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ish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7초

New record of Pleuronema marinum Dujardin, 1841 (Protozoa, Ciliophora) from South Korea

  • Jeong Hyeon, Yeo;Ji Hye, Choi;Atef, Omar;Jae-Ho, Ju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78-286
    • /
    • 2022
  • During a field survey of Korean marine ciliates, we collected Pleuronema marinum from a brackish water samp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 contractile vacuole in mid-body, rather than the subterminal/ terminal contractile vacuole as in other congeners. The cells were examined in vivo and based on protargol and 'wet' silver nitrate impregnation. In addition, the nuclear 18S rRNA gene was sequenced using a single cell. The Korean population morphologically and molecularly resembles a Chinese population of P. marinum. Historical review of the species concludes that 1) two or more species have been assigned into P. marinum, 2) the position of contractile vacuole (e.g., in mid-body) is a valid character state, and 3) P. marinum is probably a rare species. Here we provide a monographic treatment of P. marinum to clarify the issue and for further studies of relevant species. Considering there are about 40 nominal species and complex nomenclatural acts in the genus Pleuronema, further studies should provide descriptions based on protargol and 'wet' silver impregnation with marker gene(s).

Four newly recorded species of planktonic cyanobacteria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in Korea

  • Ji-Ho, Song;Do-Hyun, Kim;Nam-Ju, Lee;So-Won, Kim;Hye-Ryeung, Wang;Ok-Min, L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321-329
    • /
    • 2022
  • Four species of cyanobacteria that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solated from freshwater and brackish water. These four species are Laspinema thermale of Laspinemaceae, Planktothricoides raciborskii and Planktothrix spiroides of Microcoleaceae, and Cephalothrix lacustris of Phormidiaceae, all belonging to the order Oscillatoriales. Laspinema thermale i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as apical cells that are longer than other cells. In this strain, the similarity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L. thermale strains were 99.30-99.50%. Planktothricoides raciborskii, which is characterized by bluntly conical morphology of apical cells, showed 98.80-99.50% of similarity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to the previously reported P. raciborskii strains. Planktothrix spiroides are characterized by floating due to gas vacuoles. In this strain, the similarity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P. spiroides strains were 99.80-99.90%. Cephalothrix lacustris, characterized by having calyptra in apical cells, showed 99.80-99.90% similarity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to previously reported C. lacustris strains. Also, these species were clustered in the same clade i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with each corresponding species.

A report of 12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Suncheon Bay in Korea

  • Seok Won Jang;Jung Hye Eom;Sanghwa Park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405-412
    • /
    • 2022
  •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possessing abundant fisheries and biological diversity, was registered as a Ramsar wetland in Korea. Approximately 30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Suncheon Bay in a comprehensive study of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conducted during 2019-2020 in South Korea. A total of 12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demonstrating >98.7% sequence similarity with validly published species. These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A total of six strains were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reed) species. These unrecorded species were phylogenetically diverse and belonged to three classes, six orders, and ten genera. Regarding the genus and class levels, th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belonged to Jiella, Martelella, Rhizobium, Paracoccus, Rhodovulum, and Altererythrobacter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Mycolicibacterium, Demequina, and Microbacterium of the class Actinobacteria; Confluentibacter of the class Flavobacteria. The twelve species were further characterized by gram staining, colony and cell morphology,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

Diet analysis of Clithon retropictum in south coast of Korea using metabarcoding

  • SoonWon Hwang;Kwangjin Cho;Donguk Han;Yonghae Back;Eunjeong Lee;Sangkyu Par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2호
    • /
    • pp.144-151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diet of Clithon retropictum, level II endangered species in Korea. Since the development of brackish water zones has led to a decline in the population of this specie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ecology of C. retropictum required for i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o investigate the actual preys of C. retropictum in south coast of Korea, we conducted high-throughput sequencing and metabarcoding techniques to extract DNA from gut contents and periphyton in their habitats. Results: Total 118 taxonomic groups were detected from periphyton samples. 116 were Chromista and Cyanobacteria dominated in the most samples. In gut contents samples, 98 taxonomic groups were detected. Similar to the results of periphyton, 96 were Chromista and Cyanobacteria dominated in the most samples.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the presence/absence of taxonomic groups, gut content composition showed more clustered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ir habitats. Bryophyta was the most crucial taxonomic group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periphyton and gut contents compositions of C. retropictum. Conclusions: Our finding suggests that C. retropictum may not randomly consume epilithic algae but instead, likely to supplement their diet with Bryophyta.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영향 (Effect of Algal Fraction to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Upper Regions of a Brackish Lake Sihwa)

