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x offic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파출소 이미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Image of Police Box)

  • 이정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9호
    • /
    • pp.116-126
    • /
    • 1996
  • Modern society has achieved rapid growth in economy and materials whereas it caused such problems as municipal extension and high density of population, Due to rapid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it became more complicated and multifarious than ever it before. Helping the people all kinds of routine affairs police box is giving a negative image to the citizens, for its environment doesn't have got rid of its old fashion . It's being an unharmonious factor to its surroundings, a solution is needed. So, this study is focused on recognizing the change of value system with the flow of time, planning a new image of police box for the change and in consequence recovering the trustworthy between people and the nation. For this ,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and through space-dividing and design corresponding to it, the plan is provided to make a pleasant interior environment of police box and to make it a symbol of local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will have the police box not only as an office providing the locals with security and service but also as eyes of the country which watches the municipal environment.

  • PDF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통계사서함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Multimedia Statistic Post Office Box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s)

  • 이종득;김대경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2004
  • 많은 정보들이 디지털 형태로 처리되고 저장됨에 따라 무선 인터넷상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 데이터들간의 유사도를 바탕으로 서로 관련 있는 데이터들을 그룹화 하여 문서들을 주제별로 서비스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통계 사서함(MSPOB)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카운트 인덱스구조와 역파일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들의 관계성을 결정하게 되며, 객체들간의 의미적 유사도에 따라 제안된 구조가 결정되게 된다.

  • PDF

The Effect of Rating Dispersion on Purchase of Experience Goods based on the Korean Movie Box Office Data

  • Chen, Lian;Choi, Kang Jun;Lee, Jae Yo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21
    • /
    • 2019
  • Online platforms often provide rating information to customers to relieve the uncertainty they encounter when purchasing experience goods. Prior research has focused mostly on the roles of rating volume and the valence of an average rating among the various possibilities. However, less frequently investigated is the effect of rating dispersion,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uncertainty regarding how well a product fits a customer's personal preference, on new trials of experience good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rating dispersion on new trials of experience goods and identify the conditions which intensify or reduce the effect. Empirical analyses of movie box office sales data and online rating data reveal three interesting findings. First, movie sales decrease as movie ratings become increasingly dispersed. Second, the negative effect of rating dispersion on movie sales is more pronounced with more rating volume. Third, this negative effect weakens when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 movie is available (i.e., higher average rating, greater star power, and time since its release). We discus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박스오피스 관람객 예측 (Prediction of Movies Box-Office Success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 박도균;백주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5-18
    • /
    • 2020
  • 특정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이 꾸준히 논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스크린 분배의 불평등성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할 근거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영화 관람객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KOBIS, 네이버 영화, 트위터, 구글 트렌드에서 수집한 3,143개의 영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랜덤포레스트와 그라디언트 부스팅 기법을 활용한 영화 관람객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다. 모델 평가 결과, 그라디언트 부스팅 모델의 RMSE는 600,486,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RMSE는 518,989로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예측력이 더 높았다. 예측력이 높았던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활용, 상영관을 크게 확보하지 못 했던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의 상영관 수를 조절하여 관람객 수를 예측, 6,345,011명이라는 결과를 제시한다.

  • PDF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박스오피스 예측 (Prediction of box office using data mining)

  • 전성현;손영숙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257-1270
    • /
    • 2016
  • 본 연구는 영화 흥행의 척도로서 총 관객수의 예측을 다루었다. 의사결정나무, MLP 신경망모형, 다항로짓모형, support vector machine과 같은 데이터마이닝 분류 기법들을 사용하여 개봉 전, 개봉 일, 개봉 1주 후, 그리고 개봉 2주 후 시점 별로 예측이 이루어진다. 국적, 등급, 개봉 월, 개봉 계절, 감독, 배우, 배급사, 관객수, 그리고 스크린 수와 같은 영화의 내재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변수 뿐만 아니라 포털의 평점과 평가자 수, 블로그 수, 뉴스 수와 같은 온라인 구전 변수들이 예측변수로 사용되었다. 10-중 교차 검증에서 신경망모형의 정확도는 개봉 전 시점에서도 90% 이상의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또한 최종 온라인 구전 변수의 추정치를 예측변수로 추가함으로서 예측의 정확도가 더 높아짐을 볼 수 있다.

딥러닝을 이용한 음악흥행 예측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Korean Music Box Office Based on Deep Learning)

  • 이도연;장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0-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산업 중 음악 분야 2차 산업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흥행 예측모델 구축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딥러닝 예측 모델은 17개 독립변인 -가수 파워, 가수 영향력, 피처링 가수 파워, 피처링 가수 영향력, 참여 가수 수, 참여 가수의 성별, 작사가 역량, 작곡가 역량, 편곡가 역량, 제작사 역량, 유통사 역량, 앨범의 타이틀 여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좋아요 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코멘트 수, 사전 홍보 기사 수, 티저 영상 조회 수, 초기 흥행성과를 기반으로 음원 흥행성과 -음원이 차트내 상주하는 기간을 예측하는 구조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가 딥러닝 기법을 콘텐츠 분야에 접목시킨 초기단계 연구임을 고려하여, 콘텐츠 흥행예측 선행연구에서 요인 추출을 위해 활용하는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소거 후 구축한 DNN 예측모델과 예측률 비교를 진행하였다.

