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kholderia sp.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Cloning and Expression of a Parathion Hydrolase Gene from a Soil Bacterium, Burkholderia sp. JBA3

  • Kim, Tae-Sung;Ahn, Jae-Hyung;Choi, Min-Kyeong;Weon, Hang-Yeon;Kim, Mi-Sun;Seong, Chi-Nam;Song, Hong-Gyu;Ka, Jong-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890-1893
    • /
    • 2007
  • A bacterium, Burkholderia sp. JBA3, which can mineralize the pesticide parathion, was isolated from an agricultural soil. The strain JBA3 hydrolyzed parathion to p-nitrophenol, which was further utilized as the carbon and energy sources. The parathion hydrolase was encoded by a gene on a plasmid that strain JBA3 harbored, and it was cloned into pUC19 as a 3.7-kbp Sau3AI fragment. The ORF2 (ophB) in the cloned fragment encoded the parathion hydrolase composed of 526 amino acids, which was expressed in E. coli DH10B. The ophB gene showed no significant sequence similarity to most of other reported parathion hydrolase genes.

배양법과 DGGE에 의한 해양세균 군집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Culture-dependent and DGGE based Method for the Analysis of Marine Bacterial Community)

  • 김말남;방효주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07-313
    • /
    • 2006
  • 2004년 9월과 11월, 2005년 1월, 5월 및 8월의 총 5회에 걸쳐 대한민국 통영연안의 1개 정점에서 표층해수를 계절별로 채취하여 해양세균 군집을 분석하였다.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하여 VITEK Microbe ID system으로 동정한 배양법과 16S rRNA PCR-DGGE로 분석한 결과를 상호비교하였다. 배양법에 의한 각 계절별 해양세균 군집의 종조성은 2004년 9월은 5종, 11월은 5종, 2005년 1월은 4종, 5월은 6종 및 8월은 10종으로 조사되었고, Pseudomonas fluorescens와 Acinetobacter lwoffii는 계절과 관계없이 모두 검출되었으며, 그 외에 Pseudomonas stutzeri, Sphingomonas paucimobilis 및 Burkholderia mallei 등이 동정되었다. 16S rRNA PCR-DGGE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는 2004년 9월은 10개체군, 11월은 11개체군, 2005년 1월은 6개체군, 5월은 9개체군 및 8월에는 13개체군이 조사되었고, Acinetobacter lwoffii, Burkholderia mallei, Pseudomonas fluoresence, Actinobacillus ureae, Burkholderia sp., Pseudomonas stutzeri, Roseobacter sp., Vibrio parahaemolyticus, Sphingomonas paucimobilis 및 Rugeria algocolus 등이 동정되었다. 이로부터 해양세균 군집의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데는 16S rRNA PCR-DGGE가 배양법보다 더 효율적임이 판명되었다.

아미노산액 처리에 의한 인산가용화균주의 생육 및 가용화 효과 (Effect of Amino Acid Solution for Cell Growth and MPS Activity of Mineral Phosphate Microorganisms.)

  • 이진우;정연주;최시림;김재훈;유주순;김영길;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90-495
    • /
    • 2004
  •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균주인 Burkholderia sp. DA23과 Klebsiella sp. DA7l-1 두 균주를 사용하여 농도별 아미노산 첨가에 따른 성장 양상과 유리인산 방출량을 조사한 결과, 두 균주의 생육과 인산가용화에 있어 아미노산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23과 DA7l-1 모두 0.05%와 0.1%의 아미노산을 SM배지에 첨가하여 성장 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미노산을 첨가한 배지의 균주가 아미노산을 처리하지 않은 배지의 균주에 비해 높은 세포 밀도 성장을 보여주었다. 인산가용화 균주의 아미노산 첨가의 경우 무처리보다 높은 pH 저하를 보였으며, 또한 아미노산 첨가가 아미노산 무처리구에 비해 2배이상 높은 인산가용화 효과를 보였다. DA7l-1의 아미노산 첨가의 경우는 DA23의 아미노산 첨가보다 아미노산 첨가에 의한 인산가용화 효과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ydroxyapatite와 tri-calcium phosphate 의 인산염 차이에 따른 아미노산 처리 효과는 없었으며, 0.05%의 미량의 농도에서도 인산가용화로의 세포밀도 성장 및 가용화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Bacillus와 내생포자 발아가 유기물 제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acillus and Endospore Germinations on Organic Matter Removal)

