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chemical Response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5초

티오아세트아미드(thioacetamide) 복강투여로 인한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의 간장 및 신장 독성 반응 연구 (Hepatic and renal toxicity study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caus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thioacetamide (TAA))

  • 허민도;정다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15-422
    • /
    • 2023
  • In veterinary medicine for mammal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antioxidants using pathological toxicity model studies, and are also used to confirm the effect of mitigating liver or kidney toxicity of specific substance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such a toxicity model for domestic farmed fish, so thioacetamide (TAA), a toxic substance that causes tissue damage by mitochondrial dysfunction, was injected into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 major farmed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0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eighting 53 ± 0.6 g divided into two groups. Thioacetamide(TAA) 300mg/kg of body weight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rainbow trout and samples were taken 1, 3, 5, 7 days after peritoneal injection. As a result, in serum biochemical analysis, AST levels related to liver function decreased 3 and 5 day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and increased after 7 days, and ALT levels also increased after 7 days. In addition, creatinine related to renal malfunction increased 3 and 5 days after TAA injection. In histopathological analysis, pericholangitis and local lymphocyte infiltration were observed in the liver from 1 day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AA, and hepatic parenchymal cell necrosis was also observed from 3 day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Hyaline droplet in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was observed from 1 day after TAA injection, and acute tubular damage such as tubular epithelial cell necrosis appeared from 3 days after TAA injection.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tudies that require a toxicity model.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G, CC Genotypes of Cryptochrome Circadian Clocks 1, and Energy-Adjusted Dietary Inflammatory Index on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 in Women With Central Obesity

  • Elaheh Asgari;Farideh Shiraseb;Atieh Mirzababaei;Hadith Tangestani;Khadijeh Mirzaei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7-20
    • /
    • 2023
  • Creating a complex balance between dietary composition, circadian rhythm, and the hemostasis control of energy is important for managing diseases. Therefore, we aimed to determine the interaction between cryptochrome circadian clocks 1 polymorphism and energy-adjusted dietary inflammatory index (E-DII) on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 women with central obesity. This cross-sectional study recruited 220 Iranian women aged 18-45 with central obesity. The 147-ite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dietary intakes, and the E-DII score was calculated.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sponse-restricted length polymorphism method, cryptochrome circadian clocks 1 polymorphism was assigne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E-DII score,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cryptochrome circadian clocks 1 genotyp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ge, BMI,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were 35.61 ± 9.57 years, 30.97 ± 4.16 kg/m2, and 4.82 ± 5.16 mg/dL, respectively. The interaction of the CG genotype and E-DII score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igher hs-CRP level compared to GG genotype as the reference group (β, 1.19; 95% CI, 0.11-2.27; p value, 0.03).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interaction of the CC genotype and the E-DII score with higher hs-CRP level compared to the GG genotype as the reference group (β, 0.85; 95% CI, -0.15 to 1.86; p value, 0.05). There is probably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G, CC genotypes of cryptochrome circadian clocks 1, and E-DII score on the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 in women with central obesity.

Potentiality of Beneficial Microbe Bacillus siamensis GP-P8 for the Suppression of Anthracnose Pathogens and Pepper Plant Growth Promotion

  • Ji Min Woo;Hyun Seung Kim;In Kyu Lee;Eun Jeong Byeon;Won Jun Chang;Youn Su L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4호
    • /
    • pp.346-357
    • /
    • 202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acutatum, Colletotrichum dematium, and Colletotrichum coccodes. Bacterial isolate GP-P8 from pepper soil was found to be effective against the tested pathogens with an average inhibition rate of 70.7% in in vitro dual culture assays. 16S rRNA gene sequencing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ive bacterial isolate as Bacillus siamensis.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GP-P8 was also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protease and cellulose, siderophore production, phosphate solubilization, starch hydrolysis, and indole-3-acetic acid production were shown by the GP-P8. Using specific primers, gen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antibiotics, such as iturin, fengycin, difficidin, bacilysin, bacillibactin, surfactin, macrolactin, and bacillaene were also detected in B. siamensis GP-P8.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rough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revealed that acetoin and 2,3-butanediol were produced by isolate GP-P8. In vivo tests showed that GP-P8 significantly reduced the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 acutatum, and enhanced the growth of pepper plant.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pepper fruits revealed that GP-P8 treated pepper plants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immune genes such as CaPR1, CaPR4, CaNPR1, CaMAPK4, CaJA2, and CaERF53.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GP-P8 could be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against pepper anthracnose disease and possibly a pepper plant growth-promoting agent.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 추출 조건에 따른 다슬기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s from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on Liver Cell Toxicity and Ethanol Metabolism)

