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VM ventil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백-밸브-마스크 보조장치를 이용한 환기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ventilation effects using bag-valve-mask assist device)

  • 서은영;윤병길;김가은;김용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46
    • /
    • 2022
  • Purpose: T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between conventional BVM ventilation and a newly devised A-BVM ventilation method with Tidal volume, total ventilation rate, average Ventilation speed, and average Ventilation volume. Methods: 40 Paramedical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analyzed. Values were measured using IMB PASS after 2 minutes of Brayden Pro manikin with BVM and A-BVM ventilation. The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ssessed by t-test and ANOVA and the difference in ventilation methods was analyzed by IBM SPS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ventilation methods in terms of tidal volume (t=-11.203, p<.001), ventilation time (t=-3.834, p<.001), and optimum ventilation probability (t=10.770, p<.001). A-BVM ventilation method, rather than BVM ventilation method, showed a value close to the appropriate amount recommended by Korean Advanced Life Support (500~600mL) in tidal volume, and higher in optimum ventilation probability. Conclusion: We could identify the a better mode of ventilation. Further studies on the efficacy of existing BVM ventilation methods as compared to device augmented BVM ventilation methods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that adequate ventilation is available to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RespiTrainer를 활용한 백-밸브마스크 환기에서 일회호흡량과 기도압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Tidal Volume and Airway Pressure with a Bag-valve Mask using RespiTrainer)

  • 신소연;이재국;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76-81
    • /
    • 2014
  • 이 연구는 RespiTrainer를 활용한 백밸브마스크 환기에서 1인 백밸브마스크, 2인 백밸브마스크, 전문기도삽관 별 호흡량과 기도압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기간은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관내삽관을 통한 환기 $497{\pm}78mL$, 2인 BVM 환기 $479{\pm}91mL$를 보였고, 1인 BVM 환기와 킹후두관기도기, 후두마스크 환기에서 각각 $386{\pm}59mL$, $365{\pm}05mL$, $351{\pm}35mL$를 보였다. 기도압에서도 기관내삽관을 통한 BVM 환기에서 가장 높은 기도압(11.67 cm $H_2O$)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관내삽관을 통한 BVM 환기와 2인 BVM 환기에서 1/3 백 압착법은 적절하였다.

The Effects of Training on the Proper Use of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Devices for Providing High-Quality Artificial Ventilation

  • Jae-Ran Lim;Sung-Hwan Bang;Hyo-Suk Song;Gyu-Sik Shim;Ho-Jin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65-171
    • /
    • 2024
  • 본 연구는 2급 응급구조사가 호흡부전 및 호흡정지 환자에게 백-밸브 마스크(BVM) 인공호흡 시 호흡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적정량의 호흡량과 및 성공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2023년 12월 11일부터 12일까지 D 대학교에 재학 중인 2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20명을 선정하여 10명은 호흡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BVM 인공호흡을 교육한 실험군으로, 다른 10명은 호흡량 측정기 없이 BVM 인공호흡을 교육한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2분간 인공호흡을 제공하는 실험을 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에서는 정확한 호흡량을 제공하지 못하였고(p=.025), 호흡 성공률 역시 실험군에서는 2분간 호흡 성공률이 높았으나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주관적 호흡량과 측정된 객관적 호흡량이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0). 따라서 호흡량 측정기를 사용한 교육은 2급 응급구조사가 느끼는 주관적 호흡량을 객관적 호흡량과 일치시키고 호흡 성공률을 높여 호흡부전 및 호흡정지와 심폐소생술 시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No frequency change of prehospital treatments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rs for traumatic cardiac arrest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an observational study

  • Ju Heon Lee;Hyung Il Kim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3호
    • /
    • pp.172-179
    • /
    • 2023
  • Purpose: Out-of-hospital traumatic cardiac arrest (TCA) often has a poor prognosis despite rescue efforts. Although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have increased,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has decreased in some countr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prehospital setting, immediate treatment of cardiac arrest is required without knowing the patient's COVID-19 status. Because COVID-19 is usually transmitted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airway management can put medical personnel at risk for infection. This study explored whether on-scene treatments involving CPR for TCA patients chang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used data from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run sheets in Gangwon Province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1. Patients whose initial problem was cardiac arrest and who received CPR were included. Data in 2019 were classified as pre-COVID-19 and all subsequent data (from 2020 and 2021) as post-COVID-19. Age, sex, possible cause of cardiac arrest, and treatments including airway maneuvers, oropharyngeal airway (OPA) or i-gel insertion, endotracheal intubation (ETI), bag-valve mask (BVM) ventilation, intravenous (IV) line establishment, neck collar application, and wound dressing with hemostasis were investigat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2,007 patients received CPR, of whom 596 patients had TCA and 367 had disease-origin cardiac arrest (DCA). Among the patients with TCA, 192 (32.2%) were pre-COVID-19 and 404 (67.8%) were post-COVID-19. In the TCA group, prehospital treatments did not decrease. The average frequencies were 59.7% for airway maneuvers, 47.5% for OPA, 57.4% for BVM, and 51.3% for neck collar application. The rates of ETI, i-gel insertion, and IV-line establishment increased. The treatment rate for TC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DCA. Conclusions: Prehospital treatments by EMS workers for patients with TCA did not decreas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stead, the rates of ETI, i-gel insertion, and IV-line establishment increased.

