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ily tooth movemen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Protraction of mandibular molars through a severely atrophic edentulous space in a case of juvenile periodontitis

  • Wu, Jian-chao;Zheng, Yu-ting;Dai, Yi-j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5-154
    • /
    • 2020
  • Moving the mandibular posterior teeth into a severely atrophic edentulous space is a challenge. A carefully designed force-and-moment system that results in bodily protraction of the posterior teeth with balanced bone resorption and apposition is needed in such cases. This report describes the treatment of a 19-year-old woman with missing mandibular first molars due to juvenile periodontitis. Miniscrews were used as absolute anchorage during protrac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and third molars. Bodily mesial movement of the mandibular second and third molars was achieved over a distance of 11 to 17 mm after 39 months of orthodontic treatment.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76-3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R)}$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 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 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TM}$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T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Prediction of optimal bending angles of a running loop to achieve bodily protraction of a molar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 Ryu, Woon-Kuk;Park, Jae Hyun;Tai, Kiyoshi;Kojima, Yukio;Lee, Youngjoo;Chae, Jong-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0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optimal bending angles of a running loop for bodily protrac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s and to clarify the mechanics of molar tipping and rotation. Metho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developed for predicting tooth movement, and a mechanical model based on the beam theory was constructed for clarifying force systems. Results: When a running loop without bends was used, the molar tipped mesially by $9.6^{\circ}$ and rotated counterclockwise by $5.4^{\circ}$. These angles were almost similar to those predicted by the beam theory. When the amount of tip-back and toe-in angles were $11.5^{\circ}$ and $9.9^{\circ}$, respectively, bodily movement of the molar was achieved. When the bend angles were increased to $14.2^{\circ}$ and $18.7^{\circ}$, the molar tipped distally by $4.9^{\circ}$ and rotated clockwise by $1.5^{\circ}$. Conclusions: Bodily movement of a mandibular first molar was achieved during protraction by controlling the tip-back and toe-in angles with the use of a running loop. The beam theory wa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cs of molar tipping and rotation, as well as for predicting the optimal bending angles.

발치 후 교정력 적용 시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Mode of tooth movement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extraction)

  • 한성호;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7
    • /
    • 2000
  • 본 연구는 발치 후 인접치 이동을 위한 교정력 적용 시 적용 시기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을 비교$\cdot$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견을 실험대상으로 상악 좌우 제 3절치를 3주 간격으로 각각 발거 하고, 양 견치 를 고정 원으로 제 2절치의 치체이동을 위한 장치를 장착하였다. 100 gm의 지속적인 힘을 내는 견인 스프링을 사용하여 발치 후 4주와 1주부터 좌우 제 2절치를 각각 12주간 동시에 견인하였다. 2주 간격으로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측정$\cdot$비교하고 실험에 사용된 좌우 제 2절치의 조직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정력 적용 후 처음 2주간에는 발치 후 4주에 견인한 치아가, 그 다음 2주간에는 발치 후 1주에 견인한 치아가 빠르게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2. 12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견인 4주와 6주 사이에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경향을, 이 후에는 이동 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실험기간 동안 이동한 전체 거리는 발치 후 4주에 비해 1주에 견인한 경우에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 발치 후 4주에 견인한 경우에 비하여 1주에 견인한 경우에서 유해한 조직소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발치 후 교정력 부여 시 조기 적용이 유리함을 시사하였다.

  • PDF

제1대구치(第一大臼齒)의 맹출양장(萌出樣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IES ON THE ERUPTION PATTERN OF FIRST PERMANENT MOLARS)

  • 손동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1
    • /
    • 1976
  • The author measured the degree of development and the eruption pattern of first permanent molars with orthopantomography in 553 Korean children(male; 302, female; 251) from 4 to 9 years old. The orthopantomographs were obtained from dept. of ped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as follows: 1. Upper first permanent molars were erupted with distal inclination of about 30 degrees in the early stage and they gradually moved in the mesial direction by bodily movement of the tooth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to-proximal surface of primary secondary molars in the late stage. 2.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were erupted with mesial inclination in the early stage and moved mesially by tipping movement of the tooth to be in contact with the disto proximal surface of the second primary molars in the late stage. 3. The eruptive forces were considered to be main etiologic factors of space closure after the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 PDF

Palatal en-masse retraction of segmented maxillary anterior teeth: A finite element study

  • Park, Jae Hyun;Kook, Yoon-Ah;Kojima, Yukio;Yun, Sunock;Chae, Jong-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8-193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finite element study was to clarify the mechanics of tooth movement in palatal en-masse retraction of segmented maxillary anterior teeth by using anchor screws and lever arms. Metho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simulate overall orthodontic tooth movements. The line of action of the force was varied by changing both the lever arm height and anchor screw position. Results: When the line of action of the force passed through the center of resistance (CR), the anterior teeth showed translation. However, when the line of action was not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anterior teeth, the anterior teeth moved bodily with an unexpected intrusion even though the force was transmitted horizontally. To move the anterior teeth bodily without intrusion and extrusion, a downward force passing through the CR was necessary. When the line of action of the force passed apical to the CR, the anterior teeth tipped counterclockwise during retraction, and when the line of action of the force passed coronal to the CR, the anterior teeth tipped clockwise during retraction. Conclusion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anterior teeth changed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lever arm height and anchor screw position. However, this pattern may be unpredictable in clinical settings because the movement direction is not always equal to the force direction.

