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diato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Phylogenetic position of eight Amphora sensu lato (Bacillariophyceae) speci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Wang, Pengbin;Park, Bum Soo;Kim, Jin Ho;Kim, Joo-Hwan;Lee, Hae-Ok;Han, Myung-Soo
    • ALGAE
    • /
    • 제29권2호
    • /
    • pp.57-73
    • /
    • 2014
  • Amphora Ehrenberg ex Kutzing sensu lato is a common and widespread benthic diatom genus with a taxonomy that has been under continual revision, particularly based on molecular analyses. Although Amphora species have been studied using modern microscopy in recent years, there has not been much progress on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species, especially in Asia. In this study of Amphora, sampling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009 to August 2010 in Korean coastal waters.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ight Amphora sensu lato were examined: Amphora marina, A. proteus, Halamphora costata, H. coffeaeformis, H. eunotia, H. holsatica, H. terroris, and Halamphora sp. Based on previous accounts, morphology suggested that A. marina and A. proteus belong to the subgenus Amphora Cleve, which have smooth girdle bands and rather coarse and very distinct areolae on the valve. The other species, H. coffeaeformis, H. costata, H. eunotia, H. holsatica, H. terroris, and Halamphora sp. belong to the subgenus Halamphora Cleve, which was recently elevated to generic status by Levkov 2009, have plicate girdle bands, puncta which do not form straight longitudinal lines, valves which have a narrow ventral portion and apices that are generally rostrate-capitate and recurved. In agreement with analysi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small subunit rDNA suggested that the eight Amphora sensu lato species were not a monophyletic group as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lso, the results of molecular work and statistical analysis on all these Amphora sensu lato combined with phylogenic analysis on our geographically representative samples give strong evidence that Halamphora Levkov is independent of Amphora Cleve. Furthermore, in this study, Amphora terroris was transferred Halamphora as Halamphora terroris (Ehrenberg) Wang comb. nov. and Amphora marina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온도가 저서규조류 광합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형광을 이용한 추정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Benthic Diatoms: Fluorescence Based Estimates)

  • 윤미선;이춘환;정익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2호
    • /
    • pp.118-126
    • /
    • 2009
  • 저서규조류는 하구역 먹이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생물로서 그들의 광생리 특성에 따라 일차생산력이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 온도 변화가 저서규조류 4종(Navicula sp., Nitzschia sp., Cylindrotheca closterium, Pleurosigma elongatum)의 광합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Diving PAM을 이용한 엽록소 형광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광생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온도 조건(10, 15, 20, 25, 30, $35^{\circ}C$)에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엽록소 형광을 측정하여 P-I 곡선을 도출하였다. 제2광계의 유효양자수율($\Phi_{PSII}$)은 대부분의 종에 있어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상대 최대 전자전달율(rETRmax)은 최적 온도까지 증가한 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최대 빛이용 효율($\alpha$)은 다른 광합성 매개변수에 비해 온도에 덜 민감하였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감소하였으며, 광포화 계수($E_K$)는 상대 최대 전자전달율의 반응과 매우 유사하였다. 종별 광생리 특성을 분석한 결과, Navicula sp.와 Cylindeotheca closterium가 광생리적 조절을 통하여 단시간의 온도 변화에 광순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도 섬강 (횡성호) 유역의 하천생태계 조사 (A Survey of Ecosystem Structure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Kangwon Province, Korea)

  • 신재기;김영성;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130-14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river ecosystem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located in Hoengseong of Kangwon Province from February to October 2007. Topics of the survey were mainly rainfall, discharge, water quality in abiotic factors and attached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fish, birds and mammals of flora and fauna in a biotic factor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om River could be seen as a typical flow rate of the stream is controlled to the effect of the dam. Basic water qualities were great to seasonal effects, it was relatively clean. Diatom Achnanthes, Cymbella, Gomphonema, and Navicula were distributed predominantly in the periphytic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mostly aquatic insects and freshwater shellfish, the aquatic insects were abundant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Freshwater fish was the dominant Zacco platypus, fish species varied toward the downstream. Birds were mainly observed in four species, and species Egretta garzetta, which was distributed in a wide area of the Seom River. In mammals, Lutra lutra of Mustelidae was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inhabit widely. In aspects of the ecological trophic level, the Seom River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tic and lentic ecosystems.

