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eedling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5초

보리 종자의 α-아밀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Dimethipin의 영향 (Effects of Dimethipin on α-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 이준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9-414
    • /
    • 2007
  • Effects of dimethipin on ${\alpha}$-amylase activity of barley seeds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s of $1{\mu}M\;and\;10{\mu}M$ dimethipin, the indexes of germination were reduced to 17% and 24 % respectively. After seed germination, dimethipin was added to germinated seedlings and then the seedlings were kept to measure seedling length under illumination for 7 days. In control, the length of seedling was 5.7 cm, but in the treatments of $1{\mu}M$ dimethipin and $10{\mu}M$ dimethipin, seedling lengths were 5.5 cm and 1.2 cm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methipin concentrations and ${\alpha}$-amylase activities, there was a linear curve. The more dimethipin was added to the seeds, the more ${\alpha}$-amylase activities were inhibited. In the treatments of $1{\mu}M$ dimethipin and $10{\mu}M$ dimethipin, ${\alpha}$-amylase activities were reduced to 33% and 71% respectively. Dimethipin also inhibited ${\alpha}$-amylase activities increased by gibberellin and the content of soluble protein.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dimethipin might inhibit directly the activities of hydrolysis enzymes including ${\alpha}$-amylase or the expression of ${\alpha}$-amylase genes as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ere severely disturbed.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실내 유묘 대량검정 방법 (An Easy Seedling Method to Screen Resistance of Powdery Mildew of Barley and Wheat)

  • 박종철;박철수;김미정;김양길;이미자;박기훈;노태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3-158
    • /
    • 2008
  • 유묘를 이용한 보리와 밀의 흰가루병에 대한 실내 대량 검정 방법을 개발하고 국내 육성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해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였다. 종이 봉투를 이용한 유묘 검정은 파종에서 접종이 가능한 생육까지 약 10일이 소요되었으며, 접종 후 발병 및 검정까지는 약 8일로 3주 이내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1회에 180종 이상을 검정할 수 있다. 유묘 검정시 저항성 반응은 포장과 마찬가지로 무감염과 괴사증상 두가지 반응을 보여 이를 이용하여 저항성 정도를 판정할 수 있었다. 국내 육성 보리 79품종 중 겉보리에서는 '상록보리'만이 저항성이었고, 맥주보리에서는 '다진보리'가 저항성을 보였고 '제주보리'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쌀보리와 밀 25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의였다. 이 결과는 포장에서의 저항성성과 같은 결과를 보여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한편 국내에서 보리와 밀의 품종육성에 이용되는 유전자원 검정 결과 맥주보리에서 가장 많은 51종이 저항성 자원으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겉보리와 쌀보리 796종과 밀 273종에서는 저항성 자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보리 입모중 벼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 and Rates on Rice Growth and Yield in Barley / Rice Relay Cropping System)

  • 정진일;최민규;김보경;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3-229
    • /
    • 1996
  • 미맥 작부체계에서 보리수확과 동시 벼 이앙작업에 따른 노동력의 경합과 우리나라 기상 여건상 소득이 낮아 답리작으로 맥류재배를 회피하는 실정이다. 이에 생력화 방안으로 보리입모중 상태에서 시기별로 공시품종인 간척벼를 인력산파하여 파종시기와 파종량 및 파종당시의 종자 최아 유무에 따른 입모수 및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수 및 입모율은 보리 수확당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파종량간에는 10kg /10a 수준에서, 그리고 건종자보다는 최아종자가 입모수가 많았으며 경향은 분얼기의 경수 및 수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출수기는 맥후작 어린모기계이앙이 8월 20일이었는데, 수확 10 일 전 파종은 2일, 5일 전 파종은 3일 그리고 수확 당일 입모중 파종에서는 4일이 각각 지연되었다. 3. 보리 입모중 산파의 간장은 기계이앙보다 다소 짧았으나, 파종기 및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도복정도는 수확 10일전과 5일전의 입모중 파종에서는 도복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수확당일 입모중 파종에서는 파종량이 많은. 8∼10kg/10a 수준에서 1∼3정도의 경미한 도복이 일어났다. 5. 수량은 맥후작 어린모기계이앙과 비교하여 보리입모중 파종은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수량이 낮았고, 파종량이 많을수록 수량은 높았으며, 수확당일 입모중 파종에서 6kg/10a 수준이 3%, 8∼10kg/10a수준이 6% 정도 증수경향을 보였다.

