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ds

검색결과 1,928건 처리시간 0.034초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이 저속 성장 육계(한협 3호)의 성장, 육질, 혈청 Corticosteron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rotein Level on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Serum Corticosterone of Slow-Growing Korean Meat-Type Chicken (Hanhyop 3))

  • 이준엽;이정헌;이명호;송영한;이종인;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19-228
    • /
    • 2016
  • 세 수준(6.3, 9.5, 12.6 수/$m^2$)의 사육밀도와 사료 단백질 수준(19%, 18%)이 저속성장 육계(한협 3호)의 육성성적, 영양소 이용률, 닭고기 저장성, 육색, 계육 성분 및 뼈의 광물질 조성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육 밀도는 한협 3호 육성성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체량은 저 밀도인 6.3 수/$m^2$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밀도(12.6 수/$m^2$) 구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고사육 밀도에서는 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사료섭취량으로 인하여 고사육 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이 타 사육 밀도 계군의 사료요구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밀도 계군에서의 사료 섭취량 저하와 낮은 사료요구율은 41~60일 구간보다는 61~75일 구간에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그 영향으로 전 사육기간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료 단백질 1% 차이는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41~75일 구간 사료섭취량은 단백질 19% 구에 비하여 오히려 18% 구에서 낮았다. 저장 중 계육의 TBARS 값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계육의 적색도와 명도는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라, 황색도는 사육 밀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가슴육의 단백질 함량과 다리육의 Ca과 P의 함량은 각각 사료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에 영향을 받았다. 사료의 단백질 수준과 사육밀도는 뼈의 회분함량 및 회분 중 Ca과 P의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은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나, 사료 단백질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저속성장 육계 한협 3호 사육후기 단계에 고사육 밀도(12.6 수/$m^2$)로 사육하는 것은 생산성을 하락시킬 뿐 아니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도 높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협 3호 육계의 후기 사료 단백질을 18% 수준으로 설계하더라도 생산성에 차이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포식자-피식자 모델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개체군 동태에 미치는 영향 예측 (Effects of Climate-Changes on Patterns of Seasonal Changes in Bird Population in Rice Fields using a Prey-Predator Model)

  • 이후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4-303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Lotka-Volterra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개체군의 크기와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및 예측하였다. 특히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에 대해, 1) 계절 내 최고 및 최저 기온의 변화와 2) 계절 길이의 변화를 조합하여 11가지 가능한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모델시뮬레이션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학모델은 기온 변화, 즉 계절이 바뀜에 따라 월동, 이동, 그리고 번식조류가 일정한 시기에 그리고 일정한 분포패턴으로 논습지를 취식 및 서식지로 이용하고 있음을 보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결과, 기온변화의 폭이 커질 수록 조류 개체군 동태의 변이는 증가하였으며, 계절의 길이 변화, 특히 계절이 짧아진 경우에 논습지를 이용하는 기간도 크게 짧아져 전체적으로 개체군 동태를 감소시켰다. 전체적으로 한 계절 내의 기온변화가 발생하고, 다른 계절은 평년 기온을 유지할 경우에는, 해당 계절의 조류 개체군 동태만 기온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더욱이 계절의 길이 변화는 계절 내 기온 변화보다 더 뚜렷한 개체군 동태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The Bacillus subtilis and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Influences Intestinal Mucin Gene Expression, Histomorphology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Aliakbarpour, H.R.;Chamani, Mohammad;Rahimi, G.;Sadeghi, A.A.;Qujeq,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285-1293
    • /
    • 2012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mercial monostrain and multistrain probiotics in diets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mucin gene (MUC2) expression in broiler chicks. Three hundred seventy-eight 1-d-old male Arian broiler chicks were allocated in 3 experimental groups for 6 wk. The birds were fed on a corn-soybean based diet and depending on the addition were labeled as follows: control-unsupplemented (C), birds supple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BS)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based probiotics. Each treatment had 6 replicates of 21 broilers each. Treatment effects on body weigh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and biomarkers such as intestinal goblet cell density, villus length, villus width, and mucin gene expression were determined. Total feed intak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birds and those fed a diet with probiotics (p>0.05).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were found. Final body weight at 42 d of age was higher in birds fed a diet with probiotics compared to those fed a diet without probiotic (p<0.05). Inclusion of Bacillus subtilis based probiotic in the diet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feed conversion rate (FCR) compared with control birds (p<0.05). No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were observed in birds fed different types of probiotic supplemented diets. Inclusion of lactic acid bacteria based probiotic in the diets significantly increased goblet cell number and villus length (p<0.05). Furthermore, diets with Bacillus subtilis based probiotics significantly increased gene expression (p<0.05), with higher intestinal MUC2 mRNA in birds fed diet with probiotics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trol diet. In BS and LAB probiotic fed chicks, higher growth performance may be related to higher expression of the MUC2 gene in goblet cells and/or morphological change of small intestinal tract. The higher synthesis of the mucin gene after probiotic administration may positively affect bacterial interactions in the intestinal digestive tract, intestinal mucosal cell proliferation and consequently efficient nutrient absorption.

