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Intimac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Brand Anthropomorphism, Brand Reputation, and Consumer Engagement in the Distribution of Smartphone Brands

  • Ngoc Dan Thanh NGUYEN;Trong Phuc NGO;Ngoc Van MAI;Kim Ngan TRA;Tran Huy Hoang LE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Brand Anthropomorphism and Intimacy on Brand Engagement, and at the same time analyze the regulatory effect of Brand Repu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thropomorphism and Intim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and Brand Engagement in terms of distribution brand.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Brand Anthropomorphism, Intimacy, and Brand Reputation are important value factors in customers' minds toward their behavior, and from there, they will contribute to creating positive emo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article used the quantitative technique utilizing PLS-SEM software to test the hypothesis with 1,060 samples. Collected data shows that consumers in Ho Chi Minh City have positive emotions and interactive and social behaviors toward smartphone brands. Conclusion: The study has demonstrated the conclusions and proposed solutions to help smartphone brands build Brand Anthropomorphism while enhancing Brand Reputation thereby achieving Intimacy, which leads to consumer Brand Eng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complements the concept of Brand Anthropomorphism which is lacking in theoretical background and is the first study in Vietnam to explore the prefixes and suffixes of the concept of Brand Anthropomorphism and the regulatory role of Brand Reputation.

패밀리 레스토랑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산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on the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in the Family Restaurant in Masan, Korea)

  • 김현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6-4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on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in the family restauran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20 students in the K University located in Masan, who were sampled by convenience-sampling method. Th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10 to 24,2005. The 287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and 15 unusabl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hen 272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response rate: 85.0%).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3 constructs(self-connective attachment, satisfaction and intimac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visit intent(p<.01) and 2 constructs(satisfaction and intimac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recommendation intent in the family restaurant(p<.01) It meant that as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became stronger, the customer's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became greater. As a conclusion, the foodservice manager in the family restaurant should focus on the marketing strategy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especially emphasizing on satisfaction and intimacy in order to increase the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of customers.

B2B 거래환경에서 SNS 활용과 기업 브랜드 신뢰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nd Firm's Brand Trust in B2B Context)

  • 김지혜;이원준;강윤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7-145
    • /
    • 2016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empirically how brand trust can be formed from the customer-brand relationship through a direct use of firm's SNS in B2B context. The brand trust is fundamental elements to understanding of long-term relationship in a B2B contex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is through a personally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180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from the buyer or supplier who frequently visited partner's firm SNS. Excluding missing data, 120 usable data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first, three SNS motivations (i.e. Information, social and entertai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value of SNS (i.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Seco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positively affect customer-brand relationship (brand intimacy, brand attachment). Third, the customer-brand relation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trus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These findings help manager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relation between SNS use and a customer-brand relationship for long-term relationship in B2B.

관광목적지의 러브마크,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Love Marks, Brand Identification, Brand Equity & Behavior Intention)

  • 이정은;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65-173
    • /
    • 2017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러브마크, 브랜드 동일시 및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러브마크가 자아동일시에 영향관계는 각각 러브마크의 성과는 자아동일시간의 관계, 러브마크의 친밀감은 자아동일시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나고 있었으며 러브마크의 신뢰는 자아동일시에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러브마크는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관계는 우선 러브마크는 브랜드품질에 유의한 영향에서 확인한 결과 친밀감과 브랜드 품질간의 관계, 신뢰와 브랜드 품질간의 관계의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성과는 브랜드 품질은 유의한 성과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러브마크는 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관계에서 성과와 브랜드 가치간의 관계, 친밀감과 브랜드 가치간의 관계의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성과는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성과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자아일치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는 자이일치성은 행동의도간의 관계간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브랜드자산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는 브랜드품질과 행동의도간의 관계, 브랜드가치와 행동의도간의 관계 순으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영유아 이유식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관계의 질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d image on 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reuse intentions in baby food)

  • 이호진;나희라;이민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3호
    • /
    • pp.302-311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영유아 이유식 브랜드 B에 대해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식하는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관계의 질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가 인식하는 영유아 이유식 브랜드 B에 대한 이미지는 브랜드 관계의 질 중 자아연관, 몰입, 파트너 품질 및 친밀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가 인식하는 영유아 이유식 브랜드 B에 대한 관계의 질 중 몰입, 파트너 품질 및 친밀함은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관계의 질 중 자아연관은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의 영유아 제품 재이용 의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은 브랜드 B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을 통해, 소비자에게 해당 브랜드에 대해 몰입 할 수 있고 파트너로서 관계를 인식 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에게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인식시킨다면 타 사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형성이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라는 것을 인식해야 하며, 소비자가 높게 인식하는 브랜드 이미지 요소와 낮게 인식하는 브랜드 이미지 요소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의 질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재이용 횟수가 증가하나 소요되는 기간이 소비자 성향에 따라 다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영향력을 측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브랜드 개성,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재구매 의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국내 피자 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rand Personality,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Domestic Pizza Market)

  • 김민정;서경화;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8
    • /
    • 2013
  • 국내 피자 시장은 성숙기에 있는 상태로,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이에 쉽게 모방할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보다는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브랜드 개성이 기업의 이미지를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Aaker JL(1997)의 브랜드 개성척도(BPS)를 바탕으로 피자 브랜드의 개성,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재구매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9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 16.0과 AMOS 5.0 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이용성을 검토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chi}^2$=394.809(p<0.001), ${\chi}^2$/df=1.747, RMR=0.087, GFI=0.900, NFI=0.920, CFI=0.964, RMSEA=0.051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브랜드 개성 중 진실함 (${\beta}$=0.220), 유능함 (${\beta}$=0.167), 세련됨 (${\beta}$=0.420)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인 친밀함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실함 (${\beta}$=0.269), 유능함 (${\beta}$=0.185), 세련됨 (${\beta}$=0.179), 강인함 (${\beta}$=0.114)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인 브랜드 파트너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인 친밀함(${\beta}$=0.515)과 브랜드 파트너 품질(${\beta}$=0.155)은 재구매 의도에 정(+)의(p<0.001)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향후 실무적인 관점에서, 해당 기업은 마케팅에서의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본 연구의 피자 브랜드 개성에 대한 연구의 결과들을 이용할 수 있다.