최동훈 영화의 사회반영성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Social Reflection of Director Choi Donghoon -based on the Theory of Carnival of Mikhail M. Bakhtin)

  • 이민호;이효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25-136
    • /
    • 2013
  • 최동훈은 <범죄의 재구성>(2004), <타짜>(2006), <전우치>(2009), <도둑들>(2012) 등의 영화를 만들어내며, 한국의 주류 영화감독으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이루어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했다. 본고는 최동훈의 영화가 수많은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시대적 삶을 우화적으로 그리면서 민중 문화적 축제 즉 카니발적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보고자 한다. 이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과 맞닿아 있다. 바흐친에게 카니발 이론은 민중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었고, 최동훈 역시 자신의 영화 속 세계를 묘사할 때 카니발 이론의 요소들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니발 이론의 미적 요소 중 탈관과 대관, 권위의 전복과 조롱, 향연의 이미지가 최동훈의 영화 속에서 캐릭터를 통해, 격하와 조롱, 군중의 언어가 대사와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 시점의 통합이 플래시백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들은 최동훈 영화에 일관되게 드러나며, 최동훈의 영화는 카니발 이론처럼 민중의 세계를 묘사하고 바라본다. 이것이 최동훈이 영화를 통해 하는 현실반영이자 현실참여이다. 관객은 그런 최동훈의 시각에 동조하고 호응한 것이었다고 본다.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영화흥행요소분석 - 한국·중국·일본영화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Factors for the Box Office Succes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ilm Market Approach to the Storytelling)

  • 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1-61
    • /
    • 2013
  • 오늘날 대부분의 영화가 고전적인 내러티브 형식을 뛰어넘어 대안적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이야기 구조가 갖는 패턴, 플롯과 서브텍스트, 갈등, 인물, 대사, 발견, 반전, 구성점 등 전통적인 내러티브 요소에 대한 분석과 전통적인 관습의 대안적 형태로서 드러나는 서사체계를 파악하기 위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영화를 비교해보았다. 최근의 중국영화는 장르적으로 특징적인 변화가 있는데 전체적으로 서사, 전쟁/ 무협 액션류의 장르에서 최근 들어 멜로, 로맨스, 코메디류의 장르의 비중이 커지는 상황이다. 중국영화의 대체적인 특징은 중국 자국영화가 아닌 외국영화인 경우 영화를 선택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블록버스터 영화, 그리고 유명스타의 출연여부인데, 외국 영화에서는 대형스타의 출연이 관객들의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일본은 OSMU 전략에 따른 작품의 집결지라고 볼 수 있을 만큼 드라마나 애니메이션, 만화가 원전인 작품이 제작되고 있다. 시리즈 형식의 블록버스터 영화와 장르별로는 공포 스릴러 영화나 멜로 영화들의 빈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다른 아시아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보더라도 판타지 장르나 동화적인 상상, 애니메이션 풍의 스토리텔링이 일본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었다.

영화 흥행 집중도와 상영 스크린 집중도로 살펴본 한국 영화산업 10년 (Last Ten Years of Korean Movie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oncentrations of Film Admission and Screening)

  • 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51-167
    • /
    • 2015
  • 한국 영화의 시장 점유율은 최저 2008년 42.1%에서 최고 2013년 59.7%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플렉스와 와이드 릴리스 전략, 4대 메이저 배급 회사와 3대 멀티플렉스 체인의 독과점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 흥행의 양극화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한국 영화 흥행 집중도는 2004년 0.53에서 2014년 0.85로 심화되었다. 흥행 순위 상위 10%의 한국 영화가 차지하는 관객 수 비중은 2004년 30.28%에서 2014년 71.2%로 급격히 높아진 반면에, 흥행 순위 하위 50%는 2004년 11.03%에서 2014년 0.08%로 아주 낮아졌다. 상영 스크린 집중도도 2004년 0.36에서 2014년 0.67로 심화되었고, 상영 횟수 집중도도 2004년 0.46에서 2014년 0.78로 높아졌다. 좌석 수의 집중도도 2004년 0.50에서 2014년 0.79이다. 많은 관객이 선택하는 영화라서 상영 스크린 수를 늘리고, 상영 횟수를 늘리고, 많은 좌석 수를 확보한다면, 이는 자연스러운 시장의 선택 결과라고 하겠다. 하지만 이들 영화들의 좌석 점유율 집중도를 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좌석 점유율 집중도는 2004년 0.22에서 2014년 0.38로 다른 집중도와는 달리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상위 10% 영화들의 좌석 점유율은 2004년 38.2%에서 2014년 32.3%이며, 하위 50%는 2004년 23.5%에서 2014년 23.8%로 나타났다.

할리우드 영화의 장르별 수용 : 한국 영화시장에서의 문화적 할인현상을 중심으로1 (Examining Genre Tastes of Hollywood Movies in Korea)

  • 박승현;장정헌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511-551
    • /
    • 2014
  • 문화적 할인은 할리우드 영화가 해외 관객의 수용자의 문화적 취향에 따라서 수용이 다르게 나타남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한국 내에서 할리우드 영화의 수용이 장르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에서 1백만 달러 이상의 흥행실적을 거둔 할리우드 영화이며, 이들 영화 중 한국에서 개봉된 영화의 비율 및 흥행성과 등을 중심으로 장르별 수용이 어떻게 차별화되는 지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할리우드 영화가 한국에서 개봉된 비율은 59.6%이며, 평균보다 낮은 비율로 개봉된 장르는 코미디(46.2%)와 다큐멘터리(20%)뿐이었다. 제작비와 장르의 특성을 고려하면, 할리우드 영화 중 제작비 투자가 많은 장르의 경우 한국 내 개봉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국에서의 흥행실적이 높을수록 한국에서도 흥행실적이 높게 나타나며, 제작비 투입이 높을수록 1개의 영화에 다양한 장르적 요소를 포함하여 제작하는 복합장르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제작비, 미국에서의 흥행실적, 복합장르화 등의 영향력을 통제할 때 할리우드 영화의 수입 후 수용자 수준에서는 문화적 할인이 흥행성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같이 논의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