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ilag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2초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N 수량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2. Nutrient value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 김원호;서성;윤세형;김기용;조영무;박태일;고종민;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3-288
    • /
    • 2003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위해 경기 수원(축산연)에서 1999 ∼ 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사료가치 및 TDN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총체보리의 유숙기 때의 ADF 함량은 27.3 ∼ 29.1% 이었고 황숙기의 경우 27.4 ∼ 30.4%이었다. 또한 유숙기와 황숙기 때의 NDF 함량은 50.6 ∼ 55.9% 그리고 53.1 ∼ 60.6. 유숙기와 황숙기의 TBN 함량은 65.4 ∼ 67.4% 그리고 64. 3 ∼ 67.7%이었다. 또한 ha 당 TDN 수량은 유숙기 때 4,120 ∼ 5,528kg, 황숙기 때 5,674 ∼ 6,569kg 이었다. 그리고 소화율은 유숙기 65.8 ∼ 74.6% 이었고 황숙기 때 64.6 ∼ 73.9% 이었다. 본 시험에서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하여 수원지역에서는 총체용 보리 우량 품종은 알보리이며, 작부체계에 있어서 황숙기 때 수확하는 것이 유리하다.

농업부산물 사료화 이용 연구 (Studies on Feed Resources of Non-Conventional Agriculture Roughage)

  • 김원호;서성;신동은;박근제;최기준;김기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9-17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 resources and collection system of nonconventional agricultural roughages, and reduction of environment pollution by turning non-conventional agricultural roughages to feed resources and diversification of feed supply. And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isture control material on quality of sweet potato stalk, peanut stalk, barley straw,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Suwon in 1999 and 200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cid detergent fiber(AD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of sweet potato were 38.8, 50.7 and 58.2% in the control silage, but that of rice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were decreased to 41.5, 50.8 and 56.1%. ADF, NDF, CP(crude protein) and TDN of peanut stalk were 42.2, 49.6, 10.5 and 55.6% on the rice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and there were not affected by barely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And ADF, NDF and TDN content of barely straw increased 42.8, 65.8 and 55.1% on the water+inoculants treated sil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on-conventional agricultural roughages to feed resources should be make for silage at silo after dry matter percentage(ab0ut 35%) control. Also, rice straw added silage for moisture control will improve the silage fermentation and conservation. (Key words : Feed resources, Non-conventional agriculture, Fermentation, Inoculant, Rice straw)

  • PDF

배수불량 논에서 암거배수처리가 동.하계 사료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ainage Culvert Spacing on Forage Crops Production in Poorly Drained Paddy Field Converted to Upland Crop Cultivation)

  • 신재순;전종길;이상봉;김원호;윤세형;이종경;김종근;정민웅;서성;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1-306
    • /
    • 2008
  • 본 시험은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사료작물재배를 위해 암거배수 간격을 3 m, 5 m 그리고 7 m로 처리하고 여름 사료작물로는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 교잡종, 겨울 사료작물로는 청보리를 조합하여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 등 2개의 작부체계에 대한 재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배수간격별 출현율과 출수 시는 차이가 없었다. 출현율은 옥수수가 90%,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이 91%, 청보리가 92%로 조사되었다. 옥수수의 출수시는 7월 26일, 수수$\times$수수교잡종은 7월 21일 그리고 청보리는 4월 27일이었다. 배수처리간격별 건물 수량의 경우, 3m 간격 (24,389 kg/ha) < 5 m 간격 (23,543 kg/ha) < 7 m 간격 (21,527 kg/ha) 순으로 높았는데 3 m 간격과 5 m 간격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작부체계간에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2,000 kg/ha)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9,684 kg/ha)보다 높았다(p<0.05). 배수간격별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3 m간격(2,365 kg/ha, 15,394 kg/ha) < 5 m 간격 (2,255 kg/ha, 14,513 kg/ha) < 7 m 간격(1,884 kg/ha, 13,747 kg/ha) 순으로 높았다. 작부체계별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165 kg/ha, 13,582 kg/ha)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576kg/ha, 12,482 kg/ha)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수불량 논을 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부체계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으로 배수간격은 5 m 간격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총체맥류 주요품종의 봄 파종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Yield and Feed Quality at Spring Sowing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 Whole-crop Silage Use)