  • 조경환;추호진;서민균;김종철;신유진;류기형;조희영;정치영;하영술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58-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의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과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슬기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 항산화 활성,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대한 보호효과 및 ADH와 AL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분석하였고, 다슬기 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백서에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혈중 독성 중간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정량하여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산추출물, 효소추출물, 효소-산추출물 모두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숙취해소를 도와주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메티오닌 등이 대폭 증가하여 다슬기 추출물의 기능적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항산화능의 평가지표인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다슬기 추출물은 AAP로 간 손상을 유도한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생존율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AAP 만을 처리한 대조군은 $67.8{\pm}4.3%$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다슬기추출물 1 mg/mL과 AAP를 병용처리한 경우 각각 9.7%와 13.7%의 간세포 생존율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은 AAP 만을 처리한 대조군은 33.7%의 LDH 활성에 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낸 반면 다슬기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이 15.4%-24.4%로 감소되었다. 또한, 에탄올 대사에서 중요한 ADH와 ALDH 활성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효소를 이용한 다슬기 추출물에서 각각 최대 4.8배와 2.7배 증가하였다.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다슬기 효소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추출 방법에 의한 다슬기추출물 소재는 항산화 활성과 간손상 보호효과 및 숙취해소능을 가지며, 효소추출물의 ADH와 ALDH 활성 증가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작나무류 잎의 오존흡입량이 광합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te of Ozone Uptake Rate on Photosynthesi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Leaves of Betula Species)

  • 이재천;한심희;장석성;조경진;김용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2-79
    • /
    • 2002
  • 자작나무류 4개 수종의 오존에 대한 생리 생화학적인 반응 특성을 비교하고, 수종별 오존 홉입량과 광합성 능력 및 항산화효소 활성간의 연관성을 찾기 위하여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 묘목에 5주 동안 100 ppb 오존을 노출시킨 후 오존 흡입량, 광합성, SOD, GR 활성을 측정하였다. 5주 동안의 누적 오존 흡입량은 거제수나무가 53.8 mmol m$^{-2}$ 로 가장 많았으며, 물박달나무가 35.5 mmol m$^{-2}$ 로 가장 적었다. 오존에 노출된 4개 수종의 광합성 능력은 감소하였으나 기공전도도에 따른 광합성 반응은 수종간 달랐다. 4개 수종의 SOD 활성은 누적 오존 홉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GR 활성은 거제수나무의 경우 SOD 활성과 마찬가지로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나, 다른 세 수종은 누적 오존 흡입량이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거제수나무는 누적 오존 흡입량의 증가로 SOD와 GR 활성을 잃어버리는 민감성 수종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세 수종은 GR 활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오존 흡입량에 따른 SOD와 GR 활성 반응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며, 수종별 반응 차이는 오존 흡입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극초단파 전처리를 적용한 하수슬러지 혐기성소화에서 메탄수율 최적화 (Optimization of Methane Yield in Anaerobic Digestion of Sewage Sludge with Microwave Pretreatment)

  • 박운지;이관재;이동준;이서로;최유진;홍지영;양동석;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2호
    • /
    • pp.17-2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 optimum methane yield condition in anaerobic digestion of sewage sludge with microwave pretreatment. The pretreatment process was carried out using a lab scale industrial microwave unit (2,450 MHz frequency). The digestion efficiency of pretreated sludge was evaluated by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 Box-Behnken design and Response Surface Analysis (RSA)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bination of sludge mixing ratio (0 to 100%), power (400 to 1600 W), holding time (0 to 10 min) and pretreatment temperature (60 to 100℃). BMP test results showed that Volatile Solid (VS) removal efficiency was up to 48% at a condition of 0% for mixing ratio, 1600 W for power, 5 min for holding time, and 80℃ for pretreatment temperature. Methane production was up to 832.3 mL/g VSremoved at a condition of 50% for mixing ratio, 1000 W for power, 5 min for holding time, and 80℃ for pretreatment temperature. The results of the variance analysis (ANOVA) showed that the p-value of the power and pretreatment temperatur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p<0.05), and in particular, the pretreatment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solubilization and methane production.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maximum methane yield (847 mL/g VSremoved) was consist of 38.4% of mixing ratio, 909.1 W of power, 4.1 min of holding time, and 80℃ of temperature within the design boundaries.

