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11

검색결과 17,616건 처리시간 0.042초

Loop와 HPLC Purification 방법보다 더 높은 비방사능을 보여주는 카트리지 Methylation과 Purification을 이용한 손쉬운 [ 11C]PIB 합성 (Facile [11C]PIB Synthesis Using an On-cartridge Methylation and Purification Showed Higher Specific Activity than Conventional Method Using Loop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urification)

  • 이용석;조용현;이홍재;이윤상;정재민
    • 핵의학기술
    • /
    • 제22권2호
    • /
    • pp.67-73
    • /
    • 2018
  • $[^{11}C]PIB$는 베타아밀로이드($A{\beta}\;plague$)라는 변성 단백질에 결합하여 뇌의 기능과 기억력을 서서히 감퇴시키는 비가역적인 질환인 치매를 조기에 감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사성의약품이다. 지금까지 많은 실험실에서 $[^{11}C]PIB$는 자동화합성장치에서 $[^{11}C]methyl\;iodide$$[^{11}C]methyl\;triflate$를 만든 다음 loop나 vial 방법을 사용하여 methylation을 한 다음 HPLC로 정제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보고된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며, HPLC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여 소규모 실험실에서 합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최종 product에서 에탄올 함량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카트리지만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에서 methylation과 purification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합성 시간을 단축하고, 비방사능이 높고, 낮은 에탄올 함량을 가진 $[^{11}C]PIB$를 합성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카트리지 6종(CM, HLB, Alumina, C18, tC18, tC18 environmental을 선택하여 screening test를 실시하였다. 6-OH-BTA-0 1 mg을 c-HXO에 녹인 다음 6개의 카트리지에 loading를 한 다음 0.5 M MSP(pH 5.1) 20 mL로 정제를 한 다음 최종 fraction을 받아서 analytical HPLC로 전구체 잔류량을 측정한 결과 hydrophobicity가 낮은 계열(CM, HLB, Alumina)의 카트리지에서는 완충액으로 정제를 하였을 때 잔류전구체의 양이 많았으나, 탄소함량이 많은 계열의 카트리지(C18, tC18, tC18 environmental)에서는 잔류전구체의 양이 CM, HLB, Alumina 카트리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었다. 완충액의 정제 농도와 부피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 screening test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C18 series cartridge를 가지고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산완충액 농도를 10 mM, 20 mM, 30 mM, 40 mM, 50 mM, 250 mM, 500 mM로 변화시켰으며, 에탄올 함량은 20%와 30%로 하여 용출액을 분석하여서, $[^{11}C]PIB$를 카트리지로 합성하기 위한 최적의 조합은 tC18 environmental cartridge와 0.5 M MSP 20 mL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에 보고된 방법과 cartridge를 비교한 결과, 합성시간에서는 각각 15 ~ 18min, 8 ~ 9 min이 소요되었으며, product activity는 각각 $4.1{\pm}1.4\;GBq$ (n=41), $3.8{\pm}0.9\;GBq$ (n=3), 방사화학적 수율(based on HPLC analysis of the crude product)에서는 $13.9{\pm}4.4%$ (n=41), $12.3{\pm}2.2%$ (n=3)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비방사능에 있어서는 HPLC purification method가 $78.7{\pm}39.7\;GBq/{\mu}mol$ (n=41), cartridge method가 $420.6{\pm}20.4\;GBq/{\mu}mol$ (n=3)로 카트리지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잔류 용매(c-HXO)도 vial or loop method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에탄올 함량에 있어서는 70%(기존 방법)에서 30%(카트리지 방법)로 두 배 이상 함량이 적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알아본바와 같이 cartridge method는 reported method(HPLC purification)에 비하여 더 향상된 결과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건축용 목재의 연소시 지구온난화 가스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ission Properties of Green House Gas on Duration Combustion of Constructive Wood Materials)

  • 안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23-128
    • /
    • 2018
  • MDF목재에 처리제 즉, 방화락카, 수용성방염코트, 수용성우드커버 등을 MDF표면에 처리하여 연소시 열분해특성과 대기 유해가스 발생 특성을 대용량열분석기를 활용하여 실험한 결과 순수 MDF목재에 방화락카를 질량비로 0.11/11.55g을 처리한 후 열분해 및 연소가스 발생 특성을 살펴본 결과 방화락카를 처리한 경우 순수 MDF보다 연소시작시간이 다소 길어지고 연소온도가 약$340^{\circ}C$에서 $450^{\circ}C$로 올라가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성방염코트를 처리한 MDF목재(PA2)의 열분해 및 연소가스발생 특성은 시료의 질량 비 0.13/11g에서 연소시작 시간과 온도가 약 26분 $260^{\circ}C$에서 약54분 $612^{\circ}C$로 변화를 보였다. 또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용성우드커버를 MDF에 0.13/11.55g을 처리하여 연소하였을 경우 급격한 중량변화는 $300^{\circ}C$에서 $370^{\circ}C$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약$500^{\circ}C$에서 2차 변화가 나타났다.