  • 주정일;이동희;성열규;한옥규;송태화;이광원;김창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5-216
    • /
    • 2010
  • 본 시험은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 총체맥류 주요 품종에 대하여 봄 파종시 출수 여부,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적기 파종과 비교하고자 2008/2009년에 충남농업기술원(예산) 밭 사료포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초종 및 품종은 청보리(영양, 파성 I), 밀(금강, 파성 II), 호밀(곡우, 파성 III 추정), 트리티케일(신영, 파성 III 추정), 귀리(삼한, 파성 II 추정)이었고, 파종기는 가을 적기파종(10월 18일)과 봄 파종(2월 23일, 3월 10일)을 두었다. 출수기는 봄 파종시 가을 적기 파종에 비하여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등은 약 16~20 일, 귀리는 약 9일 늦었다. 봄 파종시 수확시기는 영양 보리(황숙기) 6월 8일, 곡우 호밀(출수 후 10일) 5월 25일, 금강 밀(황숙기), 신영 트리티케일(유숙기) 및 삼한 귀리(유숙기)는 6월 17일경 이었다. 봄 파종은 가을 파종에 비하여 출현기부터 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의 감소가 컸고, 파종기~출현기, 출수기부터 성숙기까지의 적산온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경수에서 출수된 이삭수의 비율은 영양 보리, 금강 밀, 신영 트리티케일, 삼한 귀리 등은 62.0~73.1% 로서 정상적으로 출수되었고, 곡우호밀은 56.0%로서 출수되지 않는 분얼이 많았다. 봄 파종시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 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많았고, 가을파종에 비하여 영양 보리 71.7%, 금강 밀 60.6%, 곡우 호밀 46.2%, 신영 트리티케일 70.2%, 삼한 귀리 110.9% 수준이었다. 총체맥류를 봄에 파종하면 가을 파종에 비하여 ADF 함량, NDF 함량 및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소화건물함량과 상대사료가치는 낮아졌다. 봄 파종시 평균 가소화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높았고, 가을에 파종한 것에 비하여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신영 트리티케일은 모두 감수되었고, 삼한 귀리는 증수되었다. 따라서 예취시기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봄 파종은 귀리가 가장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순이었으며, 곡우 호밀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총체 맥류의 봄 파종 및 재배는 파성을 소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2월 말(경칩 전) 얼음이 풀리는 대로 가능하면 빨리 파종하여 낮은 지온으로 종자 상태에서 춘화처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사료가치 변화 (Changes of Feed Quality at Different Cutting Dates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 Whole-Crop Cereal Silage in Middle Region)

  • 주정일;이정준;박기훈;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7-196
    • /
    • 2009
  •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 5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중부지역에서 답리작 재배시 월동 후인 3월 15일 부터 6월 1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10회에 걸쳐 예취한 후 각 작물별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를 비교하였다. ADF 함량은 5종의 총체맥류 모두 월동 후 증가하다가 각 작물별로 최고점에 도달한 후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2차원적인 경향을 보였고, NDF 함량은 월동 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대체로 어느 일정시기 이후에는 정체되거나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잎이 풍부한 월동 직후에 높았다가 생육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가소화건물(DDM) 함량은 총체맥류 5종 모두 월동 후 생육이 진전될수록 낮아지다가 출수기 이후 종실이 충실해짐에 따라 다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상대사료가치(RFV)는 월동 후 잎이 풍부한 생육초기에 높았다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출수기 이후에 종실이 충실해지면서 다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맥종별로 보면 청보리인 영양보리는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출수기 이후 ADF와 NDF 함량이 낮았고, 가소화건물 함량과 상대사료가치(RFV)가 높았다. 금강밀은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출수기 이후 가소화건물 함량과 상대사료 가치가 곡우호밀, 신영트리티케일, 삼한귀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 곡우호밀은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내한성과 내재해성이 강하지만 월동 후 성숙기 까지 ADF와 NDF 함량이 높고, DDM 함량과 상대사료가치 (RFV)가 낮은 조사료 작물에 해당하였다. 신영트리티케일은 영양보리 또는 금강밀과 곡우호밀의 중간적인 특성을 보였으며, 생육후기로 갈수록 가소화건물 수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삼한귀리는 출수 전까지 ADF와 NDF 함량이 낮고 단백질이 풍부하였지만, 출수 후 성숙이 진행될수록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변화가 적었다.

