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X And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산 청과물 (자두)의 품질 영양표시에 관한 연구 (Quality and Nutrition Labeling Study of Domestic Fruit (Plum))

  • 정준교;유연;김숙경;이혜련;최종욱;이상한;안홍;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69-674
    • /
    • 2006
  • 청과물의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경북의성군 옥자두를 대상으로 품질 및 영양적 성분을 분석하고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확립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2%, 조단백 0.74%, 조지방 0.64%, 조섬유 1.65%, 조회분 0.32%, 무질소물 4.29%로 확인되었으며, 열량은 32kcal/100g 으로 계산되었다. 당도는 $10.33{\pm}0.85Brix^{\circ}$로, 산도는 $1.08{\pm}0.12%$로 나타났으며, 자두의 비타민 C 함량은 $7.037{\pm}0.317mg%$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황,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주요 유리당으로는 과당, 포도당, 자당로 나타났다. 유기산으로는 호박산, 사과산, 구연산이 확인되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 간에 현저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전과로는 $75.55{\pm}0.73mg%$의 함량을 보였다. 품질 표시에는 당과 산 함량, 영양 정보 표시에는 열량, 미네랄, 비타민 C, 총 페놀 성분이 표기된 자두의 품질 영양 표시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시설멜론의 관비재배를 위한 질소와 칼륨의 관비수준 설정 (Effects of Nitrogen and Potassium Fertigation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Musk Melon (Cucumis melo. L))

  • 이한철;박진면;서태철;최경이;노미영;조명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279
    • /
    • 2009
  • 멜론 관비재배시 질소 및 칼륨의 관비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실험결과가 다음과 같다. 엽면적과 식물체의 생체중은 질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크고 무거웠으나 칼륨의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과중은 질소와 칼륨의 농도가 높을수록 무거웠으며 과고는 질소 1/2 농도에서 15.9mm로 가장 컸다. 과실의 네트지수는 질소 1/4 농도에서 3.6으로 가장 높았으나 칼륨의 농도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상품수량은 질소 1/2농도에서 5,086kg/10a으로 가장 높았고 질소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의 당도는 질소 1/2농도 이하에서 $15.5^{\circ}Bx$ 이상이었고 과실의 균열률은 질소의 농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물재배 후 토양의 양분함량은 질소와 칼륨의 시비농도가 높을수록 각각의 함량이 많았으며 칼슘함량도 두 농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멜론의 관비재배에서 영양생장기에는 질소와 칼륨의 시비수준은 표준농도의 1/4로 하고 과실 착과 후에는 질소를 1/2농도, 그리고 칼륨은 1/4 농도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 고산도 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with High Acidity)

  • 조덕조;박은주;여수환;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04-1210
    • /
    • 2013
  • 총 산도 10% 이상의 시판 고산도 식초를 원료(사과농축액, 맥아엑기스, 액상포도당 및 현미당화농축액)와 산도(2배 및 3배)에 따라 구입하여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총산 함량은 2배 식초(12.10~13.41%)와 3배 식초(18.15~18.36%) 사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식초의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각각 $7.00{\sim}10.80^{\circ}Brix$ 및 1.32~3,885.90 mg%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산도 식초의 유리당으로 fructose 및 glucose가 주로 확인되었고, 2배 식초의 경우 3배 식초에 비해 종류와 함량 측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초의 품질지표인 acetic acid는 모든 식초에서 7,171~14,762 mg% 함량으로 분석되었고, oxalic acid의 경우 시판 고산도 식초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맥아엑기스를 사용한 2배 식초에서 총 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확인되었고,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과농축액을 원료로 한 2배 식초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도 영향을 주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산도 식초의 품질은 사용된 원료와 제조방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사과를 이용한 2배 식초는 가장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3대의 ADVIA 2120 System 평행시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arallel Test Among Three ADVIA 2120 System)

  • 장상우;조은해;김남용;추경복;이숙정;홍성노;오종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21
    • /
    • 2006
  • Parallel testing means ordering a number of tests at the same time so abnormalities in any of the tests can be found quickly and used in making the diagnosis. This is a good medical strategy to eliminate diseases and it is relatively inexpensive if all the tests are pot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and performed on the same analyzer. In regression, the equation for the straight line is recast as y = bx + a. This change in terminology leads to confusion. Here a is the y-intercept or constant and b is the coefficient or slope of the line. A few more words of caution about regression - as in all of statistics there are certain assumptions: the x value is a true measure, both X and Y distributions are normal, and homoscedasticity, i.e., the variance of y is the same for each value of x. In this study the linearity classification made by different scientists were always in agreement. Typical examples of curves that were considered linear are presented in Fig. 1-5. Because these automated procedures values were usually within five percent of each other the curvature could be easily detected. The plot of the 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and platelet concentrations from approximately 74.4 to $0{\times}10^3/{\mu}L$ and $80.4-0{\times}10^3/{\mu}L$, $5.6-0{\times}10^6/{\mu}L$ and $6.1-0{\times}1106/{\mu}L$, 18.3-0 g/dL and 19.0-0 g/dL, 54.1-0% and 56.8-0% and 642.0 to $0.03{\times}10^3{\mu}L$ and $754.0-0{\times}10^3/{\mu}L$ on the ADVIA 2120 C Versus and A and B typical of an acceptable linear study as shown in Fig. 1-5. The grand mean of R2, intercept and slope is 0.99898, 0.99459 and 1.54626.

