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TO-LAND RATIO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5초

시가화지역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에 따른 온도변화 연구 (Analysis of Temperature Profiles by Land Use and Green Structure on Built-up Area)

  • 홍석환;이경재;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5-384
    • /
    • 2005
  • 본 연구는 시가화지역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에 따른 온도변화를 파악하고자 강남구 내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44개소 조사지를 블록단위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온도값은 1999${\~}$2002년까지의 Landsat TM 및 ETM+ 영상 6scene을 적용하였다. 도시온도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 토지 이용유형은 그 자체로 도시온도변화의 중요 인자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토양피복유형은 상관관계 분석결과 상관계수가 건폐율이 0.368(2001년 6월)${\~}$0.709(1999년 5월)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녹지율은 -0.551(2001년 6월)${\~}$-0.860(1999년 6월)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녹지용적(녹지용적계수${\times}$100), 녹피율과 온도값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녹피율과의 상관계수는 -0.549(2001년 6월)${\~}$-0.817(1999년 6월)의 범위이었으며 녹지용적은 -0.517(2001년 6월)${\~}$-0.882(1999년 6월)로 녹피율과 녹지용적 모두 각 온도값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시화지역 온도변화 예측모형 구축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녹지용적이 설명 변수로 채택되었다.

소규모 노인공공가정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Design of Aged Small Scale Institutional Household)

  • 두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7-205
    • /
    • 2003
  • This study is to design aged institutional household on a small scal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management of small scale institutional household and policy establishment that could help the aged well-being. Design of research is accomplished after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The propositions of design are 3s follows; region:seoul suburbs(2 hours' distance) building:fourth stories(The building-to-land ratio 25%, capacious ratio 100%, in environmental affinity.) object:75 years and over aged 15 women cost:deposit and living month expenses contract between the manager and the desired occupant or concerned family term of validity:As long as occupant want.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건축 지역의 지표 온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고덕동과 둔촌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Land Surface Temperature Changes in Redevelopment Are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 Focusing on Godeok-dong and Dunchon-dong in Gangdong-gu, Seoul)

  • 한지훈;손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2-54
    • /
    • 2023
  • 우리나라 대도시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고 이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저밀도 주거지가 재개발·재건축을 통하여 고밀도 주거지화 되고 있다. 그러나 단시간에 이루어진 대규모의 재건축은 도시녹지 면적 감소에 의한 열섬현상을 발생시키는 등 도시 기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둔촌동 재건축 지역의 2013년에서 2022년까지의 지표 온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덕동 지역에서는 재건축이 진행되는 대상지와 산림지역, 산림과 시가지가 혼재된 지역, 저층주거지역에 대한 지표 온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둔촌동 지역에서는 대상지와 산림지역, 저층주거지역에 대한 지표 온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지표 온도 차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고덕동 지역과 둔촌동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재건축 전단계까지 전반적으로 지표 온도가 산림보다 높고 저층주거지역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은 고덕동, 둔촌동의 저층주거지역이 대상지보다 녹지율이 낮고 건폐율이 높기 때문에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저밀도 지역이 고밀도화가 되더라도 녹지와 건폐율을 적절하게 관리한다면 도시열섬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건축에 따른 건축밀도 및 주거환경의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Architecture Dens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Reconstruction)

  • 김홍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5-42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building dens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decrepit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during the 1970s-80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hange in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the reconstruction, floor plans that were limited to two to four types and to small apartments measuring $42.9m^2$(13py)-$56.1m^2$ (17py) became varied, presenting 5-6 types of floor plans and various sizes of apartments. In particular, the reconstructed apartments were mainly built in a size smaller than 85($m^2$) and in the 3LDK floor plan and staircase-style unit architectural structure in order to reflect the lifestyle of residents. Second, in terms of change in building density after the reconstruction, the building coverage ratio did not change a lot, but the floor area ratio showed great change depending on the complex, ranging from a minimum of 2.9 times (Singdong Complex) to a maximum of 5.4 times (Eoyangdong Complex). Such change is attributable to the reconstruction policy that aim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original residents, secure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cy, and reflect the lifestyle of residents while incorporating dividends assigned to the existing housing project members as well as the maximum floor area ratio allowed by the regulation. Additionally, in terms of change in the number of floors and building density after the reconstruction, the former 5-story apartments were changed to apartments with 16-28 stories. Accordingly, the number of households in each complex has also increased by 20%. Thi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king facilities in terms of the size and density of parking spaces, former apartment complexes had only aboveground parking lots, not underground parking area. The newly constructed apartment complexes have underground parking space, and the parking-housing ratio is 1.1-1.3 cars.

메디컬빌딩의 건축계획특성 연구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Medical Buildings - Focused on Cheong-ju Area)

  • 백상열;김기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69-77
    • /
    • 2015
  • Purpose: Under a trend of hospitals that repeated expansion in line with fast increasing factors of medical demands in the past, medical buildings where clinic businesses have regularly gathered in one building have exponentially increased sinc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in 2000. Thu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 of the current medical buildings, identifying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suggesting an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 of medical buildings to be planned in the future. Methods: Scope of study has been limited to 23 medical buildings that are registered in the building register as medical buildings out of the Class 1 neighborhood facilities build as 5 floors or more in Cheongju region since 2000 and being actually used for the usage. Study method is to define concepts of the medical building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dvanced researches, analyz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 through drawing analysis and site survey.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s for the medical buildings in Cheongju have been analyzed. There are the most frequencies in general commercial area and semi-residential area, most of them a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Class 1 neighborhood facilities. Average land area is $482.68m^2$, gross floor area $3720.8m^2$, the number of underground floors level 1.16, the number of floors level 7.76, total number of floors 8.92, the building-to-land ratio 67.28%, floor area ratio 452.6%, height 31.44m, and the number of parked vehicles 24.16. Implication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the quality of Medical Buildings in Cheongju.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성남시 토지이용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Land Use Demand in Seongnam-city Using System Dynamics)