  • PDF

로열티 프로그램이 고객 참여와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기초한 관계형 시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프랜차이즈 회원제 휘트니스클럽을 대상으로 (The Marketing Effect of Loyalty Program on Relational Market Behavior : Focusing in Franchise Membership Fitness Club)

  • 윤경구;신건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8
    • /
    • 2012
  • 본 연구는 Sheth and Parvatiyar(1995)가 제시한 관계형 시장 행동의 가정과 정의에 대한 Bagozzi(1995), Peterson(1995)의 논평에 기초해 관계 마케팅 방식으로서 로열티 프로그램이 고객 참여와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기초한 관계형 시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해 보았다.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한다. 첫째, 로열티 프로그램의 관계적 성과를 검증한 결과, 로열티 프로그램이 고객의 참여, 소비자-브랜드 관계, 관계형 시장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실증하였다. 선행 연구에서의 주장과 일치하는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와 기업이 마케팅 관계에 참여하려는 의지와 능력은 더 높은 마케팅 생산성을 낳는다는 Sheth and Parvatiyar(1995)의 제안 명제를 확인시켜 주고 있다. 둘째,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매개효과 그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구성 변수와 관계형 시장 행동의 구성 변수간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인 인과 관계에 대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주장(Palmatier, Dant, Grewal and Evans, 2006)에 따라 다중 회귀분석으로 추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적 특성을 이루는 여섯 개 항목들이 개별적으로 관계형 시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 모델의 설명력이 더 높다는 Breivik and Thorbjornsen(2008)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고객의 참여를 활성화시킬 때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관계형 시장 행동이라는 관계 성과가 나타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계 마케팅 활동과 고객 참여를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소비자와의 관계 유지와 성과에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 (Bitner, 1995, Fournier, 1994 ; Sheth and Parvatiyar, 1995)에서 뒷받침된다.

  • PDF

패션상품 소비자가 인식하는 상표관계본질(BRQ: Brand Relationship Quality) 규명 (제2보) (The BRQ(Brand Relation Quality) Construct Perceived by Fashion Product Consumers (Part 2))

  • 채진미;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68-1179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alidate the BRQ(Brand Relationship Quality) Construct perceived by fashion product consumers. In order to establish and verify the BRQ scale, qualitative survey and quantitative survey were conducted together. 1592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women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from Dec. 26, 2005 to Jan. 8, 2006, and 723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statistical data. Samplel(n=482)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sample2(n=241) was used for cross validity tes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RQ emerg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the hierarchical construct composed of six facets including 'self-connective attachment', 'symbol/mystery', 'trust', 'nostalgia', 'intimacy', and 'knowledge'. As the fit of this structural model was not goo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revised to have better fitting. Finally, empirical survey results indicate the hierarchical construct consisting of eight distinct BRQ facets including 'love/commitment', 'self-connection', 'symbol', 'mystery', 'trust', 'nostalgia', 'intimacy', and 'knowledge' as best representing the final 39item BRQ Scale.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ross validity of the construct were verified.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콘텐츠 특성, 동일시,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ntent Trait, Identification, Loyalty on Online Brand Community)

  • 이종호;옥정원;윤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85-396
    • /
    • 2011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콘텐츠 동일시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를 통해서, 콘텐츠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생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SPSS 14.0과 LISREL 8.3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품질은 콘텐츠 동일시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력성은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사성은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밀감 또한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콘텐츠 동일시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에 여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는 구매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방문 충성도를 통해 구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에 대한 동일시에 대해 연구한 반면에, 본 연구는 콘텐츠 특성에 따른 동일시의 차원을 콘텐츠 동일시와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로 세분화 하여 살펴 보았기 때문에 브랜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기업에게 보다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패션상품 소비자들의 상표관계본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Variables Affecting Brand Relationship Quality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 채진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121-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cipher the BRQ (Brand Relationship Quality) Construct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variables.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marketing communication instruments were investigated as affecting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50 women between the age of 20 and 50 liv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from Mar. 5 to Mar. 18, 200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Version 15,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BRQ Construct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was proved to be composed of five factors; 'self-connective love', 'pursuing symbol', 'trust', 'intimacy', and 'knowledge'. Secondly, consumption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RQ Construct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2%, 'Epistemic valu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BRQ. 'Func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me BRQ factors. Thirdly, explanatory power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ffecting BRQ was 45%. 'Aesthetic attribute' had significant effect on all BRQ factors, while 'functional attribut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only 'pursuing symbol', 'trust', and 'intimacy'. Finally, marketing communication mixes showed 21% explanatory power and 'word of mouth' and 'display' among marketing communication mixes were foun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affecting the BRQ Constr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