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wo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백운배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효과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Native Pear c.v. ‘Baekwoon’)

  • 허북구;박용서;박윤점;정규진;조자용;오경택;정웅서;이경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9-558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native pear c.v. 'Baekwoon' grown in Mt. Baekwoonsan, Gwangyang, to develop as a local specialty produc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ekwoon' pear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iitaka' pear. Hardness of 'Baekwoon' pear was 19.30N, which was higher than 'Niitaka'. The sugar content of 'Baekwoon' was 11.5 $^{\circ}Brix$, which was lower than 'Niitaka'.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the fruit skin and flesh of 'Baekwoon' were 222 mg/100g dry weight (DW) and 130 mg/100g DW,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Niitaka'. Especially, serine contents in fruit skin and flesh of 'Baekwoon' were 75.4 mg/100g DW and 40.2 mg/100g DW,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Niitaka'. However,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Baekwoon' were lower than or similar to those of 'Niitaka'. Consequently, vitamin and amino acid contents of 'Baekwoon' were better than those of 'Niitaka'. It is suggested to use fruit skin because of its goo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so that it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biological activity.

  • PDF

흰색 팽이버섯 신품종 '백운' 육성 (Breeding a new variety of the whit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Baekwoon')

  • 임지훈;오민지;김민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1-246
    • /
    • 2023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백승과 국외 수집자원(KMCC02260)을 모본으로 하여 단핵균주를 분리 후 mon-mon교잡을 통해 '백운' 품종을 육성하였다. 균사배양 특성은 25℃에서 두 품종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15, 25℃에서 백운의 균사생장 속도가 대조품종보다 더 빨랐으며 배지별 시험에서도 모든 배지에서 백운의 균사생장이 우수하였다. 톱밥 병에 접종 후 균사 배양기간은 백운이 2일, 초발이일수도 1일 더 빨라 전체적인 생육기간을 단축시켰으며 수량은 228.0±10.9 g/병(850 ml)으로 대조품종 대비 8.3% 증수하였다. 백운의 형태적인 특성은 갓이 크고 대가 굵으며 갓이 순백색이었다. 대치배양과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백운이 두 모본과 대조품종과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경홀몬 Benzo[a]pyrene및 Bisphenol A의 경기도 일부호소에서의 요염실태 및 위해성 평가 방안 (Analysis of Benzo[a]pyrene and Bisphenol A in lakes of Kyonggi-Do Province)

  • 박요안;박송자;이병무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1-55
    • /
    • 2003
  • Benzo(a)pyrene and bisphenol A have been classified a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which have been of concern in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Benzo(a)pyrene and bisphenol A were monitored by HPLC or GC-MS in Baekwoon and Ilwirl lakes of Kyonggi-Do province to investigate contamination levels of EDCs.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000 and August, 200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different sites of each lake once per month. Contamination levels of benzo(a)pyrene were 3.27~4.25 ppb in Ilwirl lake and 2.00~2.33 ppb in Baekwoon lake, respectively. Bisphenol A levels were detected with the range of 0.33~7.94 and 0.43~4.71 for Baekwoon lake and Ilwirl lake, respectively. pH levels were higher in Ilwirl lake than in Baekwoon lake, where the contamination was relatively lower. These data suggest that lakes in Kyonggi-Do province could be contaminated with EDCs and be subjected to the routine monitoring and water quality control.

  • PDF

광양 및 제주 지역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Gwangyang and Jeju Areas)

  • 권기철;이돈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54-65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인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해발 800 m)에서 자라는 60~70년생 신갈나무림과 제주 한라산 지역(해발 1,000 m)에서 자라는 60년생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 고정량을 추정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5~9 본씩 총 25 본의 표본목을 조사하였다. 광양 백운산 지역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현존량은 288.4 ton/ha, 남사면은 241.9 ton/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368.4 ton/ha, 남사면은 364.3 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20.7 ton/ha/yr, 남사면 17.7 ton/ha/yr이었다.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19.0 ton/ha/yr, 남사면 21.2 ton/ha/yr로서 바이오매스 현존량과 연간 순생산량 모두 한라산 지역이 백운산 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잎의 생산 효율인 순동화율(NAR)은 백운산 지역(4.1~5.1)이 한라산 지역(3.7~4.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광양 백운산 지역에서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현존량은 5,666 GJ/ha, 남사면은 4,793 GJ/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에서 북사면은 6,550 GJ/ha, 남사면은 6,435 GJ/ha로 나타났다.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365 GJ/ha/yr, 남사면 360 GJ/ha/yr, 한라산 지역 북사면 351 GJ/ha/yr, 남사면 347 GJ/ha/yr로서 백운산 지역이 한라산 지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 곰팡이 단백질 유전자 분석에 의한 국내 무 품종간 유연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Distance Relationships among Domestic Radish (Raphanus sativus L.) by Analyzing its Anti-fungal Protein Gene.)