박과식물(科植物) 종자유(種子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from Some Seeds of the Cucurbitaceae Family)

  • 김성진;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1996
  • 박과식물(科植物) 종실(種實)에는 총지질량(總脂質量)이 $21.9{\sim}50.7%$의 범위(範圍)로 비교적(比較的높았으며, 특(特)히 박, 하늘타리의 경우는 41.9%와 50.7%로 조사(調査)한 시료(試料)중에 제일 높았으며, 또 모든 시료(試料)가 약(約) 98% 이상(以上)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호박, 수세미오이, 수박, 참외, 오이 및 박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리놀산(酸)의 함량(含量)이 제일(第一) 많아 $56.8{\sim}84.0%$이였으며, ${\alpha}$-리놀레산(酸)의 함량(含量)은 0.0${\sim}$0.6%로 매우 적었고, 올레산(酸)이 주성분(主成分)인 모노엔산(酸)과 팔미트산(酸)이 대부분(大部分)인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은 그 함량(含量)이 각각(各各) 5.7${\sim}$22.2%와 9.9${\sim}$20.6%로 시료(試料)에 따라 심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하늘타리 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C_{18:2{\omega}6}$$_{9c.11t.13c-}C_{18:3}$(Punicic acid)이 40.5%와 34.9%로 주요(主要) 성분(成分)이였고, 그 다음으로 $C_{18:1{\omega}9$가 13.8%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그러나 $_{9c/11t.13t-}C_{18:3}$(${\alpha}-eleostearic$ acid)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한편 여주의 경우(境遇)에는 $_{9c.11t.13c-}C_{18:3}$이 66.9%로 제일(第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C_{18:1{\omega}9$$C_{18:1{\omega}6$이 17.7%, 10.4% 각각(各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하늘타리에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_{9c.11t.13c}-C_{18:3}$$_{9t.11t.13c-}C_{18:3}$(${\beta}-eleostearic$ acid)와 함께 1.1% 정도(程度)로 소량(少量)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9c.11t.13c-}C_{18:3}$$_{9c.11t.13t-}C_{18:3}$와 같은 conugate trienoic acid는 여타시료(餘他試料)에서는 전연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하늘타리와 여주의 종자유(種子油)의 극성지질(極性脂質)에는 이틀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 다량(多量)으로 존재(存在)하는 conjugate trienoic acid가 극(極)히 소량(少量)밖에 존재(存在)하지 않는 것은 매우 특징적(特徵的)이며,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이 중성지질(中性脂質)(9.9${\sim}$20.6%)에 비(比)하여 극성지질(極性脂質)(25.0${\sim}$29.4%) 에 보다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다는 사실(事實)을 나머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박과식물(科植物) 종자(種子)는 리놀산(酸)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는 군(群)과, $_{9c.11t.13c}-C_{18:3}$$_{9c.11t.13t-}C_{18:3}$와 같은 conjugate trienoic acid를 가진 군(群)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Influence of Alkyl Chain Length on Fragmentations and Ion-Molecule Reactions of Ionized c-C6H11-(CH2)nCO2H

  • Choi, Sung-Seen;So, Hu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1호
    • /
    • pp.1711-1716
    • /
    • 2005
  • Fragmentations and ion-molecule reactions of ionized cyclohexane propionic acid and cyclohexane butyric acid were studied using FTMS and theoretical calculations. The difference in bond dissociation depending on the aliphatic chain length was investigated and mechanisms for the possible rearrangements depending on the aliphatic carbon length were suggested. The most abundant fragment ion of the ionized cyclohexane propionic acid was c-$C_6H_{11}CH_2\;^+$ formed from the molecular ion by the direct C-C bond cleavage, while that of the ionized cyclohexane butyric acid was c-$C_6H_9C(OH)=OH^+$ formed by rearrangement of the molecular ion from the acid to diol form and loss of propyl radical. Stabilities of the radical and distonic ions of $C_nH_{2n}O^{+\bullet}$ formed from the molecular ion were compared. Protonated molecules were dissociated into smaller ions by losing one or two water molecules. The $[nM + H]^+$, $[nM + H - H_2O]^+$, and $[nM + H - 2H_2O]^+$ with n = 2 and 3 were generated by solvation with the neutral molecules in the ICR cell at long ion trapping time.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서 Flt-3 수용체 리간드에 의한 CD11c 발현의 증가 (Up-regulation of CD11c Expression on Huma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s by Flt-3 Ligand)