상악 전치부 견인 시 치아이동에 따른 전방 치조골개조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LIMITATION OF ALVEOLAR BONE REMODELING DURING RETRAC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 황충주;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7-105
    • /
    • 2001
  • 교정 치료 시 많은 경우 상악 전치부를 상당량 견인하게 되며 이 때 치아의 이동량과 전방 피질골의 개조량이 동일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면 치주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가 후방 견인될 때 치아의 이동량과 피질골의 개조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장이 완료된 만 18세 이상의 성인 여자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였다. 연구대상 56명은 전치의 후방견인 시 경사이동이 주로 일어난 환자(26명 )와 치체 이동이 동반된 환자(30명)로 나누었으며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true horizontal plane 을 기준으로 하여 중첩하였다. Tip-Group(경사이동된 군)에서는 수평적인 bone remodeling/tooth movement ratio가 1:1.63, Torque-Group(치체 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1:1.66이었다. 두 군 모두에서 치아의 이동량과 골의 개조량이 동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사 이동 시에는 치근첨이 구개측피질골판에서 멀어지고 순측피질골판에 가까워지며, 치체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치근이 순측피질골판에서는 멀어지고 구개측피질골판에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상악의 전방 피질골의 두께가 매우 얇은 환자에서는 상악 전치의 후방견인량에 제한이 있게 되며 골격적 부조화가 심한 경우에는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치료를 고려하고, 교정적 절충치료가 필요한 경우 술자는 그 치료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midpalatal miniscrew-assisted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patterns with simultaneous use of fixed appliances: A preliminary study

  • Mah, Su-Jung;Kim, Ji-Eun;Ahn, Eun Jin;Nam, Jong-Hyun;Kim, Ji-Young;Kang, Yoon-Go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5-61
    • /
    • 2016
  • Skeletal anchorage-assisted upper molar distalization has become one of the standard treatment modalities for the correction of Class II maloc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xillary molar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ppliance design, with the simultaneous use of buccal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The authors devised two distinct types of midpalatal miniscrew-assisted maxillary molar distalizers, a lingual arch type and a pendulum type. Fourteen patients treated with one of the two types of distalize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nd the patterns of tooth movement associated with each type were compared.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The lingual arch type was associated with relatively bodily upper molar distalization, while the pendulum type was associated with distal tipping with intrusion of the upper molar.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expected tooth movement associated with each appliance design. Further well designed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re required.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Strain Distribution Using Strain Gauge Attached On Root Surface)

  • 김상철;박규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5-333
    • /
    • 2001
  • 바람직한 교정치료는 최적의 교정력을 치아에 가하여 정확하게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함에 따라 가능해진다. 치관에 힘과 모멘트가 동시에 적용될 때 그 비율(M/F ratio)에 따라 치주인대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중심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이런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력에 따른 치주인대 및 치조골 부위에서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악 중절치 치근 8부위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인공 치아를 광탄성 레진에 매식한 4mm 정중이개 증례의 상악 전치부 실험모형을 제작하여 응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폐쇄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1. 금속 호선의 삽입 없이 100g의 힘을 발휘하는 elastomeric chain만 사용한 경우, 2. .016"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3. .016“x.022”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각각의 경우에서 치근의 근심면, 원심면 및 순면, 설면에 나타나는 응력을 계측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조사 방법으로 치아이동시 치근의 근 원심면 및 순 설면에서의 응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모멘트 팔의 형성을 추정함으로써 치아의 회전양상을 알 수 있었다. 2. 호선없이 교정력을 적용한 경우 정출 및 경사이동이 컸으며 호선 적용에 따라 압하 및 치체이동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응력 분포 파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Biomechanical analysis of distalization of mandibular molars by placing a mini-plate: A finite element study

  • Park, Myungsoon;Na, Yonghyun;Park, Minbong;Ahn, Jangh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9-297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of tooth movements when distalization of mandibular molars using a mini-plate took place.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patterns of tooth movements. Methods: The model of the mandible and teeth were used to build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and a mini-plate was inserted in the mandibular ramus. Two different orthodontic forces were established for displacement of mandibular molars. Orthodontic forces were applied at the level of the bracket and at the level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in the mandibular canine respectively. Results: Applying orthodontic forces at the level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resulted in a greater biomechanical bodily movement in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molars compared to when the orthodontic forces were applied at the level of the bracket. Applying orthodontic forces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lso resulted in unwanted greater extrusive movements in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molars compared to the bracket level. Conclusions: With considering the mode of orthodontic teeth movement, applying different vertical orthodontic forces for distalization of mandibular molars can lead to more effective distalization of te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