  • 최광순;김세원;김동섭;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499-506
    • /
    • 2013
  •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기수역내 7개 지점을 대상으로 입자성유기탄소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식물플랑크톤 색소(chlorophyll a; Chl-a), pheophytin a; Pheo-a)의 시공간적 변동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POC 농도는 $1.0{\sim}76.6mgL^{-1}$ (평균 $7.4mgL^{-1}$)의 범위로 봄에 높은 계절변화를 보였으며, 염분성층이 강하고 고탁도층이 형성되는 중류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지표로 이용되는 Chl-a 농도는 $1.3{\sim}942.9{\mu}gL^{-1}$ (평균 $71.0{\mu}gL^{-1}$)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고, 4월에 중류부에 최고치를 보여 POC와 유사한 변동을 보였다. 한편 Pheo-a 농도는 $1.4{\sim}1,545.5{\mu}gL^{-1}$ (평균 $59.9{\mu}gL^{-1}$)의 범위로, total Chl-a의 평균 44.2%로 죽거나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OC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색소와 강한 양의 상관(Chl-a (r=0.93), total Chl-a (r=0.88), >Pheo-a (r=0.81))을 보였는데, 이는 시화호 기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이 POC의 중요한 기원임을 시사한다. 한편 식물플랑크톤 색소와 POC와의 회귀식으로부터 POC/Chl-a 비(82.9)보다 POC/total Chl-a 비(35.9)가 하구에서 조사된 POC/Chl-a 비(40~60)에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화호 기수역과 같이 Pheo-a 농도가 높은 수역에서는 조류기원성 POC를 산정하거나 또는 수체의 POC 농도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를 평가할 때 Chl-a 농도와 함께 Pheo-a 농도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국동부 델라웨어만의 고정밀도 해수면 역사와 고환경 복원 (High-Resolution of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and Sea-Level History in Delaware Bay, the East Coast of U.S.A.)

  • 이희일;존 위밀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0-331
    • /
    • 1995
  • 자세한 고환경복원 및 해수면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델라웨어만 중부연안에서 조밀한 코어를 채취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키즈흐머크해변, 세인트존스강, 세인트존 스강 하구의 바월즈해변의 습지지역으로 각자 고유의 지형적인 특성과 해수면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충서대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퇴적상과 고환경을 세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암상분석, 입도분석, 유기물과 무기물의 비, 함수율비, 광 물구성성분, 식물상의 분석, 고생물학적, 분석, 탄소연 대측정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 지역에서 습지환경은 담수습지, 초기담수습지, 약기수습지, 기수습지, 염수습지로 다 섯 등분 하였다. 습지 환경 외에는 조간대 환경과 하천환경이 간혹 발견되었으며, 전 홀로세층의 퇴적물은 사질, 니질, 사니질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 층서의 하부는 담 수습지가 대부분이며 그 위에 기수습지나 조간대 내지 조간대 내의 하천환경으로 나타 났다. 전홀로세의 지형형태가 홀로세 고환경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해수면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염수나 기수환경을 형성하는 과정에도 해수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고립된 지역에서 담수환경이 형성되었다. 같은 시기에 유사한 고도에서 담수환경 과 기수환경이 형성되는 것은 바로 전홀로 세층의 불규칙한 지형에 기인한 것이다. 따 라서 이러한 복잡한 고환경 형성은 층서대비나 지역적 상대적 해수면 변화에 대한 해 석에 어려움을 가져왔다. 연구지역에서 퇴적층은 퇴적물 공급, 고결작용, 하천활동, 생태계내의 경쟁, 지역적인 지구조적운동, 지각평형, 기후 그리고 지역적인 상대적인 해수면 변화에 의하면 영향을 받았다. 담수환경과 기수환경의 반복이 여러 층에서 발 견 되었는데 이 시점마다 해침이나 해퇴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지역 에서는 여러분의 해침과 해퇴가 일어난 것으로 본다.

  • PDF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기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Basic Water Quality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 최광순;김세원;김동섭;오영택;허우명;이윤경;박용순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06-215
    • /
    • 2008
  • 본 연구는 방조제 조성 이후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의 기수역에서 염분도, 수온, DO, 탁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기수역의 수질오염 원인을 해석하고 개선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화호 기수역에서 염분도는 $0.1{\sim}29.9\;psu$ 그리고 수온은 $4.7{\sim}28.1^{\circ}C$의 범위로 변동이 매우 컸으며, 담수유 입량과 해수의 유입/유출 여부 및 유통량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수역 내 염분약층의 형성과정에는 담수유입이 주된 요인인 반면, 염분약층이 형성되는 구간은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의 유입 및 유출여부와 유통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수역에서 수온과 염분도의 시공간적 분포는 DO농도와 탁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O는 수온이 상승하는 4월에 기수역 중류부의 표층에서 최대 $26.5\;mg\;L^{-1}$(포화도 315%)의 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이 시기 대량 증식한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염분약층이 강하게 형성된 지점의 심층에서는 저산소층이 형성되었고, 여름으로 갈수록 확대되어 수온이 가장 높았던 7월에 가장 넓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탁도는 $1.5{\sim}86.3\;NTU$의 범위로 하류에 비해 중류와 상류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염분약층이 형성된 구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로부터 담수와 해수가 공존하는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염분도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염분약층은 수체의 공간적인 혼합을 제한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결국 심층의 산소고갈, 퇴적물의 증가, 식물플랑크톤의 대량증식에 의한 수체의 유기물 증가 등의 수질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광산수의 탈염을 위한 축전식 탈염기술의 적용 (Application of Capacitive Deionization for Desalination of Mining Water)