  • 이미숙;신동빈;김창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1-273
    • /
    • 2022
  •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성남시의 토지이용수요를 예측하고 가족구조 변화와 토지이용밀도 조정정책이 토지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분석모형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지이용수요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2035년 기준으로 주거용지는 2.08km2, 상업용지는 1.36km2의 추가 공급이 필요하고, 공업용지는 현재 공급면적으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본 모형에서 변수값을 변경하여 세가지 정책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정책실험에서는 가구원수가 기본 모형에 비해 급격히 감소할 경우에는 주거용지가 최대 7.99km2 추가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정책실험에서는 아파트 용적율이 200%에서 300%로 상향하면 현재의 성남시 주거지역 공급면적으로 주거용지 수요 충족이 가능하였다. 세 번째 정책실험에서는 상업지역 평균층수를 4층에서 5층 상향하고 상업지역 건폐율을 80%에서 85%로 상향하더라도 상업용지의 수요가 성남시 상업지역 공급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토지이용수요 예측의 새로운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성남시의 실제 도시계획 현황 및 통계치를 적용하여 모형을 실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성남시 토지이용수요 예측 및 분석 모형의 정교화를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시공원 및 주변환경의 특성이 도시공간의 온도저감에 미치는 영향 (Heat Mitigation Effects of Urban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 서정은;오규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14
    • /
    • 2020
  • In order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green areas in cities that include park construction, planting, and green roofing. Among these efforts, urban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but also in terms of ecosystem services (serving as resting places for citizens, providing cleaner air quality, reducing noise, et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n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urban parks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therm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urban surface temperature reduction performance of urban parks. To do this, first, land surface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using Landsat 8 images. Second, the PCI (Park Cool Island) index was calculated to identify the temperature reduction performance of urban park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area, shape, vegetation) and the surrounding spatial characteristics (land cover, building-related variables, etc.) were identifie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CI indices (PCI scale, PCI effect, PCI inten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s and their surrounding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ks consisting of a larger area, simple shape, and higher tree coverage ratio had increased PCI performance, and were advantageous for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Meanwhile, PCI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decreased in areas with a higher impermeable area ratio and building coverage ratio.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priority areas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and can also be utilized as plann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담수환경하에 노출된 일반 벤토나이트 매트재의 팽윤성능 평가 (A Study on the Swelling Property of Bentonite Mat under Salt Water Condition)

  • 양승도;김영삼;유재강;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81-84
    • /
    • 2002
  • Recently Bentonite mat is applied various structure : External waterproofing for underground structure, A reclaimed land, Artificial lake, Large-scaled civil structure, etc. With these various structure environment, water quality for application of Bentonite Mat affects watertightness. Specially spot with a large quantity of Chloride ion like salt water, degree of watertightness revelation is evaluated and applied. In this study, it is a main goal to investigate watertightness of Bentonite Mat with distilled water and salt water dissolved chloride ion Contents 0.88%.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 Water permeability coefficient of Bentonite Mat : distilled water(1.21$\times$10$^{-9}$cm/sec), salt water(3.12$\times$10$^{-7}$cm/sec). 2) Variation of thickness : distilled water(187%), salt water(108%). 3) Swelling ratio : distilled water(1500%), salt water(350%).

  • PDF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한계세장비 근사식 활용을 위한 건물규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Buildings for Utilizing the Limit Slenderness Ratio Approximation Equation of Outrigger Structural System)

  • 양재광;최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9-26
    • /
    • 2019
  • 최근 도시화로 인구집중이 지속되고, 도시 과밀화로 인한 대지 부족 현상, 지가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그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 초고층건축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정된 대지에 건물을 짓기 위해선 건물의 합리적인 규모 설정이 중요하다. 계획단계에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건물의 규모를 파악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한계세장비 근사식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건물에 횡변위 제어를 위해 제안된 여러 시스템 중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에 대해서, 한계세장비 근사식을 기본으로, 해석프로그램의 결과값과 근사식을 비교 검토하고, 근사식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해석프로그램으로는 MAIDAS 건축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델별 해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계세장비 근사식으로 계산한 근사값과 구조해석 프로그램 해석 결과값과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물의 적정규모는 다음과 같다. 아웃리거 설치 개수가 많을수록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코어의 비율은 20%~30%가 합리적이며, 기둥의 배치는 내부기둥 없이 외부기둥으로만 되어있는 형태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 최저고도지구 실태 및 기준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Adjustment of the Minmi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동현;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60
    • /
    • 2008
  • 본 연구는 부산시의 최저고도지구의 적정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심부의 최저고도지구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도심부의 최저고도지구는 4층(12m)이상 건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4층 이하 건축물이 51%를 차지하였고, 평균층수도 4층이었다. 도심부의 건축물은 토지이용의 고도화와 가로경관을 위해 정책적으로 관리되고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전면도로폭원(35m)과 이면도로폭원(8m)의 평균을 최저도고도지구의 최저기준높이로 설정하고, 도심부에 대해서는 토지의 고도이용을 위해 최저고도지구 기준을 7층(21m) 이상 상향시킬 필요가 있다는 제안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