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usiness Service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EA 온톨로지 기반 비즈니스 서비스 자동 식별방안 (Automatic Identification of Business Services Using EA Ontology)

  • 정찬기;황상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91
    • /
    • 2010
  • Service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i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for a successful Service-Oriented Computing, being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recent years. In the Service-Oriented Analysis, the identification of business services has to be preceded before application services are identified. Most approaches addressing the derivation of business services are based on heuristic methods and human experts. The manual identification of business services is highly expensive and ambiguous task, and it may result in the service design with bad quality because of errors and misconception. Although a few of approaches of automatic service identification are proposed, most of them are in focus on technical architectures and application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on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business services by horizontal and vertical service alignment using Enterprise Architecture as an ontology.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of business services identification through a case study based on Department of Defense Enterprise Architecture.

XL-BPMN 모델 기반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기법 (A Business Service Identification Techniques Based on XL-BPMN Model)

  • 송치양;조은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3호
    • /
    • pp.125-138
    • /
    • 2016
  • 서비스 지향 개발에서 서비스 식별은 워크플로우, 목표와 시나리오, 유스케이스, 컴포넌트, 휘처, 패턴 등에 기반해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비즈니스 가치 관점에서 의미적 접근에 의한 서비스의 식별은 아직 구체화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XL-BPMN 모델 대상의 구조적 및 의미적 분석에 의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비즈니스 시나리오에 기반해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을 식별하고, 이 프로세스는 XL-BPMN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로 디자인한다. 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에서, 액티비티들간 구조적 패턴과 속성 기반 의미적 유사성의 통합된 분석 결과에 의해 밀접한 액티비티를 바인딩해서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를 식별한다. 이를 통해, 상위 비즈니스 가치 관점의 XL-BPMN 모델을 통한 정확성과 모듈성이 높은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을 할 수 있다. 식별된 서비스의 재사용을 통해서 서비스 지향 개발을 더욱 가속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사이언스를 위한 서비스의 식별 (Service Identification for Service Science)

  • 이상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9-224
    • /
    • 2007
  • Currently, the world has experienced a mass exodus of workforce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service related industry. In addition, the changes of industry structure toward service industry have been gradually accelerated. We have felt that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es about IT service systematizing and discovering the essence of service itself with scientific and synthetic ways based on Service Science. For Service Science researchers, service identification is regarded as a difficult activity when they contact it for the first time and they want to apply it real environment. In reality, there exist mismatches between business and IT service to identify service since service is identified from the business point of view in Service Science area and it is identified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in IT service area. In this paper, we have conducted researches about service identification placed on the first priority and regarded as difficult area in service-oriented business area. To lessen aforementioned difficulties, we propose procedures and methods for extracting and identifying service in the viewpoint of business process. We conducted case study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research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the excellence of our proposal.

SOA 구현을 위한 프로세스 기반 서비스 정의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Process Based Service Identification Methodology for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Construction)

  • 최진호;이진미;임상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10
  •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SOA) is an enterprise-scale IT architecture for linking software resources available on the network. SOA is believed to become the future enterprise solution that promises the agility and flexibility by integrating business processes through composition of the software services across enterprises. The first step for SOA construction is to identify the servic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cess-based service identification methodology for SOA through a case study of an IT company. Our methodology is composed of three steps: Processes (business & technical processes) analysis and systems analysis, Service candidates selection, and Service evaluation and construction planning. This framework would be practical and could be accepted to other organizations as it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real case.

전사적 아키텍처 기반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및 품질평가 (A Business Service Identification and Quality Evaluation Using Enterprise Architecture)

  • 정찬기;황상규;변영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7D권5호
    • /
    • pp.347-352
    • /
    • 2010
  • 자동화된 서비스 식별 및 품질평가는 서비스 지향 컴퓨팅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며, 특히 최근 몇 년간 이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식별 및 품질평가에 집중되어 있으며, 비즈니스 프로세스로부터 비즈니스 서비스를 식별하고 품질평가를 자동화하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은 전문가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지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모호성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실수 및 오해로 인해 낮은 품질의 서비스 설계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사적 아키텍처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지식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한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과 품질평가의 자동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 방안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 미국 국방부의 전사적 아키텍처를 활용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계층적 온톨로지 기반의 SOA서비스 식별 모델 (A SOA Service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Hierarchical Ontology)

