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alpha}$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3T3-L1 전지방세포에서 연잎-연근 혼합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이신지;;이수진;정지은;구병수;김동일;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4-83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Extracts of lotus leaf and lotus root were fermented using 4 different probiotics separately,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by Oil red O dye staining.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were analyz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Fermented lotus extracts inhibited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by inhibiting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All of the groups fermented by 4 kinds of probiotics showed reduction in Oil Red O dye staining. Bifidobacterium breve showed the most effective inhibition of C/$EBP{\alpha}$.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showed the best downregulation of $PPAR{\gamma}$ expression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the unfermented lotus group. Conclusions: Fermented lotus extrac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showing correlation with insulin sensitivity and lipid metabolism related with obesity.

Chitosan Oligosaccharides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 Cho, Eun-Jae;Rahman, Atiar;Kim, Sang-Woo;Baek, Yu-Mi;Hwang, Hye-Jin;Oh, Jung-Young;Hwang, Hee-Sun;Lee, Sung-Hak;Yun, Jong-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80-87
    • /
    • 2008
  • The 3T3-L1 cell line is a well-established and commonly used in vitro model to assess adipocyte differentiation. Over the course of several days, confluent 3T3-L1 cells can be converted to adipocytes in the presence of an adipogenic cocktai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CO)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were studied. The CO significantly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a marker of adipogen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low molecular mass CO (1-3 kDa) were the most effective at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Moreover, mRNA expression levels of both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gamma}$, the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were markedly decreased by CO treatments. CO also significantly down regulated adipogenic marker proteins such as leptin, adiponectin, and resistin. Our results suggest a role for CO as antiobesity agents by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ated through the down regulated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other specific genes.

소리쟁이 분획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umex Crispus L. Fractio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박성진;최준혁;정연섭;유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0-96
    • /
    • 2013
  • 소리쟁이 추출물 및 분획물의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소리쟁이의 hexane, ethyl acetate 분획물에 의해 지방세포의 lipid droplet의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소리쟁이 에탄올 추출물과 모든 분획물 10 ${\mu}g/mL$의 농도에서 중성지질(triglyceride)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의 단백질 발현은 10 ${\mu}g/mL$의 ethyl acetate, butanol 분획물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소리쟁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이용하여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전사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그리고 SREBP1c 및 지질의 합성,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ACS, FAS, FATP1, FABP4, Perilip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유의적으로 모든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소리쟁이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 및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물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및 지질축적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enescens L. Methano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최혜영;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8-50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Allium속 식물의 하나인 두메부추(ASL)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ASL 메탄올 추출물 $100-2,000{\mu}g/mL$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SL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10-100{\mu}g/mL$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지방세포 내 ROS 관련 효소와 분화관련 전사인자의 조절로 인한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분화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10, 50 및 $100{\mu}g/m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ASL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ROS 생성량과 ROS 관련 효소인 G6PDH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ASL 메탄올 추출물 처리로 인하여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SREBP1c, $PPAR{\gamma}$$C/EBP{\alpha}$ mRNA 발현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ASL 메탄올 추출물로 인한 ROS 생성 저해와 지질축적 억제는 ROS 생성 및 ROS 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로 인한 지방 생성 주요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ASL이 항비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울금 주정추출물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 김지혜;박정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1-1687
    • /
    • 2014
  • FCEE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FCEE가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CEE($200{\mu}g/mL$)를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과 AdipoRed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과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10.2%, 13.7%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작을 확인하고자 포도당 유입량과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 처리 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포도당 유입량이 36.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도 8일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FCEE의 처리로 분화가 억제되어 지방구의 형성이 억제되고 배양액으로 배출되는 유리 글리세롤의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지방 형성 관련인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의 처리로 AMPK mRNA 발현량은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3배 증가하였으며, SREBP-1c, $C/EBP{\alpha}$$PPAR{\gamma}$ mRNA 발현량은 각각 0.6, 0.6 및 0.8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FCEE는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palmitoleic acid on the differentiation of bovine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 Zhang, Junfang;Li, Qiang;Nogoy, Kim Margarette Corpuz;Sun, Jianfu;Sun, Bin;Wang, Ying;Tang, Lin;Yu, Jia;Jin, Xin;Li, Xiangzi;Choi, Seong-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919-933
    • /
    • 2021
  • We hypothesized that the unsaturated fatty acid palmitoleic acid (POA) could promote the expression of adipogenic/lipogenic genes in bovine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BSCs). The BSCs were cultured in a growth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When the cells reached 80%-90% confluence, we used the differentiation medium with 5% horse serum for differentiation for 96 h. The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ed 50 µM, 100 µM and 200 µM POA. Control BSC were cultured only in differentiation media. Compared with the control BSC, the POA BSC significantly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aired box 3 (Pax3) and paired box 7 (Pax7) and down-regulated myogenin gene expression (p < 0.01), which indicates a depression in muscle fiber development. However, all POA treatments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he adipocyte transcription factor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nd beta (C/EBP α and C/EBP β), and other genes (p < 0.01)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AT-family proteins and the concentration of adiponectin in the med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A can convert part of BSCs into adipocytes.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Acacia catechu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 of Acacia catechu Extract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김동규;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07-1113
    • /
    • 2016
  •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아선약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분화유도제를 처리하여 3T3-L1 세포에서 아선약의 세포독성, 지방축적 억제 효과, triglyceride 억제 효능, 지방분화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아선약 추출물을 최대 $200{\mu}g/mL$ 농도까지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아선약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il red-O 염색을 통해 지방축적률을 확인한 결과 아선약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지방축적의 감소 효과가 있었다. Triglyceride 생성량 역시 농도 의존적인 감소가 확인되었다. 아선약에 의한 지방분화의 감소가 어떠한 기작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관련 지표단백질인 $PPAR{\gamma}$와 SREBF-1 그리고 $C/EBP{\alpha}$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아선약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억제와 분화된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을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산부추(Allium sacculiferum Max.)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ROS 생성 및 지질 축적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acculiferum Max. Methanol Extracts on RO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 최혜영;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22-8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Allium 속 식물의 하나인 참산부추(ASM)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ASM 메탄올 추출물 $100{\sim}2,000{\mu}g/mL$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전구세포에 ASM 메탄올 추출물 $10{\sim}100{\mu}g/mL$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세포 내 ROS 관련 효소와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조절로 인한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를 분화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10, 50, $100{\mu}g/m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ASM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ROS 생성량과 ROS 관련 효소인 G6PDH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ASM 메탄올 추출물에 의하여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세포 분화에 관련된 전사인자인 SREBP1c, $PPAR{\gamma}$$C/EBP{\alpha}$ mRNA 발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ASM 메탄올 추출물로 인한 ROS 생성 저해와 지질 축적 억제는 ROS 생성 및 ROS 관련 유전자의 발현감소로 인한 지방 생성 주요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ASM이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물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enetic characterisation of PPARG, CEBPA and RXRA, and their influence on meat quality traits in cattle

