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16F10 Melanoma cell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9초

증폭시킨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ginsenoside Rh2, compound K의 융복합적 항암 및 항염효과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nvergence of ginsenoside Rh2, compound K isolated from amplified red ginseng)

  • 김영호;김종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285-29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증폭시킨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ginsenoside Rh2(Rh2)와 compound K(CK)의 융복합적 항염증 및 항암효과를 연구하여 홍삼 내 유용한 기능성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Hep3B에서의 세포독성과 IL-6 유도 STAT3 루시퍼라아제 활성, B16F10과 Hacat 세포의 생존 농도를 측정하였고 Apoptosis와 관련된 분자의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FAC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Rh2, CK mixture가 10 ug/ml일 때 Hep3B 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고 IL-6 감소율이 102%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h2, CK mixture 50 uM에서 melanoma 세포인 B16F10과 human keratinocyte인 Hacat에서 독성을 보여 사멸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FACS 분석 결과 annexin V가 발현되지 않고 흑색종 세포와 keratinocyte가 탈착되면서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통하여 사멸되는 메카니즘이 anoikis 방식의 세포사멸로 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것에 대한 명확한 세포사 신호 체계 규명을 위하여 향후 세포부착 단백질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청음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 (In Vitro Cytotoxicity,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In Vivo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Oncheongeum)

  • 안뜰에봄;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34
    • /
    • 2016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피부질환과 대사질환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온청음 물 추출 동결건조물(수율=13.82%)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다.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온청음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1와 비교한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비교한 elastase 활성 억제, oleanolic acid(OA)와 비교한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활성 억제를 통해 각각 평가하였고, 미백효과를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tyrosinase 활성 억제를 통해 arbutin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OCE의 농도별로 군을 나누어 농도에 따른 효과의 변화를 함께 분석하였다. 보습효과는 흰쥐의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통해 평가하였다.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온청음은 human normal fibroblast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 대해 의미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고, 세포외 기질의 파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melanin 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반응의 효과들은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흰쥐의 피부 수분 함량이 세 용량의 온청음 경구 투여군 모두에서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온청음은 세포 독성 없이 비교적 우수한 피부 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차후 피부 노화 억제 개선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 소재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uppressive Effects of Young Radish Cultivated with Sulfur on Growth and Metastasis of B16-F10 Melanoma Cells

  • Kim Soo-Jin;Kim Byung-Sam;Kyung Tae-Wook;Lee Sang-Chul;Rho Chi-Woong;Choi Kyung-Rak;Hwang Hae-Jun;Choi Hye-Se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235-240
    • /
    • 2006
  • The oral administration of extracts of young radishes cultivated with sulfur after intravenous tumor cell injection achieved a marked reduction of pulmonary colonization in mice. Treatment of the mice with extracts of young radish cultivated with sulfur did not show any increase in the number of CD8+ or NK T cells in the spleen, indicating no influence on host immunity. Sulforaphane, which could be a candidate for an active compound from young radishes cultivated with sulfur, inhibited cell growth of B16-F10 melanoma cells. In addition, extracts of the young radish cultivated with sulfur-fed group showed enhanced quinine reductase (QR) activities in the liver and lung and a slight increase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in the liv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extracts of young radishes cultivated with sulfur suppressed pulmonary tumorigenesis, possibly due to increased activity of detoxification enzymes in the liver and lung, and partly due to cell cytotoxicity.

화기조경탕(化氣調經湯)이 피부 세포 재생 및 악성 흑색종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wagi-Jogyeong-Tang (HJT) on Human HaCaT keratinocyte and malignant melanoma cells)

  • 고홍개;박수연;김종한;최정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28
    • /
    • 2007
  • Objective : Hwagi-Jokyeong-Tang (化氣調經湯, HJT) was described in DongeuiBogam(東醫寶鑑). This remedy has been used to treat patients with Naryeok, which is similar as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n western medicine. Methods : In this study, the present autho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JT on on Human HaCaT keratinocyte and malignant melanoma cells such as SK-MEL-2 and B16F10 in terms of cell viabilities, proliferation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xygen free radical productions and inhibitory action on elastase activities. Results : HJT acceleated proliferation of HaCaT keratinocytes dose-dependantly. HJT also prevented cell death of HaCaT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products oxygen free radicals. On the contrary, HJT did not affect proliferations of SK-MEL-2 or B16F10. In addition, HJT was shown to hav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lso have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ctivities too. On the fluorescent examinations, the present author know that HJT did not affect production levels of oxygen free radicals in malignant melanoma cell, SK-MEL-2.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JT has possibilities of usage for functional cosmetics which have skin regeneration or prevention from skin tissue injury.