Effect of calcium stearoyl-2 lactylate and lip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gut heal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broiler chickens

  • 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Cho, Hyun Min;Macelline, Shemil Priyan;Kim, Eunjoo;Shin, Taeg Kyun;Yi, Young Joo;Park, Seung Hwan;Lee, Kyung Bon;Heo, Jung M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81-991
    • /
    • 2020
  • Objective: To evaluate calcium stearoyl-2 lactylate (CSL) performance as an exogenous emulsifier together with lipase for broiler diets. Methods: In total, 252 one-day-old Ross 308 broiler chickens were alloca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o give 6 replications per treatment with 7 birds in each cage. There were six dietary treatments representing a 2×3 factorial arrangement consisted of two energy levels (standard energy [positive control, PC] and -100 kcal/kg of the requirement level [negative control, NC]) and three dietary treatments (without additives [CON], CON+CSL [CSL], and CON+CSL+lipase [CSL-Lipase]). Corn and soybean meal-bas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vegetable oil were formulated.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visceral organ weights, ileal morphology, nutrient digestibility, and cytokine gene expression were measured. Results: Birds fed a diet including CSL increased (p<0.05) lipase level in blood compared to birds fed a diet including CSL-Lipase on day 21. Similarly, higher (p<0.05) liver weight was observed in birds fed a diet including either CSL or CSL-Lipase on day 21. Birds fed NC diet with CSL improved (p<0.05) nutrient digestibility compared to the NC diet on day 21. However, birds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CSL or CSL-Lipase did not affect (p>0.05) the weight gain, feed efficiency, ileal morphology, and cytokine concentration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regardless of dietary energy level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CSL has a role in improving nutrient digestibility in young birds when supplemented to a corn-soybean meal based broiler diet.

2016년 한국 야생조류에서 분리한 H7N7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Genetic Analysis of H7N7 Avian Influenza Virus Isolated From Waterfowl in South Korea in 2016)

  • 베리훈;서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62-968
    • /
    • 2018
  •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야생조류에 존재하며, 사람, 돼지, 가금 및 다른 포유류등 다양한 숙주를 감염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한국 서쪽의 철새도래지에서 채취한 철새 분변에서 재조합된 새로운 H7N7 조류인플루엔자를 분리하였으며 이 바이러스의 8개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분리된 A/waterfowl/Korea/S017/2016(H7N7) 바이러스의 유전자 분석 결과 이 바이러스는 야생조류 및 가금 오리에서 유래한 조류인플루엔자로 구성된 재조합된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계통 분석결과 이 바이러스는 유럽과 아시아계에 속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계속 진화를 하고 H7 형 조류인플루엔자는 고 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변하여 사람과 동물에게 커다란 위협이 될 수 있기에 계속 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

한반도 중서부 지역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현황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남형규;김미란;최그린;장둘리;최승혜;조광진;최락중;최순군;방혜선;나영은;김명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7
    • /
    • 2016
  • BACKGROU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The list of bird species occurred in rice fields in Korean peninsula have been documented. However, information of listed bird species is included not only rice fields but also other wetland habitats such as lakes, tidal flats and rivers.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tatus of bird observed in rice fields of Korea.METHODS AND RESULTS: Birds using rice fields defined as birds which forage or rest on rice paddies, levees, ditches and farming roads. Birds using rice fields recorded as total 124 species belonging to 40 families. Anatidae and Scolopacidae were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Ardeidae, Accipitridae, Motacillidae and Emberizidae; 50% of species belonged to these six families. 18 of 124 endangered wild species, which designated threatened at the national scale, found in this study regions.CONCLUSION: Despite interest in birds using rice fields of Korean peninsula, knowledge of birds and rice fields there is extremely limited. We need more studies to understand and conserve for birds in rice fields of Korea.