  • 남지현;배우근;이동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9-175
    • /
    • 2007
  • B3(Bio Best Bacillus)와 RABC(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공법은 Bacillus를 이용하여 유기물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 폐수처리 시설에 이용되고 있는 Bacillus의 유기물 제거에 대한 미생물학적인 특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성슬러지에서 보고되는 균주 Burkholderia cepacia(KCTC 2966)를 대조균으로 하고 Bacillus megaterium(KCTC 3007), Paenibacillus polymyxa(KCTC 3627) 균주와 B3 공법의 분뇨처리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4개 균주 Bacillus sp.(A12, C21, F12, L1)를 선정하여 0.2% Nutrient Broth, $30^{\circ}C$에서 배양하면서 Burkholderia의 Bacillus의 유기물 제거능력을 비교하였다. 접종량에 따른 개체군 차이로 유기물 제거능력이 영향 받을 수 있지만, Bacillus의 유기물 제거능력이 Burkholderia보다 $2\sim5$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acillus megaterium과 Bacillus sp.(C21, F12, N12)의 영양세포와 내생포자의 유기물 제거능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내생포자의 제거능력이 영양세포보다 더욱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토양에서 분리한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분해균의 분해활성 증진 (Improvement of Degrading Activity of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Degrading Strains Isolated from Soils)

  • 주현진;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98-204
    • /
    • 2009
  •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성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균주에 대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부터 각각 Burkholderia cepacia PBSA-4, Bacillus licheniformis PBSA-5 및 Burkholderia sp. PBSA-6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들의 PBSA 분해 활성은 $27^{\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7^{\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분해 활성이 감소하였다. 초기 균 접종량이 $10^{10}cfu\;mL^{-1}$일 때 $10^9cfu\;mL^{-1}$보다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1.3배 증가하였다. 0.1 및 0.5%의 gelatin, yeast extract 및 ammonium sulfate를 첨가한 경우에 PBSA의 분해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0.1% gelatin의 첨가는 PBSA의 분해 활성을 33% 증진시켰다. 또한 각 분리균주를 단독 배양할 때보다 두 균주를 혼합 배양한 경우는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배~2.1배까지 증진되어 PBSA의 생분해도는 54~68%에 도달하였다.

Effects of Nutrients on Quorum Signals and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s of Burkholderia sp. O33

  • Keum, Young-Soo;Lee, Young-Ju;Lee, Youn-Hyung;Kim, Jeong-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142-1149
    • /
    • 2009
  • Several bioactive metabolites, including pyrrolnitrin, N-acylhomoserine lactones, and polyhydroxyalkanoates were isolated from Burkholderia sp. O33. Effects of various nutrients, including sugars, gluconolactone, glycerol, tryptophan, chloride, and zinc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these metabolites. Logarithmic increase of pyrrolnitrin was observed between 2-5 days and reached a maximum at 7-10 days. Tryptophan concentration reached the maximum at 3 days, whereas 7-chlorotryptophan was gradually increased throughout the studies. Among various carbon sources, gluconolactone, trehalose, and glycerol enhanced pyrrolnitrin production, whereas strong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with glucose. Relative concentrations of pyrrolnitrin and its precursors were in the order of pyrrolnitrin$\gg$dechloroaminopyrrolnitrin or aminopyrrolnitrin throughout the experiments. Among three N-acylhomoserine lactones, the N-octanoyl analog was the most abundant quorum sensing signal, of which the concentrations reached the maximum in 2-3 days, followed by a rapid dissipation to trace level. No significant changes in pyrrolnitrin biosynthesis were observed by external addition of N-acylhomoserine lactones. Polyhydroxyalkanoates accumulated up to 3-4 days and decreased slowly thereafter. According to the kinetic analyses, no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levels of pyrrolnitrin, N-acylhomoserine lactones, and polyhydroxyalkanoates.

