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Bacillus licheniformis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1초

사료 내 Prebiotic, Probiotics와 Synbiotic의 첨가가 대왕붉바리(Epinephelus akaara ♀×Epinephelus lanceolatus ♂)의 성장, 비특이적 면역력, 항산화능, 장내 미생물 조성과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ebiotic, Probiotics and Synbiotic on Growth, Nonspecific Immunity, Antioxidant Capacity, Intestinal Microbiota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ybri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pinephelus lanceolatus ♂))

  • 김원훈;임종호;강민주;노충환;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850-860
    • /
    • 2023
  • The effects of dietary mannan oligosaccharides,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supplementation on hybri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pinephelus lanceolatus ♂ were evaluated. The fish were fed a basal diet and five other diets consisting of 0.6% mannan oligosaccharides, L. plantarum, B. subtilis, and B. licheniformis and mixture of each 0.15% prebiotic and all the probiotics (designated as MOS, LP, BS, BL, and SYN) for 56 days.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Lipid level of whole-body was significantly high in MOS and BL groups.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was significantly low in BL and SYN groups. Nitro-blue tetrazolium, lysozyme and anti-prote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BS, SYN, and all probiotic groups,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 Intestinal Vibrio bacteria was significantly low in all probiotic and SYN groups. Gene expression of interleukin-1β and interleukin-10 in SYN group;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2 in MOS and BS groups, toll-like receptor 2-2 in BS and BL groups; and C-type lectin in MOS, LP and SYN group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Our findings indicate that mannan oligosaccharides, L. plantarum, B. subtilis, and B. licheniformis could improve innate immunity, antioxidant capacity, anti-inflammation,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hybrid grouper.

Streptomyces lividans Tk24에서 secY homolog의 클로닝과 분석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ecY Homolog from Streptomyces lividans TK24)

  • 김순옥;서주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116
    • /
    • 1998
  • 몇 가지 그람양성 세균에서 secY 유전자가 함유된 operon의 구성이 rplO(L15)-secY-adk라는 결과를 토대로 L15와 adk 유전자일부를 primer로 제작하여 Streptomyces lividans TK24에서 secY 유전자가 함유된 1.8kb 단편을 PCR로 증폭하여 얻은 후 secY 유전자를 cloning하였다. 전 단편을 sequencing하여 추론한 아미노산으로 상동성을 조사해 본 결과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 Bacillus licheniformis, Staphylococcus carnosus, Brevibacterium flavum, Streptomyces scabies의 SecY와 각각 46%, 43%, 57%, 44%, 42%, 56%, 90%의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ecY의 소수성 profile 또한 서로 유사하고 10개의 membrane spanning segment를 동일하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 구조도 다른 그람양성균에서와 같이 L15-SecY-Adk순 이였으며 secY 유전자의 종결코돈과 adk 유전자의 개시코돈이 한 염기를 공유하는 상태의 translational coupling 구조를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단백질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ribosome 구성요소, 그리고 ATP 합성에 관여하는 요소는 세포성장에 상호 연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순창 전통 고추장의 주요 미생물 조성 및 맛과의 상관성 (Major 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Correlation to the Taste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 진효상;김종범;이경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3-368
    • /
    • 2007
  • Traditional kochujan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folk village in Sunchang to find the major microbial composi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taste and the microbial properties. Among the 29 samples, 17 samples showed Bacillus licheniformis as dominant strain with 11 samples Bacillus subtilis and 1 sample Staphylococcus pasteuri. Subdominant strain of 17 samples was Bacillus licheniformis with 12 samples Bacillus subtilis. Dominant strain numbers varied in rage of $6.60{\sim}8.38$ logCFU/g with subdominant strain number $5.90{\sim}7.86$ logCFU/g and total microbial number $6.64{\sim}8.56$ logCFU/g respectively. Bacterial type number varied in range of $6{\sim}18$ with the average 10.5 types. Fungi were found only in 2 samples and identified all to be Aspergillus oryzae. Yeasts were found in 25 samples. The dominant yeast strain of 23 samples was identified to be Zygosaccharomyces pseudorouxii and that of 2 samples Zygosaccharomyces rouxii. Yeast type variety showed that only single type was found in 15 samples, 2 types in 8 samples, 3 types in 1 sample and 4 types in 1 sample. Fungal number was 3.90 and 4.08 logCFU/g and yeast numbers varied in range of $3.90{\sim}6.43$ logCFU/g. The sensory scores of kochuja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ype numbers,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ther microbial properties like total bacterial number, dominant bacterial number, subdominant bacterial number and dominant yeast number.