호흡응급환자의 적절한 헬스케어를 위한 마스크 유형별 환기효과 비교 (Comparison of Ventilation Effects by Mask Type for Proper Health Care of Respiratory Emergency Patients)

  • 김태현;박시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77-4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도관리의 중요한 장비 중 하나인 bag-mask ventilation (BMV)의 환기 적절성이 상업화된 마스크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처치자의 손의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해 가장 적확한 bag-mask의 종류를 제언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D 대학의 기본인명 소생술 교육센터(대한심폐소생협회 등록기관)에 응급의료종사자를 위한 기본소생술 과정 및 한국형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을 수료한 학생을 39명을 모집하여, 손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함은 물론, bag-mask를 이용한 분당 평균환기량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손의 특성에 가장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한 환기량이 제공되는 마스크 유형은 Soft type(tube, silicon)의 마스크였다. 반면 Hard type(tube, silicon)의 마스크는 처치자의 손의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아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COVID-19로 인해 구급대원과 환자들에게 감염의 위험도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했을 때 감염방지는 물론, 적절한 환기량에도 불리한 반영구 Hard type 마스크의 보편적 사용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환자 및 처치자의 감염 방지(1회 용) 용이성은 물론 적절한 환기량에서도 안정적인 환기량을 제공 가능한 Soft type 마스크의 '장점 인식'과 공급을 통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돼야 할 것이다.

심폐소생술 교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차단 효과 (Effect of a CPR Educational Face Shield on Pathogenic Bacteria Protection)

  • 김은미;심규식;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137-141
    • /
    • 2016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은 환자와 구조자간 또는 심폐소생술 교육생들 간의 교차 감염 가능성이 높으나, 감염방지 도구인 페이스 쉴드(face shield)의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에 대한 연구 자료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호흡용 페이스 쉴드의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을 비교하여 전염성 질환으로부터 심폐소생술 교육생과 병원 전 구조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쉴드는 국내 심폐소생술 교육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FA shield와 CM shield 2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실제 교육생이 입으로 불어넣은 필터에서 채취한 세균을 대상 필터에 각각 도말한 후 백밸브마스크(Bag valve mask, BVM)로 환기하여 필터의 앞면과 뒷면의 세균 검출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FA Shield는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CM Shield는 병원성 세균 여과 성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안전한 인공호흡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페이스 쉴드의 전반적 성능 평가와 페이스 쉴드의 여과 성능 기준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암부백을 이용한 저가형 자동 인공호흡기 설계 및 제작 (Design of Low-cost Automated Ventilator Using AMBU-bag)

  • 신희빈;이효경;오가영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8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의 대유행으로 인해 자동 인공 호흡기의 공급이 세계적인 긴급 수요에 비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 도움이 될 수있는 저가형 응급 인공 호흡기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AMBU-bag과 기성용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를 사용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비용을 최소화했다. 또한, 3D 프린팅은 전 세계 기업과 전문가들이 프로토타입 하드웨어를 구축하는 데 사용하는 반면, 주변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는 많은 첨단 기술에 접근하기 어려운 국가의 사람들이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한 간이 인공호흡기 모형의 특징은 암부 백을 자동화했다는 점, 3d 프린팅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 속도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하는 환자의 상황에 맞게 환기가 가능하다. 연구 시 보완할 점으로는 첫 번째, 사용한 와이퍼 모터의 구동 시작점을 고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치 피드백기능이 있는 브러시 DC모터로 교체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로 팔부분과 고정 틀이 나무 재질이라 암부 백을 장기적으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암부백이 마모될 가능성 있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암부백이 닿는 틀과 팔 부분을 실리콘과 같은 재료로 감싸 마찰을 최소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병원 응급실 내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와 직무만족도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 이옥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63
    • /
    • 2011
  • Purpose :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This research is done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establishing work realms of paramedics in hospitals and to enhance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Methods :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41 paramedic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of 32 university hospitals from August 24, 2010 to September 30, 2010 through direct visits and telephone interviews or email to expla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ssurance of confidentiality of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s. As the tool fo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developed by Slavitt, et al(1978)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oon-shim Kim and Hye-ran Kwon(2002)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valuat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Cronbach's $\alpha$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 1. Investigating the work and role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electrocardiogram(EKG) was found to be highest with $\alpha$ was widely used with the rate of patient evaluation and test area. In the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are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with 95%(134 persons) and ventilation assistance through ambu bagging(BVM) with 95%(134 persons) were found to be high. $\alpha$ were performed. In the role within the hospital and other areas, a member of CPR team in the hospital accounted for 78%(110 persons). 2. In the measurements of the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the total mean score was 2.91. The mean score in each question area indicated: section on job 3.48, autonomy 3.05, interaction 3.01, organizational demand 2.85, working conditions 2.67, salaries 2.40. This result obviously demonstrates the work of paramedics itself was most satisfied but the salaries were most dissatisfied. 3. In the measurements of the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6.547, p=.002), gender (F=4.436, p=.000) marital status (F=-3.270, p= .001), religion (F=2.041, p= .043), motive for application (F=3.603, p= .015), and salary (F=6.658, p= .000). 대학병원 응급실 내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와 직무만족도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5 (1) 63 4. In the measurements of the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work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number of paramedics (F=3.779, p= .012), form of employment (F=5.601, p= .001),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intention to change jobs (F=-4.037, p= .000). Conclusion : The work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consists of lots of treatment processes after specialized diagnosis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ly subdivided works. However, current legislation does not reflect such circumstances to which paramedics are exposed;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revision and modificati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was high but low in salaries and working conditions were the weak points. The measures to enhance their degree of job satisfaction should be taken though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such as consideration of the rate of increase in salaries, compensation for overtime work, providing rest areas, improvement of current employment system, and conversion of temporary employees into regular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