총체 보리사일리지를 첨가한 유기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TMR with Whole Barley Silage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김광국;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3-424
    • /
    • 2007
  • 본 연구는 흑염소의 합리적 사료 급여체계를 모색하기 위하여 관행사료(A: 볏짚+시판 배합사료)구, 시판 TMR 급여(B: 볏짚+시판 TMR)구, 30% 총체보리 사일리지 함유 TMR 급여(C: 볏짚+30% 총체보리 사일리지+유기곡류)구 그리고 60% 총체보리 사일리지 함유 TMR 급여(D: 60% 총체보리 사일리지+유기곡류)구로 나누어 각각의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질소 축적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건물섭취량, 분 배설량, 가소화건물, 대사체중당 건물섭취량 및 건물 섭취비율은 공히 A구, B구, C구의 순으로 낮아졌고 D구는 이들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영양소 소화율은 D구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C와 D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NFC 소화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구가 가장 높았다. 질소 섭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D구가 가장 낮았고, 분 중 질소 배설량은 A와 B구가 D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질소 축적율은 B>C>D>A구 순으로 낮아졌다. 혈액성상에서 HDL cholesterol과 Immunoglobulin G는 C구와 D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관행사료(볏짚+시판 배합사료)구와 시판 TMR 급여구에 비해 총체보리 사일리지를 30% 혼입하여 자가 TMR을 조제 급여한 구에서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축적율 등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고, 특히 혈액 성상에서는 HDL cholesterol 및 Immunoglobulin G는 증가함을 나타내 어 기호성과 섭취량만 개선된다면 흑염소에 있어서도 총체보리 사일리지 이용에 의한 기능성 및 안전 축산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실험구에서 플러그 묘의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나타나 자연강우 조건에서도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상기결과로 볼 때 종자파종으로 만든 플러그 묘 식재는 한국잔디 조성 시 파종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방법은 재현성 있는 안정적 분석조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두 약제의 잔류분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로 작용하였다.> dS $m^{-1}$이었고, 평균은 1.15 dS $m^{-1}$이었다. $NO_3-N$, $PO_4-P$, $K^+$, $Ca^{2+}$, $Mg^{2+}$$Na^+$ 의 분포범위는 각각 $10\sim212$, $0.56\sim26.1$, $10\sim295$, $16\sim215$, $9\sim54$$10\sim53$ mg $L^{-1}$이었다. 평균 농도 값은 $NO_3-N$ 100, $PO_4-P$ 12.15, $K^+$ 99, $Ca^{2+}$ 78, $Mg^{2+}$ 26 및 $Na^+$ 26 mg $L^{-1}$이었다.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 중의 무기성분 함량은 양액재배에 이용되는 원수에 비해 상당히 높아졌다.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약재료인 약초류 등을 이용하였는데 오랫동안 푹 삶아 그물에 곡류 등을 넣어 죽이나 밥으로 조리하였으며 면으로도

  • PDF

밀 신품종 '태중'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평가 (Evaluation of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New Wheat Cultivar, 'Taejoong')

  • 송태화;김경훈;정영근;손재한;박종철;오영진;박종호;김양길;김경호;박태일;김보경;강천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67
    • /
    • 2017
  • 본 연구는 '태중'밀의 조사료로서의 이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료가치와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태중밀의 출수기는 4월 27일이고, 영양보리나 청우밀보다 초장이 길고 장수형으로 이삭도 큰 편이며,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높다. 사료가치 면에서는 태중밀이 영양보리나 청우밀보다 조단백질 함량은 높았고, NDF와 ADF함량은 낮았으며, 가소화영양소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발효품질 면에서는 태중밀의 pH는 4.2이었고, 유산함량은 청우밀 사일리지보다 낮고 영양보리 사일리지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초산함량은 영양보리나 청우밀 사일리지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고(p<0.01), 낙산함량은 영양보리 사일리지 대비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최종 Flieg's score는 태중밀 사일리지가 1등급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에서도 영양보리와 청우밀 대비 소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태중밀은 담근먹이용 조사료로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CE OF PROCESSING ON THE SITE AND EXTENT OF DIGESTION OF HIGH MOISTURE BARLEY IN CATTLE