김치에서 단백질분해효소활성 균주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 Producing Bacteria in Kimchi)

  • 민승기;김정희;김태운;김경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66-670
    • /
    • 2003
  • 김치의 가수분해효소로서 발효원으로 사용되고 균체증식에 필수적인 아미노산 생산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호소를 생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시판되는 풀무원 김치의 5종(전라도김치, 숙성김치, 열무김치, 포기김치, 맛김치)에서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지닌 균주 중 곰팡이와 효모를 제외하고 총 9주를 분리하여 whole cell protein pattern 및 API kit 으로 동정하여 각각의 균주들을 Lactobacillus sp. 1종, Leuconostoc sp. 1종, Bacillus sp. 6종, Brevibacillus sp. 1종으로 판정되었다. 분리된 9종과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이 높은 표준균주인 Bacillus subtilis KCCM 12248와 Bacillus licheniformis KCCM 11851에 대해 단백질분해활성을 비교한 결과 김치에서 분리되는 K-2(Brevibacillus속)가 0.11 unit/m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이 효모추출물의 맛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Fermented Rice Protein Residue on the Taste Property of Yeast Extract)

  • 박강석;한귀정;정하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13-419
    • /
    • 2011
  • 쌀단백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천연 조미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단백질을 프로테아제로 효소분해한 배지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배양하여 제조한 효모 추출물(Yx)에, 효소분해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를 Bacillus licheniformis 혹은 Bacillus subtilis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Rfl, Rfs)을 각각 첨가하였다. 쌀단백질 잔사의 발효물이 첨가된 효모추출물(YxRfl, YxRfs)의 전체적 선호도는 첨가전의 효모추출물(Yx)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쌀단백질 발효물의 보충에 의해서 감칠맛과 같은 풍미가 증가함을 미각센서 분석 및 관능검사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에 의한 감칠맛의 상승은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이 외에도 쌀단백질의 발효에 따라 유리된 다양한 펩타이드 분획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감칠맛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가 함유된 쌀단백질 발효물이 보충된 효모추출물은 감칠맛과 풍미의 상승작용으로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부가가치 천연조미소재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한국(韓國) 재래식(在來式) 간장 및 된장에서 분리(分離)한 세균(細菌)의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 권오진;김종규;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422-428
    • /
    • 1986
  • 간장과 된장 중에 서식하는 세균이 한국 재래식 간장과 된장의 독특한 향기와 주 맛성분인 아미노산과 유리당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연구하였다. 한국 재래식 간장과 된장 중에서 분리된 세군은 모두 Bacillus species이였다. 분리균은 각각 메주향, 한국 재래식 간장의 독특한 향인 짠 간장향 및 된장향을 생성하고, protease와 amylase 를 생성하므로 한국 재래식 간장 및 된장의 맛과 향기 생성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특히, B. licheniformis인 $SSB_3$는 좋은 짠 간장향을, B. polymnxa인 $SSB_4$, Bacillus sp. 인 $SPB_1$, B. brevis인 $SPC_2$ 및 B. lichemiformis인 $SPC_{2-1}$은 구수한 된장향을 각각 생성하였고, protease와 amylase도 상당수준 생성하였다.

  • PDF

한국 근해에서 분리한 그람양성 세균의 화학 분류학적 및 표현형적 특성 (Chemosystematic and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from Coastal Seawater, Korea)