The diverse species of the genus Hantzschia (Bacillariophyta) in sand fla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Korea

  • Joh, Gyeongj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245-255
    • /
    • 2014
  • To collect the diatom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Hantzschia, bottom sediments were collected from 32 sampling sites in 23 sand-flat areas in the intertidal zone and river reaches of Nakdong River estuary, Korea. The sand sediments contained a total of 19 species of genus Hantzschia, Hantzschia amphioxys (Ehrenberg) Grunow, H. amphioxys f. capitata O. Muller, H. baltica Simonsen, H. distinctepunctata (Hustedt) Hustedt, H. elegantula (Østrup) Witkowski et al., H. longiareolata Garcia-Baptista, H. marina (Donkin) Grunow, H. pseudomarina Hustedt, H. virgata (Roper) Grunow, H. virgata var. gracilis Hustedt, H. virgata var. kariana Grunow, H. virgata var. leptocephala Østrup and H. weyprechtii Grunow, including six unconfirmed species. Eleven Hantzschia species are reported as new to Korea. Hantzschia virgata, its infraspecies, and neighboring speceis showed large morphological variations within a single species or among the closely related species. Hantzschia amphioxys, H. distinctepunctata, and H. virgata var. leptocephala prefer freshwater habitat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river, while others occurred mainly in the sand flats composed of coarse sand in the intertidal area. In the estuarine sediments, the Hantzschia taxa are classified to be typical sand-attached forms.

Effects of Microalgal Species on the Settlement and Survival of Haliotis discus hannai Larvae

  • Ko, Su-Keun;Hur, Sung-B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339-345
    • /
    • 2011
  • Although culture techniques for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re well known, mass culture of the benthic microalgae that are essential live food for the abalone larvae is still not practic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icroalgal species suitable for the growth of early larvae of H. discus hannai. The growth and attachment rates of 31 microalgal species were examined. Acrylic plates were used as the substrate. Among the 31 microalgal species, nine showing high growth and attachment rates were selected and tested for their dietary values via factors including settlement, metamorphosis, and survival rates of abalone larvae. Tetraselmis hazeni and Rhaphoneis sp. induced the highest settlement rate (65-69%) in abalone larvae. The metamorphosis rate was highest (57%) in larvae fed Rhaphoneis sp. and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larvae fed Oscillatoria splendida (29%) and T. hazeni (22%) than in those fed other species.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the larvae during the 15 days after metamorphosis was 67% in those fed Rhaphoneis sp., followed by T. hazeni (42%) and O. splendida (35%). In conclusion, Rhaphoneis sp. is the most suitable diatom for use as a live food for the culture of early larvae of H. discus hannai. In addition, T. hazeni and O. splendida are also potential species to be further developed and utilized in larval culture.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 Kim, Say-Wa;Han, Myung-Soo;Lee, Kyung;Choi, Young-Kil;Yoo, Kwang-Il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41-144
    • /
    • 2002
  •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has prevented seawater from backwarding to upstream in Kum river estuary since 1990. Field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have been carried out three times with two month interval in the summer and autumn in 2000 at three selected stations in Kum river estuary. Blockade of seawater flowing backward to upstream caused sharp contrast of zooplankton fauna and phytoplankton flora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iver mouth dam. Freshwater cladocerans i.e., Bosmina longisrostris and Daphnia galeata dominated in the upstream, and marine copepods of Acartia omorii and Paracalanus crassirostris occurred abundantly in downstream of the dam. Freshwater diatoms did not distribu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except Melosira varians, while marine diatom of Cylidrotheca closterium occurred in benthic waters bath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dam. The construction of the river mouth dam seems to play an ecological role to blockade the input of marine organism into the upstream in Kum river estuary.

西海 京畿 植物 플랑크톤에 대한 생態學的 硏究 III. 植物플랑크톤 種조성, 現存量, 일시浮流플랑크톤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 최중기;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6-170
    • /
    • 1986
  • 경기만 식물플랑크톤의 조성과 분포, 생태특성에 관한 조사가 1981년 5월부터 1982년 9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행하여 졌다.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은 총 228종으로 규조류가 대부분이었고 그외에 쌍편모조류, 규질편모류, 녹조류, 남조류등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이중 92종이 저서성 규조류로 일시 부유하여 식물플랑크톤으 로 나타났다. 이들 일시 부유규조류는 출현종 수에서 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서도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72%이상의 높은 출현상태를 보여 식물플랑크톤 군집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들 일시부유플랑크톤이 겨울철에 높은 출현 상태를 보인것은 저서성 부착 규조류가 동계의 강한 북서 계절풍에 의해 형성된 전단응력에 의해 수층으로 일시적으로 부유되고 또한 동계의 강한 수괴혼합에 의하 여 상층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이들 일시부유플랑크톤 중 가장 우점하는 종은 Paralia sulcata로 서해 연안역의 수괴 혼합정도를 지표할 수 있는 종이다. 이종은 동계에 가장 우점하고 하계에 낮은 출현상태를 보여 수괴의 안정도와 높은 역상관 관계를 보인다. 경기만내 수괴가 안정되어 환경조건이 좋은 춘하추계에는 skeletonema costatum 부유종이 많이 나타나나 환경이 나쁜 겨울에 내성이 강한 저소종들이 많이 나타난다. 현존량의 변화는 봄과 가을에 대증식이 뚜렷이 나타나 춘계대증식은 주로 skeletonema costatum 에 의해 주도되고 가을철 증가는 수괴의 안정에 의해 다양한 종들에 의해 일어난다.