  • Kennelly, J.J.;Ha,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4호
    • /
    • pp.323-330
    • /
    • 1990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cessing and method of ensiling on the digestion and utilization of high moisture barley (HMB) in cattle. In experiment 1, four Holstein heifers were assigned in a Latin square design to diets containing 70% barley, 25% alfalfa hay and 5% supplement on a dry matter (DM) basis. Diets differed only in the type of barley fed: rolled dry barley (R-DB), rolled HBM (R-HMB), ground HMB (G-HMB) or unprocessed HMB (U-HMB). In experiment 2, three Holstein steers were fed 85.2% barley, 10.2% whole plant barley silage and 4.6% supplement on a DM basis. Again, diets differed only in the type of barley fed: R-DB, rolled HMB from a pit silo (Pit-HMB) or rolled HMB from a Harvestore silo (HAV-HMB). In experiment 1,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animals fed R-HM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bserved for U-HMB. While not significant, a similar trend for decreased digestibility was observed for R-DB and G-HMB. Animals fed HMB had significantly lower ruminal propionate concentrations. In addition, the rate of degradation of the degradable DM and crude protein (CP) fractions was slower for HMB than for dry barley. In experiment 2, a trend to lower digestibility coefficients was observed for animal fed R-DB compared to those fed Pit-HMB or HAV-HMB. Ruminal propionate concentrations for animals fed R-DB also tended to be higher than for those fed the HMB diets. Dry matter and CP disappearances from nylon bags was substantially lower for Pit-HMB than for R-DB or HAV-HMB. The results suggest that replacement of dry barley by rolled or unprocessed HMB in the diet of animals fed high grain diets may contribute to a more stable rumen environment.

Effects of Moisture and a Saponin-based Surfactant during Barley Processing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Feedlot Steers and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Wang, Y.;Gibb, D.;Greer, D.;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690-1698
    • /
    • 2011
  • Feedlot and in vitro rumin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saponin-containing surfactant applied during tempering of barley grain on cattle growth performance and on ruminal fermentation. In the feedlot experiment, treatments with three barley grain/barley silage based diets were prepared using barley grain at 7.7% moisture (dry, D), after tempering to 18% moisture (M), or after tempering with a saponin-based surfactant included at 60 ml/t (MS). Each treatment was rolled at settings determined previously to yield optimally processed barley. A total of 180 newly weaned British${\times}$Charolais steers were fed three diets in 18 pens for a 63-d backgrounding period and 91-d finishing period to determine feed intake,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Cattle were slaughter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o measur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Tempering reduced (p<0.001) volume weight and processing index, but processing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MS and M. Tempering increased (p<0.05) growth during backgrounding only, compared with D, but did not affect feed intake in either phase. During backgrounding, feed efficiency was improved with tempering, but during finishing and overall this response was only observed with the surfactant. Tempering did not affect carcass weight, fat content or meat yield. Surfactant doubled the proportion of carcasses grading AAA. In the in vitro experiment, barley (500 mg; ground to <1.0 mm or steam-rolled) was incubated in buffered ruminal fluid (40 ml) without or with surfactant up to 20 ${\mu}l/g$ DM substrate for 24 h. Surfactant increased (p<0.05) apparent DM disappearance and starch digestibility but reduced productions of gas and the volatile fatty acid and acetate:propionate ratio, irrespective of barley particle size. Compared with feeding diets prepared with non-tempered barley, tempering with surfactant increased the feed efficiency of feedlot steers. This may have arisen from alteration in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barley grain by surfactant rather than its direct effect on rumen microbial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