경우)로 계산되었다. 그리고 전구의 정렬오차를 정하기 위하여 렌즈의 초점거리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배광곡선이 변하는 정도도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