  • 이동주;강문성;이상호;박진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3
    • /
    • 2014
  • 본 연구에서 광산수의 재활용을 위해 축전식 탈염공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이온교환폴리머를 코팅한 탄소 전극을 활용하였는데 본 성능을 관찰하기 위해 이온교환폴리머를 코팅하지 않은 탄소 전극으로 광산수의 탈염 운전을 수행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광산수의 높은 농도가 축전식 탈염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저농도의 기수(NaCl 200 ppm)를 활용한 운전 성능 비교 역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온교환폴리머를 코팅한 탄소 전극을 활용한 광산수 탈염 효율 및 제거양 모두 그렇지 않은 전극에 비해 높았고 에너지 소모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비패러데이 전류, 높은 염농도에 따른 낮은 용액 저항, 전극 기공 내에서의 이중층 중첩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온교환폴리머를 코팅한 전극을 활용한 기수 탈염 운전 결과 낮은 염농도에 따라 용액의 저항이 높아지고, 제거 대상의 염의 양이 낮아 광산수에 비해 매우 높은 효율을 보였으나, 제거양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형산강 유역 담수어와 반철수어에 있어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 (Infestation of larval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 and brackish-water fish in River Hyungsan, Kyungpook Province, Korea)

  • 주종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78-84
    • /
    • 1984
  • 경북 월성군 치슬령 북측 능선에서 기원하여 포항시 송정동에 하구를 형성하고 있는 외출람에 호식하는 담수어와 반철수어에서의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을 알아보기 위해 1983연 3월부터 동년 10f3까지 형산강 유역에서 투망, 낚시, 사발모지 등으로 담수어와 반섬수어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어종별로 분류한 다음 어체 부위별로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조사함과 동시에 신선한 어육 1gram당 피복유충수를 계산하여 감염정도를 추정하였다. 채집된 11종의 어류에서 7종의 흡충류 피습유충과 소속미정 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이 가운데 Exochits oviformis유충은 전 피검어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Metagonimus yokognwai유충은 9종의 어류에서, Cyathocotyle orientalis 유충과 Metacercaria hasegawai 유충, Metorchis orientalis 유충은 6종의 어류에서, 간흡충 피낭유충은 4종의 어류에서 검출할 수 있었으며, 그 기생률은 어종별로 큰 차리를 보였다. 어육 Igram당 간흡충 피낭유충 평균수는 몰개에서는 45.5개로 가장 많았고 납지리에서는 0.05개로 가장 적었으며 참붕어와 돌고기에서는 각각 9.7개, 11.6개로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횡천흡충의 피낭유충수는 붕어, 몰개, 버들치, 납지리, 참붕어, 퍼래미, 같겨니에서 모두 10개 이하 이었는데 비하여 은어에서는 32.9개로서 담수어보다 반철수어에서 그 수가 많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형산강에 서식하고 있는 담수어와 반철수어의 회를 생식하면 간흡충증과 횡천흡충증에 감염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의 간흡충에 관한 연구 XIII. Heterophyopsis continua에 의한 인체감염 2례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II. Two Cases of Human Infection by Heterophyopsis continua and the Status of Metacercarial Infection in Brackish Water Fishes)

  • 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51-60
    • /
    • 1984
  • 반염수산 어류를 중간숙주로하여 매개되는 Heterephyopsis continua에 의한 인체감염 2예가 1983년 praziquantel 치료로 성충을 얻음으로써 화인되었다. 또, 정화한 감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남도 해안지방에서 잡은 반염수어에 있어서의 피낭유충 감염상황을 조사하였다. 환자는 24세 및 50세된 남자로 남해안 지방이 고향이며 상복부통, 설사 등 일반적인 소화기 중상을 호소하거나 조충류의 편절이 배출됨을 호소하여 prasiquantel 10-15 mg/kg을 단루 투여하고 하제를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그 결과 조충은 물론 2예에서 각각 2마리 및 46마리의 H. continua 흡충이 설사편으로부터 수집되었다. 환자들은 몇가지 종류의 반염수어를 생식한 경력이 있었다. 어류 중문오주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검사한 27마리의 농어 (Lateolabrax japonicas)중 17마리 (63.0%), 34마리의 문절망둑(Acanthogobius yavimanus)중 10마리(29.4%)에서 H. continua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나 42마리의 숭어(Mugil cephalus)는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2. 농어 및 문절망둑에 있어서 마리당 평균감염 피낭유충수는 55.4 띤 18.7 개이었고 대부분의 피낭유충은 농어의 경우 몸체부 근육에서 발견되었다. 3. 피낭유충을 실험적으로 2마리의 횐쥐 및 1마리의 어린 개(견)에 감염시켜 성충을 얻고자 한 바 휜쥐에서는 얻을 수 없었고 개에서 2마리의 H. continua 성충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환자들이 생식한 농어, 문절망둑 등 반염수산 어류가 이들에 있어서 H. continua의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