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ary facies and micropaleontological study of tidal sediments off the Mankyung-Dongjin River estuary,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및 연안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상과 미고생물학 적 연구

  • Published : 1995.04.01

Abstract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biostratigrapy of the tidal sediments off the Mankyung-Dongjin River estuary were studied based on sedimentary facies and diatom assemblage analysis. Sediment facies from the five vibracores are mainly clay, silt, and sand facies. The clay and silty sediment facies are more dominant than the sandy facies, and contain diatom frustules. The frequency of the diatom frustules are rate to common, but not found in sandy sediment facies. Bigeneric structures such as burrow and non-bigeneric primary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laminated sand and mud or silt and mud couplets, flaser bedding, ripple-cross lamination are found in several stratigraphic levels of the sedimentary sequences. A total of 219 species and varieties, belonging to 61 genera has been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Among them, paralia sulcata is the most abundant species about 30 to 50% of the total diatom frustules. Another predominant species are Cyclotella striata.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ctinoptychus undulatus. Delphineis surirella, Raphoneis amphiceros. Most of the diatoms occurred in this study area are marine, marine-brackish water, and brackish water species, and are benthic and tychopelagic or meroplanktonic species. Also, most of the species are coastal to littoral and littoral to inner neritic species. The occurrences of freshwater species, about 1 to 5% is higher than that of the Namyang Bay tidal sediments. The ecological properties of the diatoms occurred in the study area and primary sedimentary structure such as flaser bedding ripple cross bedding indicate that the deposits are formed under coastal or littoral to subeditorial environments such as tidal zone which was subjected to the influenced of stream water and wa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temperate to warm water than cold water.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have not been changed distinctively during the time of deposition. The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diatoms in the study area is studied by Q-mode cluster Analysis using spss/pc+ (ver.4.0).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cores (GE-3, GE-11, GE-12) are divided into two diatom assemblages, respectively. Biostratigraphic correlation using the data of Q-mode Cluster Analysis are attempt in this study.

한국 서해 동진강-만경강 하구역과 인접 연안역에 발달한 조간대의 퇴적환경과 생 층서에 대하여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5개의 진동시추코아 퇴적환경과 생층서에 대하여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5개의 진동시추코아 퇴적물의 퇴적상과 규조군집분석을 통해 연 구하였다. 시추공 퇴적물은 주로 니질 및 사질로 조성되어 있으며 생혼퇴적 구조와 교 호엽총리, 후라저총리, 연흔사총리등의 퇴적구조들이 여러 층들에서 관찰된다. 전체 적으로 니질퇴적층이 사질퇴적층보다 우세하며 사질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질퇴적층 에는 다수의 규조각들이 함유되어 있다. 총 61속 219종 및 변종의 규조가 동정되었으 며 산출되는 규조중 가장 다산되는 종은 Paralia sulcata 이다. 그외 Cyclotella striata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ctinoptychus undulatus, Delphineis surirella, Rhaphoneis amphiceros 등이 다산된다. 산출되는 대부분의 규조는 기수 및 해수역의 연안 혹은 천해에서 서식하는 저서성 및 우연적 혹은 부분적 부유성종이다. 담수종은 1∼5%정도로 남양만 조간대에 대해 높은 산출을 보인다. 규조류의 알려진 생 태와 여러 충준에서 관찰되는 교호엽총리, 후라저총리, 연혼사총리등의 퇴적구조는 본 연구 퇴적층이 하천수의 유입을 어느 정도 받고 한수 보다는 난수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 조간대 환경하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생태적 측면에서 규조군집의 수직적 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퇴적기간 동안 퇴적환경의 뚜렷한 변화는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Q-mode을 이용한 규조군집 부산광역시 결과 각 시추공 별로 각각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집들의 충위적 분포를 근거하여 시추공간의 생충서적 대비를 시도해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