  • PDF

국내 포도로 제조한 와인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ine made from domestic grapes)

  • 양미란;배은정;김영미;강지은;임보라;강희윤;허윤영;박영식;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49-654
    • /
    • 2020
  • 본 연구는 포도 품종별(블랙썬, 캠벨얼리, CB, 두누리, 개량머루, MW52, MW55, MBA, WB, 나르샤, 왕머루)로 와인을 제조한 후, pH, 총산, 가용성고형분, 색도, 유기산, 총 폴리페놀, 총 안토시아닌, 탄닌을 분석하여 와인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3.00-3.97 범위였으며, WB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산함량은 블랙썬, CB, 개량머루, MW52, MW55, 나르샤에서 0.6-0.8%로 와인에 적합한 함량이었으나, 왕머루의 총 산도는 1.41%로 와인을 제조하기에는 너무 높은 함량이었다. 알코올은 10.93-13.60% 범위였으며, 휘발산은 86.93-183.33% 범위로 나타났다. 가용성고형분은 7.03-9.07°Bx 범위로 개량머루와 왕머루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블랙썬, CB, 개량머루, MW52, MW55, MBA, WB, 왕머루가 90 ΔE 이상의 높은 색도를 보였지만, 캠벨얼리, 두 누리, 나르샤는 60-80 ΔE의 낮은 색도를 보였다. 유기산은 주석산과 사과산이 주로 나타났으며, 왕머루에서 주석산이(55.2%) 가장 많았으며, 개량머루에서 사과산이(59.7%) 가장 많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총 안토시아닌, 탄닌 함량은 개량머루, WB, 왕머루, CB 품종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개량머루와 CB품종이 국내 레드와인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말차 첨가 코코넛밀크 스프레드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tcha (powdered green tea) spreads containing coconut milk)

  • 김영민;한영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92-97
    • /
    • 2018
  • 말차 첨가 코코넛밀크 스프레드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스프레드 제조 시 말차 첨가량은 각각 S1(0 g), S2 (4 g), S3 (8 g), S4 (12 g), S5 (16 g)으로 하였다. 품질특성 결과 수분, L값, a값, pH의 경우 말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측정값은 감소하였다. 반면 점도, b값의 경우 말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측정값은 증가하였다.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각 군의 당도 범위는 모든 군이 $2.70-3.27^{\circ}Bx$ 사이에 속하였다. 관능검사는 색, 맛(단맛, 쓴맛), 조직감(부착성, 발림성),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8 g의 말차를 첨가한 S3 스프레드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말차 분말의 항산화 활성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6 mg GAE/g, 809.42 mg QE/g이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5.76{\mu}g/mL$ ($IC_{50}$), 2.26 O.D.으로 측정되었다. 말차 첨가 코코넛밀크 스프레드의 항산화 활성은 말차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대장균(大腸菌)의 xylRjT 변이주(變異株)의 분리(分離) 및 그 특성(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ylR/TMutants in Escherichia coli)

  • 노동현;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25-135
    • /
    • 1992
  • Xylose 오페론의 조절기구(調節機構)를 밝히고 xyl 유전자(遺傳子)를 가진 재조합유전자(再組合遺傳子)들의 수용세포(受容細胞)로 사용(使用)하기 위해 대장균(大腸菌)에 NTG를 처리(處理)하여 xylose를 이용(利用)할 수 없는 xyl 변이주(變異株)를 최종(最終) 9주(株) 선발(選拔)하였다. MC-Xyl 한천평판배지(寒天平板培地)에서 백색(白色) 콜로니로 분리(分離)된 xyl 변이주(變異株)들은 모두 LB와 DM-Glc 배지(培地)에서는 친주(親株)인 E. coli JM109와 동일(同一)하게 자랐으나, DM-Xyl 배지(培地)에서는 생육(生育)하지 못했다. 그러나 xyl 유전자(遺傳子) 전체(全體)를 가진 pBX1으로 형질변형(形質變形)시킨 결과(結果) 모두MC-Xyl 한천평판배지(寒天平板培地)에서는 적색(赤色) 콜로니를 나타내고 xylose isomerase 활성(活性)도 친주(親株)와 유사(類似)하게 되살아 났다. 이들의 부귀(復歸) 돌연변이빈도(突然變異頻度)는 $10^{-8}{\sim}10^{-11}$ 이하(以下)로 유전적(遺傳的)으로 안정(安定)되었다. 분리(分離)된 xyl 변이주(變異株)와 그들의 형질전환주(形質轉換株)에 대하여 MC-Xyl과 MC-Xylu 한천평판배지(寒天平板培地)에서 콜로니의 색(色)을 관찰(觀察)하였고 xylose isomerase와 xylulokinase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여 다시 xylT 변이주(變異株) 3주(株)(DH13, DH121, DH125) xylA 변이주(變異株) 1주(株)(DH77), xylB 변이주(變異株) 1주(株)(DH43) 그리고 xylose 존재하(存在下)에서 이들 효소(酵素)들의 생성(生成)을 조절(調節)하는 xylR 변이주(變異株) 3주(株)(DH10, DH53, DH60), 마지막으로 xylR, A 유전자부위(遺傳子部位)에 변이(變異)가 일어난 것(DH35)으로 최종선별(最終選別)하였다.

