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get Determinant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초

서울특별시립도서관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Municipal Libraries in Seoul)

  • 김향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243-279
    • /
    • 1989
  • Public library effectiveness is determined by a complexit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libra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ommunity environments and library resources as determinants of the output measures of the 15 municipal libraries in Seoul and to cope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hypotheses that the library's output would be proportioned to the size of budget and library collection, an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and of the community in which the library develops.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population density, family size, institutions (social, cultural, financial and educational), presence of the mass media, size of service area, and economic level of the community. The output measures employed for analysis are: number of professional staff, expenditures, number of books in the collection, number of books added annually, total circulation, number of library visits, circullation per capita, library visits per capita, .and registration as a percentage of population. The recommendation made in this study is the innovation of the 15 libraries in organization.

  • PDF

액셀러레이터 투자자와 창업자의 스타트업 투자결정요인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ment Decision Factors of Accelerator)

  • 변정욱;김윤배;이병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45-55
    • /
    • 2022
  • 액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에게 창업지원시설, 자금, 사업화, 판로확보 등의 다양한 애로사항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민간투자기관이다. 액셀러레이터가 새로운 창업지원 모델로 투자자 역할 외에 집중적인 멘토링을 통해 스타트업의 사업능력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투자자관점의 투자결정요인에 치중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액셀러레이터 투자자 창업자 간의 스타트업 투자결정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용도를 AHP방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액셀러레이터 투자자는 스타트업의 "경영자 특성"을 스타트업 창업자는 스타트업의 "시장 특성"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자 관점에서 스타트업의 성공이 창업자의 역량에 좌우한다는 경험적 판단에 기인한 것이며, 창업자는 투자자가 투자회수기간을 고려하여 스타트업의 시장성을 중요하게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엔젤투자자,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논문은 액셀러레이터가 성장가능성 높은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인큐베이팅과 투자에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한 투자결정모형의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20-30대 미혼 독신가계의 가계관리 특성 및 가계부 기록의 효과 -인터넷 리서치를 통한 가계부 조사를 이용하여- (Effect of Keeping a Household Account Book on Economic Life of Japanese in their 20s to 30s in a Single-Family Household -Using an Internet survey of household account books-)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1호
    • /
    • pp.115-140
    • /
    • 2014
  • In light of today's socioeconomic scenario, life management skills, especially economic life management skills are essential. This study focuses on a household account book as a tool for economic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economic management in terms of the effect of keeping a household account book on Japanese in their 20s to 30s in a single-family household. It also compares the awareness of the change in economic life behavior between before and after keeping a household account book. Moreover, it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continuity in keeping a household account book. This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an Internet survey of household account books by the Institute for Research on Household Economics in Japan. The study sample consist of 1,255 Japanese in their 20s to 30s who kept household account records for a month as well as preliminary and post-survey information about these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the subjects was at most 3,000,000 yen; their level of financial assets was at most 1,000,000 yen, their economic life behavior became future-oriented after practice of keep a household account book in that they established a budget and savings plan. Second, keeping a household account boo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ople that they have budget and spending plans for the next year. Finally, factors that affected the continuity in keeping a household account book included the experience of keeping one from before.

서울 소재 대학도서관 운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대출성과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perating Performance of Academic Libraries in Seoul - Focused on Circulation Performance -)

  • 양병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2호
    • /
    • pp.163-1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운영성과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들을 파악하고, 각 변수들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경쟁력 실태와 장기적인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 활동에 대한 성과측정치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는 도서관 대출성과와 특성요인들(면적, 직원수, 장서수, 예산)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도서관협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도서관연감에 포함된 통계 자료에 기초하여 이러한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장서수와 도서관의 예산 규모 및 도서관 고유의 공간 면적 등과 같은 요소가 대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가설 1, 3 및 4 입증). 이와 같은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도서관의 환경적 요소를 구성하는 도서관 면적이나 장서의 구입 및 개발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대학당국을 만족시키고, 그러한 활동에 대한 투자(예산 지원)를 통하여 지속적인 도서관 활동(도서대출) 성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농업·농촌의 사회·문화적 기능 가치 평가 (Assessing Economic Value of Social-cultural Function of Korean Agriculture)