  • PDF

보리짚 피복량에 따른 논물의 화학성분 변화와 벼 발아율 및 유묘신장의 품종간 차이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tagnant Water, Germination Rate and Seedling Elongation of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Amount of Barley Straw Mulching)

  • 정진일;김보경;하기용;이재길;신현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05-513
    • /
    • 1996
  • 보리 입모중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콤바인 수확에 따른 보리짚 피복량의 불균일에 의한 표면수의 화학성분 변화와 그 표면수가 벼 품종의 발아율 및 초기 유묘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보리짚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구가 낮았으며,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용존산소는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나, 시일이 경과할수록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EC는 용존산소와는 반대로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처리간 차이가 컸고 15 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N $H_4$-N는 처리 초기(5일)에 높고 피복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급격히 감소되어 10일 이후에는 처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 $O_3$-N는 N $H_4$-N와는 반대로 10일과 15일까지는 증가 경향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피복량간에는 N $H_4$-N와 같이 기복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인산(P $O_4$$^{3-}$ ) 및 양이온( $K^{+}$,C $a^{2+}$ $Mg^{2+}$)함량 들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양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10일과 15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4. 보리짚 피복량별 논물이 벼 품종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피복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은 현격히 떨어졌으며, 생태형간에는 중만생종이 가장 높았고 중생종, 조생종 순이었다. 품종별로 보면 전량 환원구에서는 금오벼, 간척벼, 일품벼, 동진벼 및 계화벼가 우수하였던 바, 이러한 경향은 피복량간에도 같았다. 5. 치상 11일의 유묘신장은 무처리 대비 피복량이 많을수록 유묘의 신장률은 떨어졌으며, 전량 환원피복에서는 일품벼가 가장 우수하였고, 농안벼와 신운봉벼 는 50% 이하의 낮은 신장률을 보였으며, 2배 피복에서는 신운봉벼, 운장벼, 농안벼, 동진벼 등이 신장률이 낮게 나타났다.

  • PDF

양액재배를 이용한 인위적 습해유발조건에서 보리 유묘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Seedlings in Hydroponic Culture Conditioned Artificial Wet Injury)

  • 윤성중;박미은;최혜란;최재성;김정곤;서세정;강현중;김정곤;최경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0-168
    • /
    • 2003
  • 본 연구에서 간편 고효율 습해 저항성 검정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계습해와 춘계습해의 주요 유발요인의 조절이 용이한 수경재배 조건을 이용하여 산소, 양분 및 유기산의 농도가 보리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양액의 질소가스 통기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혐기조건이 보리 유묘의 생육을 저하시키며 생육감소정도는 근장 그리고 근생체중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조사시기에 따라 양분 결집 처리에 따른각 조사형질의 반응이 다르나. 지상부 길이와 생체중이 양분결핍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양분결핍조건에 대한 반응은 지상부 형질이 지하부 형질보다 더 민감한 경향이였으나, 그 감소 정도는 크지 않았다. 3. 보리의 생육은 CA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CA 농도 가 높을수록, 처리기간이 길수록 감소정도가 컸다. 4. 생육은 혐기 및 양분결핍복합처리 조건에서 감소하였는데, 그 경향은 처리 7일 후에 가장 뚜렷하였으며 처리일수가 경과할수록 복합처리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혐기 및 양분결핍처리에 의한 생육감소정도가 가장 큰 형질은 근장이었다. 5. 혐기와 양분결핍복합처리에서 생육저하효과는 혐기처리 효과가 양분처리효과보다 큰 경향이었다. 혐기와 양분결핍처리의 상호작용효과는 처리 14일 근생체중과 근건물중에서만 인정되었다. 6. 인위적 혐기조건에 대한 각 조사형질의 품종별 평균 감소율의 차이는 l1-19%이었으며, 올쌀보리의 감소율이 가장 낮고, 올보리가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보리의 생육반응으로 보아 품종간 반응차이가 가장 민감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된양분부족 +$\textrm{N}_2$ 척리 +CA 3mM 조건에서의 각 품종별 유묘형질의 평균 감소율은 올쌀보리>내한발보리=흰찰발보리>찰발보리>두원찰발보리>올보리 순으로 낮았다.