Chlorella sp. MF1907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다양한 종속영양세균의 영향 (Effects of Different Heterotrophic Bacteria on Phototrophic Activity of Chlorella sp. MF1907)

  • 노영진;정소연;김태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01-110
    • /
    • 2021
  • 다양한 환경에서 미세조류와 종속영양세균(heterotrophic bacteria) 사이의 상호작용은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Chlorella sp. MF1907와 서로 다른 속(genus)에 속하는 31종의 종속영양세균을 공배양(co-culture)하여 MF1907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종속영양세균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6종의 종속영양세균(Agromyces, Rhodococcus, Sphingomonas, Hyphomicrobium, Rhizobium, Pseudomonas)은 MF1907의 광합성 활성을 증가시켰으며(p < 0.05), 12종의 종속영양세균(Burkholderia, Paraburkholderia, Micrococcus, Arthrobacter, Mycobacterium, Streptomyces, Pedobacter, Mucilaginibacter, Fictibacillus, Tumebacillus, Sphingopyxis, Erythrobacter)은 MF1907의 광합성 활성을 저해하였다(p < 0.05). 종속영양세균 중 MF1907의 광합성 활성에 유의미한 효과(positive, negative, neutral)를 나타낸 16종을 선택하여 MF1907의 종속영양에서 독립영양으로의 활성 전환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8종의 종속영양세균은 공배양 결과와 동일하게 MF1907의 종속영양에서 독립영양으로의 활성 전환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나머지 8종은 공배양 결과와 MF1907의 종속영양에서 독립영양으로의 활성 전환에 미치는 결과가 반대를 나타내었다. 공배양과 활성 전환 실험 모두에서 일관되게 Pseudomonas와 Agromyces는 MF1907의 광합성 활성을 강하게 증가시켰으며(p < 0.05), Burkholderia, Streptomyces, Erythrobacter는 MF1907의 광합성 활성을 강하게 저해하였다(p < 0.05).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종속영양세균과 미세조류 사이의 상호작용 이해를 도모하고 종속영양세균을 활용하여 자연 환경과 공정 시스템에서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urkholderia pyrrocinia CH-67 to Control Tomato Leaf Mold and Damping-off on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 Lee, Kwang-Youll;Kong, Hyun-Gi;Choi, Ki-Hyuck;Lee, Seon-Woo;Moon, Byung-J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59-67
    • /
    • 2011
  • A bacterial strain CH-67 which exhibits antagonism towards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Botrytis cinerea, Fulvia fulva,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totrichum sp. and Phytophthora sp.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by a chitin-baiting method.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Bcc) and belonging to genomovar IX (Burkholderia pyrrocinia) by colony morphology, biochemical traits and molecular method like 16S rRNA and recA gene analysis. This strain was used to develop a bio-fungicide for the control of tomato leaf mold caused by Fulvia fulva. Various formulations of B. pyrrocinia CH-67 were prepared using fermentation cultures of the bacterium in rice oil medium. The result of pot experiments led to selection of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CH67-C containing modified starch as the best formulation for the control of tomato leaf mold. CH67-C, at 100-fold dilution, showed a control value of 85% against tomato leaf mold. Its disease control 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emical fungicide triflumidazole. B. pyrrocinia CH-67 was also effective in controlling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PY-1 in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plants. CH67-C formulation was recognized as a cell-free formulation since B. pyrrocinia CH-67 was all lethal during formulation process.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biocontrol formulation of biofungicide using B. pyrrocinia CH-67 to control tomato leaf mold and damping-off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북극 지의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배양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acterial Culture Extracts Isolated from Arctic Lichens)

  • 김미경;박현;오태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3-338
    • /
    • 2012
  • 지의류는 곰팡이, 조류 및 남조균류의 공생체이다. 본 연구팀은 최근 북극 지의류로부터 분리한 몇몇 미생물 종의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그들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ladonia sp., Sterocaulon sp., Umbilicaria sp. 및 Cetraria sp. 총 4종류의 지의류로부터 5종의 미생물을 새롭게 분리하였고 배양 후, 다양한 용매 추출법으로 그들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DPPH와 ABTS 자유 라디컬 소거능 측정법 및 FRAP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역시 수행하였다. 지의류 유래 미생물 배양 추출액 중, Burkholderia sordidicola S5-B(T) 유사 미생물 종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은 DPPH 분석에서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 (51.3%)에 비해 72.9%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높은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지의류 유래 미생물 종들은 잠재적으로 천연 항산화제의 원천소재로서 이용가능할 것이다.

Quorum Sensing Signal in Burkholderia sp.

  • Lee, Yun-Jung;Kim, Soo-Ki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161-161
    • /
    • 200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