애기장대에서 액포막 존재 Ca2+-ATPase11 (ACA11) 형질전환제의 세포사멸 표현형 분석 (Cell death phenotype of vacuole Ca2+-ATPase11 (ACA11) transgenic plant in Arabidopsis)

  • 이상민;호앙티마이한;김경은;정우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59-63
    • /
    • 2009
  • 작물 스트레스 내성 연구의 궁극적인 과제는 가진 형질을 극대화하여 생산량을 증대하고 외부의 환경적인 요소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물의 다양한 외부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의 이차매개체인 칼슘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많은 부분이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세포 내 칼슘의 주요 저장소인 액포로 칼슘을 수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Ca^{2+}$-ATPase의 형질전환 식물을 이용하여 세포 내 칼슘의 신호전달과 식물 생물학적 기능을 알아보았다. ACA11-GFP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식물에서 흥미롭게도 ACA11 유전자가 발현 침묵됨으로써 세포 내 칼슘농도 항상성 조절과 신호전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고 세포질 내 활성산소가 증가되어 결국 형질전환체의 잎에서 HR과 같은 세포사멸을 유발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저수온 스트레스에 따른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혈액의 생리생화학적 반응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 of Blood on Low Temperature Stress in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박종연;박재민;홍창기;김경민;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는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겨울철 저수온으로 발생하는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생리생화학적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온 $12^{\circ}C$를 대조구로 Exp. I ($-1^{\circ}C/24h$), Exp. II ($-1^{\circ}C/8h$)의 실험구를 정하여 9일간에 걸쳐 생존율, 코티졸, 글루코스, 총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은 Exp. I 실험구의 경우 사육수온 $5^{\circ}C$로 하강한 후 170시간째 12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174시간째에 전 개체 폐사하였다. 반면 Exp. II 실험구의 경우 $5^{\circ}C$로 하강한 후 72시간째 9 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76시간째 전 개체가 폐사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Exp. I과 Exp. II의 미비한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으며, 혈장 코티졸과 글루코스의 대사생리가 $7^{\circ}C$에 급격하고 상승하고, 유영능력과 아가미 개폐운동이 빨라졌다. 이상의 결과로 능성어의 저수온 내성의 임계수온은 $7^{\circ}C$로 추정된다.

마그네슘 이온주입 임플란트의 뒤틀림 제거력에 관한 연구 (Removal Torque of Mg-ion Implanted Clinical Implants with Plasma Source Ion Implantation Method)

  • 김보현;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41-52
    • /
    • 2009
  • 골과 임플란트의 기계적인 결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불소 부식법, 양극산화법, 이온주입법 등 생화학적인 골유착을 유도할 수 있는 임플란트의 표면개질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즈마 상태의 이온을 임플란트 표면에 주입하여 이온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plasma source ion implantion, PSII)으로 표면을 개질한 임플란트에 대한 골반응을 흡수성 재료로 블라스팅 처리(resorbable blasting media, RBM)된 임플란트를 대조군으로 하여 평가하고 이온 주입량을 달리하여 비교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2마리의 뉴질랜드 가토의 경골에 대조군인 RBM 임플란트와 Mg이온 주입량을 달리한 Mg이온주입 임플란트 3개씩을 식립하고 공진주파수를 측정하였으며 6주 후 48개 임플란트의 뒤틀림 제거력과 공진주파수를 측정하였다. 반복측정이 있는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임플란트간 공진주파수의 차이는 없었으나 군에 관계없이 식립 시에 비해 6주 후의 공진주파수는 증가하였다. 2. 초기 낮은 공진주파수를 나타낸 임플란트군의 공진주파수 증가량이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이온잔존량 9.4%인 Mg 1 임플란트가 다른 임플란트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뒤틀림제거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가장 우수한 골반응을 나타내는 이온주입량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온주입 임플란트가 임상적으로 뛰어난 효능을 보이는 RBM 표면에 비해서도 생물학적 골반응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Rottweiller에서 발생한 무균성 농성 육아종성/육아종성 피부증후군(SPGS) (A Sterile Pyogranuloma/Granuloma Syndrome (SPGS) in a Rottweiler Dog)

  • 김연주;정아영;김재훈;엄기동;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2-405
    • /
    • 2004
  • 5년령의 암컷 Rottweiler가 하악 및 슬와림프절의 비대, 입주변부의 미란성 피부병변과 우측 후지와 경부에 다수의 구진과 결절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식욕부진을 제외하고는 전신적으로 특이한 증상은 없었으며, 개인 동물병원에서 cephalexin과 carprofen을 처치하였으나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혈액검사 결과, 미약한 빈혈과 심한 림프세포 증다증을 보였으며, 생화학적검사에서는 AST수치가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이었다. 피부 세포학적 검사에서 세균이 소수 관찰되었다. 피부조직병리학 검사에서 다발성의 농성육아조성 병변과 미만성 지방염의 특징이 관찰되었다. 특수염색으로 Brown and Brown gram [B+B], periodic acid-Schiff [PAS], Ziehi-Neelsen [ZN] acid-fast, Giemsa 염색을 실시하였으나 원인체를 발견하지 못했다. 따라서 무균성 농성 육아종성/육아종성 피부증후군으로 진단하였고 enrofloxacin과 prednisolone의 병용투여에 양호한 치료반응을 보였다. Rottweiler에서 발생한 나타난 SPGS를 최초로 증례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