Agrobacterium 이용 보리묘 형질전환에 대한 세포벽 상해물질의 효과 (Effect of Cell Wall-Wounding Reagents on Agrobacterium-mediated Barley Seedling Transformation)

  • 최장원;박희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9-15
    • /
    • 2010
  • 단자엽 식물인 보리는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이 비교적 까다로운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알1호, 내쌀보리, 올보리, 새찰쌀보리, 서둔찰보리, 풍산찰쌀보리의 유묘에 알칼리, 산화제, 환원제 등을 처리하여 화학적 상처를 유발하였으며 이들에 감압진공을 이용한 Agrobacterium 형질전환을 실시한 후 GUS 유전자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리묘 생육을 일부 저하시킬 수 있는 농도의 화학물질 처리는 각기 다른 보리 품종의 형질전환율을 전반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학물 중에서는 특히 hydrogen peroxide 처리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와 보리에서 Fusarium graminearum의 8-ketotrichothecenes 생성 (Production of 8-ketotrichothecenes by Fusarium graminearum on Corn and Barley)

  • 서영수;서정아;손황배;이인원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18-424
    • /
    • 1998
  • The production of 8-ketotrichothecenes, deoxynivalenol (DON), nivalenol (NIV), and their monoacetyl derivatives was studied in rice and corn cultures using 8 isolates of Fusarium graminearum which were obtained from corn and barley samples. Higher concentrations of trichothecenes were produced on rice than corn, and production of the toxins on rice was enhanced by growing the fungi at $25^{\circ}C$. The isolates were used for evaluation of toxin production and pathogenicity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to 5 corn and 3 barley cultivars. The kinds and the relative amounts of trichothecenes produced in cultures were consistent with those in infected kernels of corn and barley with some exceptions. As for DON chemotypes, the ratios of 15-acetyl-DON to 3-acetyl-DON were varied among the pathogen-cultivar interactions. The corn and barley cultivar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sistance to the Fusarium isolates in disease severity and seedling blight, and resistance ranking to the different isolates was varied. However,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total concentrations of trichothecenes in infected kernels of corn and barley and pathogenicities of the Fusarium isolates to the hosts.

  • PDF

보리와 독새풀의 생장에 대한 삼투압, pH 및 볏짚멀칭의 영향 (Influence of Light, Osmotic Potential, pH and Rice Straw Mulching on Growth of Barley(Hordeum vulgare L.) and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Kom.) Ohwi))

  • 이춘우;김용욱;구본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0-313
    • /
    • 1997
  • 볏짚을 논에 환원하면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볏짚의 멀칭효과에 의한 차광, 수분증가 또는 용탈물 등의 영향일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실내에서 pH, 수분포텐셜, 볏짚분말의 혼합정도 등에 따라 보리와 독새풀의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포장에서 볏짚멀칭이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pH 4-10의 범위에서 보리와 독새풀의 생장과 발아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삼투압이 각각 -2.9bar, -0.6bar 이상에서 보리와 독새풀의 발아에 영향을 미쳤다. 3. 볏짚분말의 혼합농도가 4% 이상에서 보리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무게는 감소하였고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억제가 심하였다. 4. 볏짚멀칭에 의하여 광이 99.8% 차광되었고 독새풀의 발생본수와 건물중이 각각 87.1%, 86.2% 억제되었다.

  • PDF

맥류(麥類)에 발생(發生)하는 Ustilago nuda 및 Pyrenophora graminea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Control of Seed-borne Infection of Ustilago nuda and Pyrenophora graminea on Barley)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4
    • /
    • 1980
  • 맥류(麥類)의 겉깜부기병(라흑종병(裸黑種病))과 줄무늬병(반엽병(班葉病))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 효과(效果)를 보기 위하여 자연이병(自然罹病)된 종자(種子)에 Baytan외(外) 13종(種)의 엽제(葉劑)를 처리(處理)한 다음 포장(圃場)에 파종(播種)하여 발병상황(發病狀況)을 조사(調査)하였다. Sisthane 및 Benlate T는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과 같은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나타냈으며, Baytan U는 겉깜부기병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줄무늬병에는 효과(效果)가 떨어졌다. P242는 줄무늬병에는 좋은 약효(藥效)를 나타냈으나 겉깜부기병의 발생(發生)을 막는데는 효과(效果)가 적었으며, Busan 30은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에 비해서 효과(效果)가 불안정(不安定)하였다. 홍시약제(洪試藥劑)로 처리한 보리 쌀보리 및 밀을 실내(室內)서에 발아상(發芽箱)에 키웠을 때 Sisthane과 Baytan U의 고농도처리구(高濃度處理區)에서는 뿌리뒤틀림 현상으로 생육(生育)의 저해(沮害)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