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기술혁신학회지)
- Volume 14 Issue 4
- /
- Pages.791-812
- /
- 2011
- /
- 1598-2912(pISSN)
- /
- 2713-8666(eISSN)
Determinants of R&D Performance of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A Case Study of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성과 결정요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사례연구 -
- Received : 2011.03.30
- Accepted : 2011.11.1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factors that influence R&D performa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the representativ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in Korea, through an empirical case study. Using the KIST R&D project data from 2004 to 2008, we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R&D performance through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survey data we collected from researchers. Our results indicate that total budget, high rate of temporary researchers, and the outcome of the research director's past publications affect publishing performance, while the size of equipment, materials expenditure, and whether the research is outsourced or not affect patent registration performance and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Contrary to expectations, major factors of publishing performance and that of patent performance are different respectively, and even the results of the survey data we collected from researchers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ly, the findings of our study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institutes to conside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researchers and enhancing research policy analysis for improving R&D performance.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성과를 높이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실증적 사례연구이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구과제 자료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성과의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다시 연구원들의 인식조사와 비교 검토하였다. 회귀분석결과 논문 성과의 경우 총 연구비, 비정규직 인력비율, 훈련비 지출여부, 연구책임자의 전년도 논문실적이 주요 성과 요인이었으며 특허등록 및 기술이전 성과의 경우 총 연구비, 기자재(재료비)지출 비율, 위탁과제의 포함 여부가 주요 성과요인이었다. 이는 논문성과와 특허(기술이전)성과의 영향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각 성과를 위한 연구개발 정책은 차별화 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분석된 성과 요인들은 연구원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원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이를 종합하여 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분석을 정교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