  • 서기;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690-1697
    • /
    • 2009
  • CD11c와 CD80 및 CD86과 같은 보조 수용체는 주로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 표지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KG-1, HL-60, NB4 및 THP-1 세포와 같은 여러 종류의 백혈병 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에 재조합 Flt-3 리간드를 처리하였을 때 수지상 세포의 표면 인자인 CD11c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KG-1 세포뿐만 아니라 NB4세포와 HL-60 세포에서도 Flt-3 수용체가 발현됨을 확인하였으나 THP-1 세포에서는 이들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았다. KG-1 세포를 Flt-3 리간드나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와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를 섞은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세포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CD11c 발현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Flt-3 리간드를 처리한 KG-1세포에서는 GM-CSF와 TNF-$\alpha$를 처리한 세포에서와는 다르게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I 및 MHC-II의 발현은 증가되지 않았다. Flt-3 리간드는 HL-60 세포와 NB4 세포의 CD11c 발현도 증가시켰으나 THP-1 세포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CD11c의 발현과 비교하여 CD11b의 발현은 Flt-3 리간드에 의하여 KG-1 세포에서는 약하게 증가하였으나 NB4 세포와 HL-60 세포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KG-1 세포를 Flt-3 리간드로 처리하였을 때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1/2 (ERK-1/2)와 p38-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MAPK)의 단백질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Flt-3 리간드에 의한 CD11c 발현의 증가는 MEK의 억제제인PD98059에 의하여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Flt-3 수용체 리간드의 처리에 의하여 $CD34^+$ myelomonocyte분화 단계인 KG-1 세포와 promyelocyte 분화 단계의 백혈병 세포에서 수지상 세포와 유사한 세포 형으로 분화된다는 것을 보였고 Flt-3 수용체 리간드에 의한 이들 백혈병 세포의 수지상 세포유사 세포로의 분화는 ERK-1/2의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NC8 Expressing an Anti-CD11c Single-Chain Fv Fragment

  • Liu, Jing;Yang, Guilian;Gao, Xing;Zhang, Zan;Liu, Yang;Yang, Xin;Shi, Chunwei;Liu, Qiong;Jiang, Yanlong;Wang, Chunf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160-170
    • /
    • 2019
  • The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has been used extensively for vaccine delivery. Considering to the critical role of dendritic cells in stimulating host immune response,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novel CD11c-targeting L. plantarum strain with surface-displayed variable fragments of anti-CD11c, single-chain antibody (scFv-CD11c). The newly designed L. plantarum strain, named 409-aCD11c, could adhere and invade more efficiently to bone marrow-derived DCs (BMDCs) in vitro due to the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scFv-CD11c and CD11c located on the surface of BMDCs. After incubation with BMDCs, the 409-aCD11c strain harboring a eukaryotic vector pValac-GFP could lead to more efficient expression of GFP compared with wild-type strains shown by flow cytometry analysis, indicating the enhanced translocation of pValac-GFP from L. plantarum to BMDCs. Similar results were also observed in an in vivo study, which showed that oral administration resulted in efficient expression of GFP in both Peyer's patches (PP) and mesenteric lymph nodes (MLNs) within 7 days after the last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CD11c-targeting strain significantly promoted th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DCs, the differentiation of $IL-4^+$ and $IL-17A^+$ T helper (Th) cells in MLNs, as well as production of $B220^+$ $IgA^+$ B cells in the PP. In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 novel DC-targeting L. plantarum strain which could increase the ability to deliver eukaryotic expression plasmid to host cells, indicating a promising approach for vaccine study.