  • PDF

Different Immunology Mechanisms of Phellinus igniarius in Inhibiting Growth of Liver Cancer and Melanoma Cells

  • Zhou, Cui;Jiang, Song-Song;Wang, Cui-Yan;Li, Rong;Che, Hui-L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659-3665
    • /
    • 2014
  • To assess inhibition mechanisms of a Phellinus igniarius (PI) extract on cancer, C57BL/6 mice were orally treated with PI extractive after or before implanting H22 (hepatocellular carcinoma ) or B16 (melanoma) cells. Mice were orally gavaged with different doses of PI for 36 days 24h after introduction of H22 or B16 cells. Mice in another group were orally treated as above daily for 42 days and implanted with H22 cells on day 7. Then the T lymphocyte, antibody, cytokine, LAK, NK cell activity in spleen, tumor cell apoptosis status and tumor inhibition in related organs,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iNOS and PCNA in tumor tissue were examined. The PI extract could improve animal immunity as well as inhibit cancer cell growth and metastasis with a dose-response relationship. Notably, PI's regulation with the two kinds of tumor appeared to occur in different ways, since the antibody profile and tumor metastasis demonstrated variation between animals implant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melanoma cells.

커피 부산물의 항산화와 항균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ffee Residue Extracts)

  • 이병은;양재찬;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06-613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부산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커피부산물을 유기용매인 n-hexane을 이용하여 $60({\pm}10)^{\circ}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며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 line과 RAW264.7 macrophage cell line에서의 커피박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water solubletetrazolium salt-1 assay로 평가하였다. 또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해 DPPH법을 사용하여 항산화를 평가하였으며, 항균력 검색을 위해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B16F10 murine melanoma cells에서 커피부산물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0.125{\sim}2{\mu}{\ell}/m{\ell}$ 농도에서, RAW 264.7 macrophage cells에서는 0.125부터 $0.5{\mu}{\ell}/m{\ell}$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항산화 실험 결과 커피박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커피박 추출물의 항균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Paper disc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Straphylococcus epidermidis, Str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에서 각각 $11.3{\pm}0.4$, $12.{\pm}0.7$, $12.0{\pm}0.0$, $0.0{\pm}0.0mm$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커피박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황기 물추출물이 B16F10 Mouse Melanoma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Astragalus membranaceous BUNGE on Melanin Formation in B16 Mouse Melanoma Cell Line)

  • 김영옥;이은미;안덕균;신준식;이성환
    • 대한한방피부미용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the Astragalus membranaceous(AM). AM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tyrosinase activity using L-tyrosine as a substrate. Tyrosina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elanin polymer biosynthesis. In vitro AM extract(1mg/ml)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and are useful for the material used in cosmetics. B16 mouse melanoma cells were cultur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non-cytotoxicity of the plant extracts was confirmed by MTT assay.

  • PDF

한약재 12종의 열수추출물이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에 의해 유도된 B16F10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Twelve Herbs o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 이수진;최영현;이용태;최병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271-1274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twelve medical herbs o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alpha}$-MSH and aqueous extracts 5 days and 2 days and then analysed melanin amount and tyrosinase activities, respectively. Nine aqueous extract of herbs examined at 1 mg/m${\ell}$ level decrease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 especially in Agastache rugosa, Leonurus siviricus and Murus bombycis. The significant decrease of released extracellular melanin were also observed in treated cells with aqueous extract from Leonurus siviricus, Murus bombycis and Ledebouriella seseioides. The ${\alpha}$-MSH-induced activation of tyrosinase was inhibited in cells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from Cuscutae semen, Angelica tenuissima and Agastache rugosa.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s inhibiting melanogenesis through tyrosinase activity may apply to develop whitening drugs and cosmetics.

섬쑥부쟁이(Aster glehni Fr. Schm.) 분획물의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The Effect of Aster glehni Fr. Schm. Extracts on Whitening and Anti-Wrinkle)

  • 김한혁;박근혜;박강수;이진영;김태훈;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34-1040
    • /
    • 2010
  • 천연의 식물과 추출물은 비용의 효율성과 풍부한 자원을 이점으로 식품, 약, 의약 분야와 마찬가지로 화장품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섬쑥부쟁이는 항산화 활성을 제외하고는 그 효능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특산 식물인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조사한바, 효소적 in vitro 검색법을 측정하여 이들 중 가장 우수한 EtOAc 추출물을 대상으로 이러한 저해능이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과도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melanoma cell line 내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TRP-1의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섬쑥부쟁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ug/ml을 처리한 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을 30.5%를 억제하였고, TRP-1은 41.5% 억제하였다. 한편, 섬쑥부쟁이 분획물의 생육 저해환 측정에서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pionibacterium acnes,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헥산 분획물 2 mg/disc에서 각각 21.0 mm, 12.0 mm, 14.0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어 섬쑥부쟁이 헥산 분획물만이 유일하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났다. 이들 실험 결과를 미루어보아, 섬쑥부쟁이의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되나, 그 활성 성분에 대한 명확한 규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를 제시하는 바이다.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