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metrics Stud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19초

Indian Research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 Bibliometric Assessment of Publications Output during 1999-2018

  • Gupta, B.M.;Dhawan, S.M.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9-46
    • /
    • 2020
  • The paper describ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in India in the global context. The study is based on research publications data (8260) as covered in the Scopus database during 1999-2018. ANN research in India registered 24.52% growth, averaged 11.95 citations per paper, and contributed 9.77% share to the global ANN research. ANN research is skewed as the top 10 countries account for 75.15% of global output. India ranks as the third most productive country in the world.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by type of ANN networks reveals that Feed Forward Neural Network type accounted for the highest share (10.18% share), followed by Adaptive Weight Neural Network (5.38% share), Feed Backward Neural Network (2.54% share), etc. ANN research applications across subjects were the largest in medical science and environmental science (11.82% and 10.84% share respectively), followed by materials science, energy, chemical engineering and water resources (from 6.36% to 9.12%), etc. 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haragpur and 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Roorkee lead the country as the most productive organizations (with 289 and 264 papers). Besides, 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33.04 and 2.76) and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24.26 and 2.03) lead the country as the most impactful organizations in terms of citation per paper and relative citation index. P. Samui and T.N. Singh have been the most productive authors and G.P.S.Raghava (86.21 and 7.21) and K.P. Sudheer (84.88 and 7.1) have been the most impactful authors. Neurocompu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and Applied Soft Computing topped the list of most productive journals.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토픽 변화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 김선욱;양기덕;이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65-284
    • /
    • 2022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문헌정보학 SSCI 85종 학술지에 게재된 55,442편의 학술논문의 논문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도별 흐름에 따른 연구 주제 추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토픽에서 도서관경영(장서개발 및 관리, 도서관평가, 도서관 지식경영, 기획 및 활성화), 정보학(계량정보학, 정보이용행태·이용자연구, 의료정보,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도서관교육·정보리터러시), 도서관체계(도서관 시책 및 정책)에 따른 4개의 대분류를 파악하였다. 연도별 흐름에 따라 정보학 영역의 경우, 계량정보학 연구 주제가 학술지단위에서 논문단위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최근 도서관경영 영역의 경우, 이용자의 의견과 감정에 관련한 연구가 최근 등장하였다. 도서관서비스 연구영역은 20년간 안정적인 연구 주제로 그 양상이 보다 심화되고 견고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학영역 하위주제로 의료정보와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등장해, 문헌정보학의 간학문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 결과라 판단하였다.

공연예술 연구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유아 연극 및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early childhood play activities and drama activites)

  • 오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50-525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연극 및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에 관련해서 일정 기간 수행된 학문의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방법으로 계량서지학적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015년 2월까지 발행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분석(학위논문 65편, 학술지 15편으로 총 80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에 따른 분석 결과 학위논문에서는 2009년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학술지는 2008년도와 2013년도에 3편정도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동향에서는 질적연구보다는 양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양적연구 중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목표와 효과성 검증에서는 연구목표에서는 활동중심통합교육과정과 창의성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효과성 검증결과에서는 연구문제에 따라 전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 분석방법에서는 양적분석방법에 따른 차이검증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에서는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연극 및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의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 문헌정보학 연구의 계량적 분석 -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 (A Bibliometric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 이종욱;양기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3-7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자 및 이들의 연구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 재직 중인 교수(전임강사 이상) 159명이 지난 10년간(2001~2010년) 발표한 국내 외 학술논문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논문 2,400편을 연도별, 저자별, 학교별, 학술지별 정량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의 왕성한 학술활동(1인당 연평균 1.51편의 논문발표), 국외 학술논문 생산증가(170편) 및 공동연구 비율의 증가(단독연구 52.75%, 공동연구 47.25%) 등의 연구행태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한국 문헌정보학의 국제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 10년간 해외 박사학위 취득자의 문헌정보학 교수임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 박사학위 교수들의 높은 논문생산성이 나타났다. 학술 논문의 서지정보를 계량 분석한 본 연구는 학술논문 품질평가를 위한 다방면 인용 분석연구의 첫 번째 단계를 실행하였고,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학술 논문의 참고문헌 및 인용관계에 있는 자료를 분석하여 관련 학문분야 및 논문의 질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다차원 메타데이터 공간을 활용한 학술 문헌 추천기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Using Multidimensional Metadata Space)

  • 감미아;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148
    • /
    • 2023
  • 본 연구는 '우수한 성능의 메타데이터 속성 유사도 기반의 학술 문헌추천시스템'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조직에서 다루는 메타데이터의 활용과 계량정보학에서 다루고 있는 동시인용, 저자-서지결합법, 동시출현 빈도,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기반의 학술 문헌 추천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수집한 '불평등', '격차' 관련 총 9,643개의 논문 메타데이터를 정제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저자, 키워드, 제목 속성 간의 상대적 좌표 수치를 도출하였고, 성능 좋은 가중치 조건 및 차원의 수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이용자의 평가를 거쳤으며, 이를 이용해 기준노드와 추천조합 특성 분석 및 컨조인트 분석,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질문 중심의 논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는 저자 관련 속성을 제한 조합 혹은 제목 관련 속성만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고 광범위한 표본의 확보를 이룬다면, 향후 정보서비스의 문헌 추천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추천기법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in Korean Studies)

  • 송민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25-157
    • /
    • 2015
  • 한국학은 지역학으로써의 성격과 함께 다른 학문 분야와 복합적으로 얽힌 특성 때문에 학문 분야로서의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국내외 출판 자료 현황이나 주요 연구 성과 고찰 등 정성적 내용 분석 위주의 방법으로만 진행되어 왔으며, 계량서지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적용해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FGI를 통해 심층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로 국내 한국학 분야는 인문학 성격을, 해외 한국학 분야는 사회과학 성격을 보이고, 시기적으로는 국내는 고대에서 현대를 모두 아우르는 데 비해 해외는 주로 근현대 시점 연구가 모여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해 국내 및 해외의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종합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작업이 보다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외 한국학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비롯해, 통상적으로 한국학에서 기준으로 삼는 시대별, 학문 분야별 관점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하겠다.