Studies on Triterpenoid Corticomimetics

  • Han, Byung-Hoon;Han, Yong-Nam;Kim, Tae-Hee
    • 생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8-183
    • /
    • 1986
  • It was our working hypothesis that introduction of 11-keto groups to 12-oleanene/ursene series of triterpenoids should endow them with corticoid-like activities, since pharmacological actions of glycyrrhetinic acid (GA) are known to be caused by inhibition on $corticoid-{\delta}^4-reductase$. 11-Keto-triterpenoids derived artificially in these studies, such as 11, 19-diketo-18, 19-secoursolic acid methyl ester(I), $11-keto-{\beta}-boswellic$ acid derivatives (IIa-IIc), 11-Keto-presenegenin dimethyl ester (III), II-keto-oleanolic acid derivatives (IVa-IVd) and 11-keto-hederagenin (V) possess the fundamental functions of ${\alpha},\;{\beta}-unsaturated$ ketone on C-11 and hydroxyl group on C-3, as like GA (VI). Additionally, they involve the carboxyl groups on rings A (II, III), D (I, III, IV, V) and E (VI), and the hydroxyl groups on rings A (III, V) and C (III). All the compounds competitively inhibited $corticoid-5{\beta}-reductase$, and the highest inhibitory potency appeared in I. All of them except $3,\;11-diketo-{\beta}-boswellic$ acid methyl ester (IIc) were more effective about five times to twice than GA. On carrageenin-induced edema test, compounds I and IVa-IVd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ut III enhanced rather edema. Structure-activity relations were found in the aspects of hydrophilicity of ring A and hydrophobicity of rings C/D. The more they were hydrophilic in ring A and hydrophobic in rings C/D, the more they inhibited the enzyme. And the more they were hydrophobic in rings C/D, the more they exhibited antii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the increased hydrophilicity in ring A resulted in increasing edema, probably due to a nonspecific inhibition on $aldosterone-5{\beta}-reductase$.

  • PDF

시판막걸리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미생물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Makgeolli)

  • 권영희;이애란;김재호;김혜련;안병학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0-214
    • /
    • 2012
  • 시판되는 막걸리 3종을 $10^{\circ}C$$25^{\circ}C$에 저장하며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0^{\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11일 동안 7.0%를 넘지 않았으며 pH는 3.12-3.99, 총산은 0.22-0.28%였으며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는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에서 저장 한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저장 9일에 7.0%를 초과하였으며 pH와 총산은 각각 3.96-4.17과 0.27-0.30%로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 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의 효모수는 $10^{\circ}C$$25^{\circ}C$에 저장 시 각각 저장 3일과 1일에 $2.90-16.00{\times}10^7$ CFU/mL와 $1.12-29.40{\times}10^7$ CFU/mL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세균수는 $25^{\circ}C$에 저장 한 막걸리가 $10^{\circ}C$에 저장한 막걸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은 저장 3-7일 높게 나타났는데 $25^{\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서 $38.90-50.00{\times}10^7$ CFU/mL로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에 비하여 더 높게 검출되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25^{\circ}C$에 저장 한 막걸리는 저장 1일 이후부터 5.0 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며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는 저장 11일 후에도 4.9-5.2 수준을 나타내었다.

Agromyces silvae sp. nov., Rathayibacter soli sp. nov., and Nocardioides terrisoli sp. nov., Isolated from Soil

  • Hyosun Lee;Dhiraj Kumar Chaudhary;Dong-Uk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7호
    • /
    • pp.1475-1483
    • /
    • 2024
  • Three Gram-stain-positive, aerobic, rod-shaped, and non-motile bacteria, labelled as W11T, SW19T, and YR1T, were isolated from soil, and performed their polyphasic taxonomic investigation. The phylogenetic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strains W11T, SW19T, and YR1T belonged to the genera Agromyces, Rathayibacter, and Nocardioides, respectively. Strain W11T was closely affiliated with Agromyces cavernae SYSU K20354T (98.1%), strain SW19T showed the closest affiliation with Rathayibacter rubneri ZW T2_19T (97.0%), and strain YR1T was most closely related to Nocardioides marmorisolisilvae KIS18-7T (98.0%). The genome sizes of strains W11T, SW19T, and YR1T were 4,181,720 bp, 4,740,677 bp, and 4,228,226 bp, respectively, with DNA G+C contents of 70.5%, 64.2%, and 69.7%, respectively.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d digital DNA-DNA hybridization values of W11T, SW19T, and YR1T with their respective reference species were <79.6% and <23.6%,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cellular fatty acids detected in strain W11T were anteiso-C15:0, iso-C16:0, and anteiso-C17:0. In strain SW19T, they were summed feature 9 (C16:0 10-methyl and/or iso-C17:1ω 9c), anteiso-C17:0, and anteiso-C15:0. Strain YR1T exhibited C18:1ω 9c, C18:0 10-methyl, TBSA, and anteiso-C15:0 as its major cellular fatty acids. Overall, the polyphasic taxonomic comparisons indicated that strains W11T, SW19T, and YR1T represent novel species within the genera Agromyces, Rathayibacter, and Nocardioides, respectively. Accordingly, we propose the names Agromyces silvae sp. nov., with the type strain W11T (=KCTC 49818T =NBRC 115999T), Rathayibacter soli sp. nov., with the type strain SW19T (=KCTC 49860T =NBRC 116108T), and Nocardioides terrisoli sp. nov., with the type strain YR1T (=KCTC 49863T =NBRC 116165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