  • PDF

전주 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화합물 성분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in Jeonju Moju)

  • 권영희;조성진;김혜련;이향정;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03-508
    • /
    • 2009
  • 전주의 음식점 12곳에서 판매되는 모주를 수집하여 제조방법과 알코올 함량, pH, 산도, 고형분 함량, 환원당, 자외부흡수, 유기산 및 유리당 등의 이화학적 특성, 색도, 점도 등의 물리적 특성 그리고 휘발성 화합물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원주 막걸리 이외에 감초, 인삼, 당귀, 계피 등의 한약재와 설탕 등을 첨가하여 40분-6시간 끓여 제조한 자가 모주의 알코올 함량은 2.1%이하로 나타났고 pH는 3.85-4.38의 수준을 보였고 총산, 고형분 함량 그리고 자외부 흡수는 모주 제조 시 첨가하는 부재료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은 일반 탁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기산 중 malic acid와 lactic acid는 다른 4종의 유기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maltose>glucose>fructose의 순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전체적으로 명도값이 낮고 황색도 값이 높아 탁하고 황색을 많이 띄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 시 가열 공정을 거쳐 일반 탁주에 비하여 걸쭉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화합물 성분 분석 결과 검출된 30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 중 alcohol은 3종, ester는 12종, hydrocarbon은 7종 그리고 aldehyde는 4종이 동정되었다. Alcohol 중 isoamyl alcohol에 비하여 benzeneethanol의 면적 비율이 높았으며, 원주인 막걸리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는 ester 중 ethyl caprate, ethyl palmitate 그리고 ethyl linoleate도 높은 면적 비율을 나타내었다. 동정된 7개의 hydrocarbon 중 모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E)-cinnamaldehyde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검출된 (E)-cinnamyl acetate와 함께 자가 모주 제조 공통적으로 첨가하는 계피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최적 비율의 뽕잎과 오디 분말 첨가 기능성 녹두죽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Nokdujuk prepared with optimum mixing ratio of mulberry leaf and fruit powder by response surface method)

  • 김민주;김애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99-70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이용하여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 녹두죽을 개발하는데 있다. 뽕잎과 오디의 최적 혼합비율을 산출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로 뽕잎분말(X1)과 오디분말(X2)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pH(Y1), 당도(Y2), 점도(Y3), L(Y4), a(Y5), b(Y6), 색(Y7), 향(Y8), 맛(Y9), 전반적인 기호도(Y10), 총 폴리페놀 함량(Y11) 및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Y12)으로 설정하였다. RSM을 이용하여 산출된 뽕잎과 오디의 최적 혼합비율은 뽕잎분말 3.88 g, 오디분말 6 g이었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30.99 mg TAE/100 g이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은 650.10 g/mL으로 나타났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pH는 6.53이었으며, 당도는 $8.93^{\circ}Bx$로 나타났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색도에서 명도 값은 34.41, 적색도 값은 1.36, 황색도 값은 4.47이였고, 점성은 3584 cP로 나타났다. 뽕잎과 오디 최적 혼합비율을 첨가한 기능성죽의 관능평가에서 색은 5.20, 향은 5.85, 맛은 6.00이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6.22로 관능평가 점수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뽕잎과 오디 최적혼합비율이 첨가된 기능성 녹두죽은 산화방지 활성 뿐만 아니라 죽이 갖추어야 할 품질특성도 우수하여 바쁜 현대인의 식사대용으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본다.

커피의 추출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ffee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은종방;조미연;임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23-728
    • /
    • 2014
  •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색도,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 함량, 카페인, 페놀화합물 함량을 조사하였다. 색도의 경우 $L^*$값에서 에스프레소 머신으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낮았고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장 높았다. pH 측정 결과, 이브리크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5.54로 가장 높았으며, 워터드립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5.26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2.15%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65^{\circ}Bx$로 값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산도의 경우, 2.63%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6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역시 6.46 mg/mL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장 높았고,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와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각각 2.72, 2.60 mg/mL로 낮은 값을 보였다. 카페인 함량 측정 결과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2.65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워터드립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39 mg/m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페놀 화합물 함량에서는 chlorogenic acid 측정결과,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15 mg/m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와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각각 0.05, 0.04 mg/mL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Caffeic acid의 함량은,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75{\mu}g/{\mu}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17{\mu}g/{\mu}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Ferulic aci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19{\mu}g/{\mu}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02{\mu}g/{\mu}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