외국대학 사례 조사를 통한 교수 연구업적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Professor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Applying a Case Study of Foreign Universities)

  • 강지혜;이종욱;김용환;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11-232
    • /
    • 2022
  • 연구업적평가는 계량서지학을 중심으로 활용하여 정량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정량평가만을 활용한 평가에 여러 한계점이 드러나고 연구품질의 우수성 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며 정성적인 평가 요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전 세계에서 나타난 연구 평가 개선을 위한 사례를 조사하여 소개하고, 연구업적평가에 도입 가능한 정성적인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외국대학의 업적평가 사례를 조사·정리하여 국내 도입을 제안하였다. 전 세계 상위 10개 대학의 업적평가 서류, 평가 절차, 심사기준 등을 분석하여 정성적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결과로 본 연구는 업적평가 문서의 다각화, 다면 평가와 다단계 업적평가 과정, 다양한 질적 업적평가 기준에 대해 국내 도입을 제안한다. 전통적인 계량서지학에서 연구 평가 지표 생성 시 인용도를 측정하였다면, 미래 지표에서는 추천 점수를 지표로 반영하거나, 산업 연계성, 교육/산업에서의 활용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업적평가 방식이 균형을 이루고, 교수의 연구업적평가가 개인이 우수한 연구자로 성장하여 연구 환경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정으로 기능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전문연구자의 학문배경에 따른 인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tation Behavior by Academic Background of Researchers)

  • 오유진;오효정;김종혁;김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47-268
    • /
    • 2016
  • 연구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 중에서 특정 문헌이 참고문헌으로 선택되어 이용되는 인용과정은 오랫동안 많은 과학자들의 다양한 관점에 따라 연구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인용행태의 본질과 복잡성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인용행태 연구에 있어 서지학적 요인에 대한 통계적 분석 연구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는데, 이 방법은 인용의 역동적이며 복잡한 인지적 측면을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인용동기와 서지학적 요인에 대한 인용자들의 인식을 직접 알아보고, 응답결과를 인용자 특성에 따라 비교해 보았다. 문헌분석을 통해 22가지 인용동기와 21가지 서지요인을 추출하여 5점 Likert 척도문항을 구성한 뒤, 설문지를 이메일에 첨부하여 배포, 총 354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인용동기는 '주장에 대한 증거제공'이었으며 '사회적 친분관계', '자기인용' 등은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요인의 경우, 학술지의 명성이 인용선택에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인지되었으며 페이지수, 저자수, 저자성별의 영향력은 거의 없었다. 또한 전공분야, 연구활동경력에 따라 이러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선행연구를 실증하고, 인용빈도에 영향력이 크다고 가정되어온 요인들이 의도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문도서관이나 학술데이터베이스의 검색지점 설정에 제언할 수 있었다.

국내외 문헌정보학 저널의 키워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Keywords of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07-2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특징 면에서 문헌정보 저널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다양한 문헌 정보학 연구 영역을 발견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4 년부터 2016 년까지 네 개의 한국 저널의 키워드가 RIS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고(http://www.riss.co.kr) 그리고 여섯 개의 국제저널의 키워드가 SCOPU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다(http://www.scopus.com). 키워드의 특징은 한국 및 국제저널에 관하여서 자주 사용 되었던 키워드와 자주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를 검증하는 연구이었다. 독특한 키워드란 한 분야에서는 나타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키워드를 말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는 한국의 문헌정보 학의 연구주제와 연구특색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일반적으로 한국 저널에서 사용 된 키워드는 도서관과 관련된 주제의 영역을 나타냈고, 국제 저널에 사용되는 키워드는 서지 측정법과 관련된 주제 영역을 나타냈다. 다) 빈번히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에서도 이러한 전반적인 연구 테마를 명백히 나타냈다. 라) 어떤 키워드는 쓰이는 범위가 한 국가나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와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독특한 키워드는 둘 다 문헌정보 학의 주제 영역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대한임상독성학회지에 발표된 연구 문헌의 통계적 분석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 이진혁;임태호;김원희;김창선;오재훈;강형구;최혁중;강보승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6-10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by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 of the publications. W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net homepage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Among 228 publications, a total of 225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article types, study design, number of authors, type of toxic material, and the top five ranking prolific authors and the affiliated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A total of 225 articles were analyzed; 98(43.6%) were original articles, 115(51.1%) were case reports, and 12(5.3%) were reviews. Among the original articles, nine were prospective studies and 89 were retrospective studies, which were assorted according to study design; there were two(2.0%) cross sectional studies, 93(94.9%) cohort studies, and three(3.1%) etc. The median number of authors per article was five and the top five ranking authors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published 31.1% and 32.8% of total articles,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topic was pesticides, followed by natural poisons and poisons encountered in the work place. Conclusion: Since its found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has published 19 issues and 228 articles and has played a key role in development of toxicology research in Korea. However, low ratio of original articles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ecent articles indicates that greater effort is needed in clinical research. In addition, further interest of many experts and various institutions is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