  • 전정훈;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7-172
    • /
    • 2000
  • 제주도의 여섯 지역과 인천 작약도 근해의 해수로부터 내염성 그람양성 세균 25균주를 분리하여 화학 분류학적 특징과 표현형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화학 분류학적 특징에 의거하여 4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Group1은 40.~49.9 mol% 의 G+C함량과 MK-7의 menaquinome type, peptidoglycan의 주요 아미노산으로 meso-A2pm을 함유하며 Bacillus pumilus와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 megaterium,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으며, Group 2는 63.9~66.4 mol% 의 G+C 함량과 MK-8을 함유하는 Arthrobacter속 세균이었으며 , Group 3은 31.0~37.6 mol%의 G+G 함량과 MK-7을 함유하며 Staphylococcus haemolyticus, Staphylococcus saprophyticyus, Staphylococcus intermedius 로 , Group 4는 72.0 mol% 의 G+C 함량과 MK-8을 주요 quinone으로 함유하는 Micrococcus luteus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세균들 중 Bacillus 속 세균들은 68%로 우세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토양에서 분리한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분해균의 분해활성 증진 (Improvement of Degrading Activity of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Degrading Strains Isolated from Soils)

  • 주현진;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98-204
    • /
    • 2009
  •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성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균주에 대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부터 각각 Burkholderia cepacia PBSA-4, Bacillus licheniformis PBSA-5 및 Burkholderia sp. PBSA-6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들의 PBSA 분해 활성은 $27^{\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7^{\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분해 활성이 감소하였다. 초기 균 접종량이 $10^{10}cfu\;mL^{-1}$일 때 $10^9cfu\;mL^{-1}$보다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1.3배 증가하였다. 0.1 및 0.5%의 gelatin, yeast extract 및 ammonium sulfate를 첨가한 경우에 PBSA의 분해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0.1% gelatin의 첨가는 PBSA의 분해 활성을 33% 증진시켰다. 또한 각 분리균주를 단독 배양할 때보다 두 균주를 혼합 배양한 경우는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배~2.1배까지 증진되어 PBSA의 생분해도는 54~68%에 도달하였다.

Bacillus licheniformis amylase(BLMA)의 생산성 향상을 취한 재조합 대장균의 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Growth Medium Composition for Overproduc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Amylase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 남승헌;이우종;변태강;서진호;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1-416
    • /
    • 1994
  • 유전자 재조합 대장균에서 분지올리고당을 생산하는 Bacillus licheniformis amylase(BLMA)효소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지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LB배지로 5l 발효조에서 배양한 결과 재조합 균주인 E. coli pIJ322의 최대비생육속도(${\mu}_{max}$)는 0.81 hr, 최종균체농도는 1.39g/l, 최종효소역가는 5.11U/ml였다. 배지조성 최적화는 Box and Wilson method에 의한 flask 배양실험으로 수행하였으며, 이 방법으로 결정된 배지조성은 tryptone 18.0g/l, yeast extract 22.4g/l, NaCl 5.3g/l, 포도당 2.1g/l였다. 최적화된 배지로 발효조에서 E. coli pIJ322를 배양한 결과 최종균체농도 6.01g/l, 최종효소역가 23.2U/ml였다. 이것은 기존의 LB배지와 비교하여 최종균체농도 4.3배, 최종효소역가 4.5배 증가한 것이다. 최종효소역가의 증가는 균체농도가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Bacillus licheniformis가 생산하는 ${\alpha}-Amylase$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금속이온 및 기질의 영향 (Effect of Metal Ions and Substrate on the Thermostability of ${\alpha}-Amyl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 윤종원;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1-375
    • /
    • 1992
  • Bacillus licheniformis가 분비하는 ${\alpha}-amylase$를 정제한 후 기질과 금속이온이 효소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a^{++}$ 이온 및 $B^{+++}$ 이온의 존재시에는 D-value가 7,880 sec 및 2,210 sec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으며 $Ca^{++}$ 이온과 $B^{+++}$ 이온이 동시에 존재할 때는 $D_{85}=24,000\;sec$로 상승효과를 보였다. $Ca^{++}$ 이온 존재시 열불활성화에 대한 활성화에너지 $({\Delta}H{\neq})$는 320.2 kJ/mol이고 $B^{+++}$ 이온의 경우에는 212.9 kJ/mol이었으며 대조구에서는 183.9 kJ/mol 이었다. 기질의 존재하에서는 ${\alpha}-amylase$는 높은 열안정성을 보였는데 30% 전분의 존재하에 $96^{\circ}C$, 30분 열처리한 결과 약 51%의 잔존역가를 검출하였으며 기질에 $Ca^{++}$ 이온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열안정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