  • 성재훈;김수석;유찬희;조원주;강경수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15-26
    • /
    • 2020
  • Although the demand and awareness of public regarding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ould increase recently, the sustainability of them has continuously decreased. To deriv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ements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is study analyzed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its determinants by uisng contigent valua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positively affected b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interest in problems regarding agriculture in Korea, awareness of soci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experience in rural life. These results would imply that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awareness and experiences increase the value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addition, the results imply that more divers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are required in order to change awareness of future generations in response to decreases in population having experiences in agriculture and rural life due to urbanization. Las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about 35,600 won, and total willingness to pay for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about 998.3 billion won. This is much larger than the government budget on enhancement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2019. This difference between government budget and the total willingness to pay implies that Korean government would be required more positive policies to maintain and enhance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in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 이학준;허식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3호
    • /
    • pp.3-30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행복결정요인에 있어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2014 서울서베이"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는 개인의 행복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 자체에서 즐거움이 발생하며 향유 과정에서 또한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이 유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수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을 고 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이한 점은 저소득 저학력 집단은 고소득 고학력 집단에 비해 문화예술소비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를 통해 얻는 효용의 크기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금전 및 시간적 제약에서 비롯하는 기회비용이 고소득 고학력 집단에 비해 저소득 저학력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소득 집단의 경우,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출금액이 일정수준을 초과하면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문화예술 활동참여에 있어 저소득 집단에서 금전적 제약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지방자치단체 자체 복지사업 지출 영향요인 분석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접근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Welfare Spending of Local Authority : Implementing the Detailed Data Extracted from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 김경준;함영진;이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1-156
    • /
    • 2013
  • 그 동안 한국 사회에서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복지사업과 재정지출에 대한 연구는 장애인, 노인, 보육 등 복지사업 대상 등을 중심으로 부문별 복지지출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져 왔다. 최근 지자체의 자체적인 복지노력도 측면에서 자체 사업에 대한 연구가 특정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는 하고 있지만, 자료에 대한 접근과 조사의 한계로 여러 요인이 실증적으로 고려되지 못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기 어려웠다. 현재 우리사회의 복지예산과 그 지출규모는 국가 예산의 30%에 이를 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위해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하는 지방재정시스템이 아닌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지자체 복지재정 지출과 관련, 기존 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전수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조사를 실시하여 학문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복지전달체계의 효율화를 위해 구축되었으며, 이를 통해 17개 부처 292개 복지사업이 집행되며, 230개 지자체 4만여 개 복지사업의 정보가 관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지자체 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지자체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 복지노력도로 대변되는 순수 시 군 구 복지예산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기존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지역 경제적 그리고 지자체 재정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독립변수 요인간 다중공선성 문제를 점검하였고,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수급자 비율, 영유아 비율, 아동청소년 비율, 복지비 비율, 구인배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의 총 7개 독립변수와, 소속 정당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여 결정요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본모델에서는 복지비 비율, 영유아 비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구인배율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존 문헌에서 분석되지 못했던 시 군 구별 복지지출 영향요인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복지예산 총량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 연구들이 논의하지 못했던 자체 복지사업 예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혀내는데 의의가 있다.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성과 결정요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사례연구 - (Determinants of R&D Performance of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A Case Study of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 최호영;최치호;김정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91-812
    • /
    • 2011
  •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성과를 높이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실증적 사례연구이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구과제 자료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성과의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다시 연구원들의 인식조사와 비교 검토하였다. 회귀분석결과 논문 성과의 경우 총 연구비, 비정규직 인력비율, 훈련비 지출여부, 연구책임자의 전년도 논문실적이 주요 성과 요인이었으며 특허등록 및 기술이전 성과의 경우 총 연구비, 기자재(재료비)지출 비율, 위탁과제의 포함 여부가 주요 성과요인이었다. 이는 논문성과와 특허(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각 성과를 위한 연구개발 정책은 차별화 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분석된 성과 요인들은 연구원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원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이를 종합하여 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분석을 정교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

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in Indonesia: A Dynamic Panel Model

  • BASUKI, Agus Tri;PURWANINGSIH, Yunastiti;SOESILO, Albertus Maqnus;MULYANTO, Mulyant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147-15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spending, macroeconomic variables, and BPK opinion on economic growth.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inequality of fiscal policy effectiveness between regions in Indonesia in influencing the economic growth of different regions,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attract foreign investors, and the transparency of regional financial management in designing development programs to encourage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analytical tool in this study is a dynamic panel regression model with data from 2008 to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short term, the population affects regional economic growth, while in the long term, the economic growth is affected by the number of people, the poor, General Allocation Fund, health budget, foreign investment and BPK opin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in the long term the General Allocation Fund becomes an obstacle to economic growth, this is because the general allocation funds is widely used to cover the lack of funds for routine regional activities, thereby reducing activities for development programs. Another research finding is that fiscal policies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make a small and ineffective contribution to promoting economic growth.

민간부문의 건강증진 사업과 연구 현황, 발전방향과 과제 -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건강증진 사업과 연구를 중심으로 -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and Research in Private Sectors: Focusing on the KAHP Experiences)

  • 조한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56
    • /
    • 2012
  •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future directions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HPP) and research in private sectors in Korea. Methods: Publications and web-site information of public health organizations, WHO-Health Promoting Hospitals member institutes, health/medical academic societies, and professional unitie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Activities of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KAHP) were described in detail considering its leading role in health examination and promotion field in Korea. Results: The most common HPPs in private sectors were health education and public health campaig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seases.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lifestyle changes and longitudinal follow-ups were the routine process for managing high risk groups at KAHP. Health promotion research in private sector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health problems and behavioral determinants, and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most serious issues in HPPs of the private sectors were limited budget and manpower along with a lack of public recognition and a system-level support. Conclusion: To promote HPPs and research in private sectors, a system for financial sustainability should be introduced. They also need scientific evidence from research. 'Borderline medicine', a discipline specialized in management of high risk borderline group, could lead HPPs to sustainable private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