솔잎혹파리 유충의 포식조류에 대하여 (The birds as a vertebrate predator of the larvae of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고제호;김상욱;김윤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9-54
    • /
    • 1969
  • 솔잎혹파리 유충의 포식성 조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솔잎혹파리 유충의 낙하최성기인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류 380개체 (1967년 182개체, 1968 년 198개체)를 포획하여 위(胃)내용물을 조사한것이다. 1. 솔잎혹파리 유충이 지표로 낙하하는 시기에 이를 많이 포식하는 새들은 박새, 쇠박새, 진박새, 곤줄박이, 오목눈이, 쑥새, 노란턱멧새, 꼬까참새, 상모솔새등이였다. 2. 조류별 솔잎혹파리 유충의 평균 포식수는 1967년도에 쑥새가 108마리, 쇠박새 64마리, 박새 25마리였고 1968년도에는 진박새 36마리, 박새 28마리, 쇠박새 17마리였다 3. 솔잎혹파리 포식성 조류의 포식량은 솔잎혹파리 유충의 시기별 낙하율과 일치하였으며 솔잎혹파리가 많이 지표로 떨어지는 11월초중순에 가장 많았다 4. 포획한 조류 380개체의 위(胃)를 분석조사한 바 솔잎혹파리 유충을 포식한 개체는 157개체 (1967년 53개체, 1968년 104개체)였다.

  • PDF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utolyzed whole yeast and yeast cell wall products on broiler chickens

  • Ahiwe, Emmanuel Uchenna;Abdallh, Medani Eldow;Chang'a, Edwin Peter;Omede, Apeh Akwu;Al-Qahtani, Mohammed;Gausi, Harriet;Graham, Hadden;Iji, Paul Ad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579-587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yeast 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visceral organ weights, endogenous enzyme activities,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yield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autolyzed whole yeast (WY) and yeast cell walls (YCW) at varying levels of inclusion. Methods: Nine dietary treatments consisting of WY or YCW included at 0.5, 1.0, 1.5, or 2.0 g/kg diet and a control diet without yeast supplementation was used in the experiment. Each of the nine treatments was replicated six times with nine birds per replicate. Birds were housed in cages, in climate-controlled rooms and fed starter, grower and finisher diets. Results: There was an improvement (p<0.05) in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on d 10, 24, and 35 for birds fed 1.0 to 2.0 g/kg WY or YCW diet. Small intestine weight was heavier on d 10 and 24 for birds on higher levels of WY and YC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d 10 and 24,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tissue protein content and pancreatic enzyme activities (trypsin and chymotrypsin) of birds on 1.5 to 2.0 g/kg WY and YCW die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irds on WY (2.0 g/kg diet) and YCW (at 1.5 and 2.0 g/kg diet) had better (p<0.05) protein digestibility on d 24. On d 35,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in percentage of carcass, absolute and relative breast weight for broiler chickens fed WY and YCW mostly at 2 g/kg diet compared to birds on the control diet.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diets with autolyzed WY and YCW products especially at 1.5 to 2.0 g/kg diet improved broiler chicken performance and meat yield through their positive effects on ileal protein digestibility and pancreatic enzyme activities.

한방생약부산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관 미생물 균총,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면역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y-Products of Herbal Medicine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Broiler Chicks)

  • 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4
    • /
    • 2015
  • 본 연구는 한방생약부산물을 이용한 육계의 사료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해 대조군(CON), HM1(한방생약부산물 0.15%), HM2(한방생약부산물 0.3%) 및 HM3(한방생약부산물 0.5%) 등 4개군에 육계 96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여 생산성,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생화학적 지표, 면역글로블린 및 백혈구 성상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방생약부산물 0.15% 첨가군(HM1)에서 대조군에 비해 육계전기(3~21일령) 사료요구율이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었으나, 전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장내 소화물의 E. coli 및 Lactobacili 총 균수에서도 한방생약부산물 급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서는 한방생약부산물 급여 시 AST 및 glucose 수준을 유의하게(p<0.05) 감소시켰다. 면역글로불린(IgG 및 IgA)과 백혈구 감별계수에서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육계에서 0.15~0.3% 수준의 한방생약 부산물 첨가는 육계전기에 사료이용성 및 간 조직의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