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Drainage Culvert Spacing on Forage Crops Production in Poorly Drained Paddy Field Converted to Upland Crop Cultivation

배수불량 논에서 암거배수처리가 동.하계 사료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productivity of silage com and barley cropping, forage sorghum and barley cropping in accordance with Drainage Culvert Spacing at poorly drained paddy field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t Seonghwan in Korea, March 2006 to May 2007. The emergency and flowering date were no different among treatments. Emergency rate and flowering date were 90% and July 26 in silage com, 91% and July 21 in forage sorghum, 92% and April 27 in barley, respectively. Dry matter yield was high in line with 3 m drainage culvert spacing (24,389 kg/ha) > 5 m (23,543 kg/ha) > 7 m (21,527 kg/ha) > 0 m (14,132 kg/ha). In cropping systems, dry matter yield of forage sorghum and barley (22,111 kg/ha) was higher than silage com and barley (19,684 kg/ha). Crude protein and TDN yield were high in line with 3 m (2,365 and 15,394 kg/ha) > 5 m (2,255 and 14,513 kg/ha) > 7 m (1,884 and 13,747 kg/ha) > 0 m (995 and 8,682 kg/ha). In cropping systems, crude protein and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yield of forage sorghum and barley cropping system (2,165 and 13,582 kg/ha) was higher than silage com and barley cropping system (1,576 kg/ha and 12,482 kg/ha), respectively. Consequently proper drainage culvert Spacing at poorly drained paddy field was 5 m with forage sorghum and barley cropping system.

본 시험은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사료작물재배를 위해 암거배수 간격을 3 m, 5 m 그리고 7 m로 처리하고 여름 사료작물로는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 교잡종, 겨울 사료작물로는 청보리를 조합하여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 등 2개의 작부체계에 대한 재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배수간격별 출현율과 출수 시는 차이가 없었다. 출현율은 옥수수가 90%,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이 91%, 청보리가 92%로 조사되었다. 옥수수의 출수시는 7월 26일, 수수$\times$수수교잡종은 7월 21일 그리고 청보리는 4월 27일이었다. 배수처리간격별 건물 수량의 경우, 3m 간격 (24,389 kg/ha) < 5 m 간격 (23,543 kg/ha) < 7 m 간격 (21,527 kg/ha) 순으로 높았는데 3 m 간격과 5 m 간격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작부체계간에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2,000 kg/ha)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9,684 kg/ha)보다 높았다(p<0.05). 배수간격별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3 m간격(2,365 kg/ha, 15,394 kg/ha) < 5 m 간격 (2,255 kg/ha, 14,513 kg/ha) < 7 m 간격(1,884 kg/ha, 13,747 kg/ha) 순으로 높았다. 작부체계별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165 kg/ha, 13,582 kg/ha)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576kg/ha, 12,482 kg/ha)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수불량 논을 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부체계는 수수$\times$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으로 배수간격은 5 m 간격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시원, 김철기, 이기춘. 1996. 신고 농업수리학. 향문사. pp. 300
  2. 김종덕, 권찬호, 김종관. 2001.중남부서해안지대에서 하계 사료작물의 수량 및 품질 비교..한국초지학회 제25회 정기프로그램 제39회 학술대회 및 특별강연. p. 95
  3. 김이열, 조현준, 현병근, 박우풍. 2001. 시설재배지 토양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처리 방법별 효과 비교. 한토비지 34(2):92-97
  4. 김원호, 신재순, 임영철,서성, 김기용, 이종경.2005. 논에서 여름 및 겨울 사료작물의 최적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초지 25(4):233-238 https://doi.org/10.5333/KGFS.2005.25.4.233
  5. 농촌진흥청. 2003.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6. 박근제, 김원호. 2002. 벼대체 논 사료작물 재배 및 이용기술.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pp.39-91
  7. 이무영. 1988. 중북부 지방에 있어서 작부체계가 사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8. 윤세형, 김종근, 정의수, 장영석. 2005. 유기재배 조건에서의 하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료 가치. 한국초지학회 2005년도 학술심포지엄,제43회 학술발표회. pp. 160-161
  9. 임영철. 2008. 양질조사료 생산 및 이용율 제고 방안(사료비 절감을 위한 조사료 연중 생산체계 확립 토론회, 농촌진흥청). p. 65
  10. 전종길, 이상봉, 이수장, 김진영, 신재순, 서성. 2007. 사료작물 재배 논에서의 천층 수형암거배수 효과. 2007년도 한국농공학회학술발표 논문집. p. 18
  11. AOAC International.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ition. Arlington, VA, USA, Association of Analytical Communities
  12. Ankom, Technology Corporation 1998a. Method for determining Acid Detergent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Crude Fibre, using the Ankom Fiber Analyser. Ankom Technology Corporation, 14 Turk Hill Park, Fairport New York 14450, USA
  13. SAS. 2003. SAS Enterprise Guide 3.0.0.369.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Corn Hybrids for Silage at Paddy Field Cultivation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15
  2. Effect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vol.48, pp.6, 2015, https://doi.org/10.7745/KJSSF.2015.48.6.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