  • Goszczynski, Daniel Estanislao;Mazzucco, Juliana Papaleo;Ripoli, Maria Veronica;Villarreal, Edgardo Leopoldo;Rogberg-Munoz, Andres;Mezzadra, Carlos Alberto;Melucci, Lilia Magdalena;Giovambattista, Guillerm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4호
    • /
    • pp.14.1-14.9
    • /
    • 2016
  • Backgrou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 and retinoid X receptor alpha (RXRA) ar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d fat deposi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se the variability of these three candidate genes in a mixed sample panel composed of several cattle breeds with different meat quality, validat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a local crossbred population (Angus - Hereford - Limousin) and evaluate their effects on meat quality traits (backfat thickness, intramuscular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supporting the association tests with bioinformatic predictive studies. Results: Globally, nine SNPs were detected in the PPARG and CEBPA genes within our mixed panel, including a novel SNP in the latter. Three of these nine, along with seven other SNPs selected from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database (SNPdb), including SNPs in the RXRA gene, were validated in the crossbred population (N = 260). After validation, five of these SNPs were evaluated for genotype effects on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on backfat thickness and different fatty acid contents (P < 0.05). Some of these SNPs caused slight differences in mRNA structure stability and/or putative binding sites for proteins. Conclusions: PPARG and CEBPA showed low to moderate variability in our sample panel. Variations in these genes, along with RXRA, may explain part of the genetic variation in fat content and composition. Our results may contribute to knowledge about genetic variation in meat quality traits in cattle and should be evaluated in larger independent populations.

(-)-Epigallocatechin-3-Gallate의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in 3T3-L1 Cells)

  • 김영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93-1299
    • /
    • 2017
  •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녹차에 함유된 flavonoid 계열 화합물로, 녹차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3T3-L1 세포에서 EGCG의 항비만 작용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인 $C/EBP{\alpha}$와 a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EGCG는 GSH의 활성을 유도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GPx 및 GR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 동안 활성산소종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체내 phase II 효소인 HO-1과 GCLC는 EGCG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EGCG는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동시에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GCG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EGCG의 항산화 작용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작용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GCG에 의한 항비만 효과와 항산화 작용을 연구한 본 연구는 녹차를 활용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지닌 식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