  • 황철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94-1297
    • /
    • 2007
  • 국내 시판 무 (Baekwoon) 의 씨앗으로부터 항 진균 단백질들을 (RAP-l,2)분리 하였으며[12] 이들 항 진균 단백질을 MALDI-TOF실험결과, 2S storage albumin, Rs-AFP등 지하부 식물의 defensin protein과[15]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시판되는 7종의 각각의 무 씨앗으로부터 조 단백질과 Total RNA를 분리 하여 항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및 항 곰팡이 (Botrytis cenma)에 대한 항 진균성을 실험한 결과 항 곰팡이 활성은 모든 품종에서 보였으나 항 효모 활성은2 종 (Myungsan, Baekwoon) 의 무에서만 보였 다 . 또한 기존에 알려진 항 진균 단백질 (Rs-AFP)의 유전자를 Gene Bank/EMBL 에서 획득하여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Total RNA 에 RT-PCR 한결과, 7종 중 2종은 0.2kb 의 산물이 보이지 않았다. 이들 Ks-AFP 유전자산물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 염기서열에서 얻어진 아미노산 서열을 Clustal W를 이용한 pairwise alignment 분석에 의해 국내 시판 무 의 품종간 각clone의 계통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이동우;윤희빈;이귀용;이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23
    • /
    • 2003
  • 본 연구는 백운산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충북 백운산(1,087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0과 273속 411종 1아종 49변종 7품종 등 총 46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대상지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을 조사한 결과 천마. 말나리, 금강제비꽃, 매미꽃. 도깨비부채, 쥐방울덩굴, 개족도리,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토현삼 등 총 10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 특산식물은 개족도리.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진범, 매미꽃, 흰털괭이눈, 조팝나무, 가시딸기, 광릉갈퀴, 뽕잎피나무, 서울제비꽃, 금강제비꽃, 자란초, 토현삼,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분취 등 19종류로 조사되었다.

Energy Content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orea

  • Kwon, Ki-Cheol;Lee, Don K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62-56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nergy content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orea. Study sites were located in Mt. Joongwang, Gangwon-do (1,000 m and 800 m above sea level), Mt. Baekwoon, Jeollanam-do (800 m a.s.l.), Mt. Halla, Jeju-do (1,000 m a.s.l.), Mt. Taehwa, Gyeonggi-do (350 m a.s.l.), and Mt. Wolak, Chungcheongbuk-do (300 m a.s.l.). Total energy content and annual energy accumulation in Q. mongolica stands were 2,916-6,435 GJ/ha and 284-441 GJ/ha, respectively. Lower latitude (N.L.) stands of Q. mongolica showed higher energy contents than higher latitude stands, but Quercus stands in Mt. Baekwoon had higher annual energy accumulation than those in Mt. Halla located at a lower latitude.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60 to 70-year-old Q. mongolica stands ranged from 1.19 to 1.34% while that of 35-year-old stands did from 1.87 to 1.9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tosynthetic efficiency among the latitudes because solar radiation was higher in low latitudes.

갱내 대리석 채석을 위한 체인쏘머신 적용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hain Saw Machine for the Underground Marble Quarrying)

  • 주재열;이광표;김재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3호
    • /
    • pp.180-191
    • /
    • 2013
  • 본 연구는 백운광산지역에 부존하는 대리석을 효율적으로 채석하고자 새로이 도입한 체인쏘머신(chain saw machine)의 적용성과 작업 효율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채석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절단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채석대상암석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국내 타 지역에서 산출되는 대리석의 물성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등방적 성질을 지니고 있어 산업용 석재로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존 대리석이 석재로서 가지는 중장기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내부식성, 마모율 등의 시험을 수행한 결과, pH 5.6의 인공강우를 50회 적용한 이후부터 시험편의 무게와 탄성파속도가 감소하였으며 마모율은 22.67%로 나타났다. 채석장 현장에서 시험운행 중인 체인쏘머신의 작업별 소요시간과 절단속도를 분석하여 단위작업을 9가지로 분류하였고 각 단위작업별 소요시간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장에 실제 적용 가능한 2가지 작업패턴에 대한 작업소요시간을 비교한 결과 장비 본체이동을 최소화하여 절단순서를 결정한 패턴 B가 원석의 외곽면을 우선 절단하도록 절단순서를 결정한 패턴 A보다 약 6%의 작업시간 단축을 나타내었다. 절단패턴 분석과 함께 백운광산의 광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대상암석의 부존조건을 고려한 채석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Carbon Storage of Quercus mongolica Stands by Latitude and Altitude in Korea

  • Kwon, Ki-Cheol;Lee, Don K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220-231
    • /
    • 2006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arbon storage of Quercus mongolica stands with respect to latitude and altitude in Korea. Study sites were located in Mt. Joongwang, Pyeongchang-gun, Gangwon-do (altitudes 1,300 m, 1,000 m, and 800 m), Mt. Taehwa, Gwangju-si, Gyeonggi-do (altitude 350 m), Mt. Wolak, lecheon-si, Chungcheongbuk-do (altitude 300 m), Mt. Baekwoon, Gwangyang-si, Jeollanam-do (altitude 800 m), and Mt. Halla, Jeju-do (altitude 1,000 m). Total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storage of Q. mongolica stands were 85-210 tonC/ha and 7.2-10.6 tonC/ha, respectively. Lower latitude (NE) stands of Q. mongolica showed more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storage than higher latitude stands.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storage of Q. mongolica stands were increased in low altitude. Carbon storage of Q. mongolica stands was higher in the northern aspect than in the southern aspec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nual carbon storage between the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