  • PDF

실내 수조에 설치한 파판에서의 해양 부착 규조의 단기간 천이 및 출현종 (Succession and Appearence Species of Marine Benthic Diatoms on Wave Plates of Indoor Culture Tank (Short-term Observation))

  • 위종환;김형신;이승주;정민민;김태익;김병학;허영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76-47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패류의 유생 사육용 식물먹이생물로 배양중인 부착규조 팍판 배양 과정에서 부착 기질인 파판에 어떤 종류의 식물먹이생물이 부착, 출현하며 어떠한 천이 과정을 거치는지 검토하였다. 실험은 비닐하우스내의 약 20톤 콘크리트 직사각형 수조에 파판을 설치하여, 수온 $8.5{\pm}0.3^{\circ}C$, 비중 $1.0250\~1.0260$, 조도 $2,200\~13,000$ lux의 범위에서 20일간 배양하면서 5일 간격으로 관찰하였다. 각 관찰일에 계수한 시료 중 규조류의 세포 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20일간의 실험 기간중 출현한 식물먹이생물은 모두 10종으로 Navicula sp. cf. viridula, Cylindrotheca closteriua Licmophora sp., Pleurosigma normanii,Bacillaria paradoxa, Asterionella glacialis, Stephanoppis sp. cf. turris, Entomoneis sp., Odontella aurita, Cocconeis sp. of, scutellum가 관찰되었다. 한편 각 관찰일별 출현종 수는 5일째가 2종, 10일째 3종, 15일째 10종 그리고 20일째에는 3종이 관찰되었는데, 20일째에는 15일째에 새로이 출현한 7종이 모두 사라졌다. 한편, 실험기간 중 우점종은 Navicula sp. cf. viridula였다.

한국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및 연안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상과 미고생물학 적 연구 (Sedimentary facies and micropaleontological study of tidal sediments off the Mankyung-Dongjin River estuary, west coast of Korea.)

  • 이영길;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7-90
    • /
    • 1995
  • 한국 서해 동진강-만경강 하구역과 인접 연안역에 발달한 조간대의 퇴적환경과 생 층서에 대하여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5개의 진동시추코아 퇴적환경과 생층서에 대하여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5개의 진동시추코아 퇴적물의 퇴적상과 규조군집분석을 통해 연 구하였다. 시추공 퇴적물은 주로 니질 및 사질로 조성되어 있으며 생혼퇴적 구조와 교 호엽총리, 후라저총리, 연흔사총리등의 퇴적구조들이 여러 층들에서 관찰된다. 전체 적으로 니질퇴적층이 사질퇴적층보다 우세하며 사질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질퇴적층 에는 다수의 규조각들이 함유되어 있다. 총 61속 219종 및 변종의 규조가 동정되었으 며 산출되는 규조중 가장 다산되는 종은 Paralia sulcata 이다. 그외 Cyclotella striata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ctinoptychus undulatus, Delphineis surirella, Rhaphoneis amphiceros 등이 다산된다. 산출되는 대부분의 규조는 기수 및 해수역의 연안 혹은 천해에서 서식하는 저서성 및 우연적 혹은 부분적 부유성종이다. 담수종은 1∼5%정도로 남양만 조간대에 대해 높은 산출을 보인다. 규조류의 알려진 생 태와 여러 충준에서 관찰되는 교호엽총리, 후라저총리, 연혼사총리등의 퇴적구조는 본 연구 퇴적층이 하천수의 유입을 어느 정도 받고 한수 보다는 난수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 조간대 환경하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생태적 측면에서 규조군집의 수직적 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퇴적기간 동안 퇴적환경의 뚜렷한 변화는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Q-mode을 이용한 규조군집 부산광역시 결과 각 시추공 별로 각각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집들의 충위적 분포를 근거하여 시추공간의 생충서적 대비를 시도해 보았다.

  • PDF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First Report of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 from Korean Tidal Flats Along with Its Distribution in Northeast Asia)

  • 김혜숙;김종성;박진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4호
    • /
    • pp.97-105
    • /
    • 2020
  • Navicula는 갯벌 규조류 군집의 가장 중요한 속 중의 하나로서, 매우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Navicula spartinetensis가 국내를 포함하여 황해지역에 서식함을 최초로 밝혔으며, 또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그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시료 채집은 한국 정점의 경우 2006년 10월에 2곳, 2007년 7월에 1곳, 2018년 7월에 1곳으로 총 4곳에서 채집하였고, 중국 정점의 경우 2018년 6월에서 7월까지 총 7곳에서 채집하였다. N. spartinetensis는 1975년에 Sullvian & Reimer가 최초로 기재한 종으로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개체들 역시 원전의 기재와 일치하는 형태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개각면이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는 19.3-29.3 ㎛, 너비는 4-6 ㎛, 10 ㎛ 당 점무늬열은 13-15개이고, 등줄 끝은 같은 방향으로 굽어 있다. N. spartinetensis는 기존에 유럽과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통해 그 분포가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으로도 확장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저서 규조류의 다양성은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으며, 보다 집중적인 분류학적 연구 수행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