  • 박세권;최고봉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3-340
    • /
    • 2013
  • A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comes critical in today's open and complex business environment network, the issues and solutions on compatibility and reusability between different kinds of applications are be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well in systems analysis and design. And therefore, service-centered SOA is receiving attention in such business environment as a strategic approach that makes possible for prompt ac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and business process.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SOA, however, in practical aspects most of them have some problems since they fail to propose specific policies in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services for the exact user requirements and business situations. To solve or alleviate tho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a new service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hierarchical ontology, where three different ontologies such as business ontology, context ontology and service ontology are propo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and design the link between user requirements, business process, applications and services. Through a suggested methodology in this paper,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proactive services that meets a variety of business environments and demands of user. Also, since the information can be modified adaptively and dynamically by hierarchical ontology,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systems and business environments.

A Method of Service Refinement for Network-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

  • Lee, Haejin;Kang, Dongs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97-105
    • /
    • 2016
  • Network-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NCOE) service becomes critical in today's military environment network because reusability of service and interaction are be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well in business process. However, the refinement of service by semantic similarity and functional similarity at the business process was not detailed yet. In order to enhance accuracy of refining of business service, in this study, the authors introduce a method for refining service by semantic similarity and functional similarity in BPMN model. The business process are designed in a BPMN model. In this model, candidated services are refined through binding related activities by the analysis result of semantic similarity based on word-net and functional similarity based on properties specification between activities. Then, the services are identified through refining the candidated service.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enhance the service identification with accuracy and modularity. It also can accelerate more standardized service refinement developments by the proposed method.

서비스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사례연구 (U-Commerce in Service Space : Business Model Analysis and Case Study)

  • 이현석;이경전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45-61
    • /
    • 2008
  • 기존의 유비쿼터스 상거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연구인 반면, 서비스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 상거래에 대한 연구는 드물게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은 서비스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상거래 사례(맥도날드의 터치오더 서비스)를 분석하고, 현실 사례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공간에서 새로운 가치창출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인 Media Embedded Place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였다. Media Embedded Place 비즈니스 모델은 비교적 이동성이 없는 테이블이나 게시판과 같은 사물에 태그를 부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거래를 발생시키고 그 대가로 공간을 제공한 사업자가 인센티브를 취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일컫는데, 이 모델을 위한 시나리오와 애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하고, Tag-Evaluation 모델을 이용한 수익성 분석 사례를 설명하였다.

  • PDF

비콘을 이용한 사업장과 고객간 상호작용을 위한 고객식별 서비스 플랫폼 (Customer Identification Service Platform for Interaction between Business Firms and Customers using Beacon)

  • 김태웅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17-23
    • /
    • 2017
  • 오늘날 사업장들은 고객의 소비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IT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객이 해당 사업장 근처에 접근했을 때 광고 문자나 할인쿠폰을 보내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은 사업장과 고객간의 상호작용이 아닌 사업장의 광고 내용을 고객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고객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형태이며 사업장은 어떤 고객에게 해당 광고내용을 전송했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없다. 현재 대부분의 서비스가 이러한 형태에 속한다. 따라서 사업장과 고객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위치기반 고객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것은 고객이 사업장을 방문했을 때 어떤 고객이 어떤 사업장을 방문하였는지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해당 사업장의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사업장은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을 이용하여 사업장과 고객간의 상호작용 및 고객식별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한다. 또한 특정한 하나의 사업장에 제한된 것이 아닌 다양한 사업장과 고객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환경을 제공한다.

서비스 환경에서 브랜드 개성의 결정요인과 결과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Brand Personality in the Service Environment)

  • 김형길;김윤정;김정희
    • 감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221-241
    • /
    • 2007
  • 본 연구에서 브랜드 개성은 소비자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하에, 서비스산업에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탐색하였다.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업종에서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비스의 특성과 구매동기에 따라 서비스 산업을 네 차원으로 분류하여 패스트푸드점, 영화관, 은행, 종합할인점을 대상으로, 각각 이 분야의 대표적인 브랜드를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개성은 조사 대상 모든 서비스산업에도 유용하며, 서비스경험, 가격, 광고, 물리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고, 브랜드 동일시, 전환장벽, 재구매의도에 각각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