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Grain

검색결과 1,142건 처리시간 0.031초

방사형집수정의 수평집수관에서 지질특성과 취수량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Withdrawals in the Laterals of Radial Collector Well)

  • 김태형;정재훈;김민;오세형;이재성
    • 지질공학
    • /
    • 제24권2호
    • /
    • pp.201-2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강변여과수 개발사업(2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이용하여 대수층의 수리전도도와 방사형집수정의 수평집수관에서 산출되는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인 낙동강 중하류 모래자갈층에서 수평적으로 채취한 미고결 퇴적물의 시료를 이용하여 경험식에 의한 수리전도도를 산정하였다. 여러 경험식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에서 수리전도도를 산정한 결과, Beyer식에 의한 수리전도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산정된 수리전도도는 0.083 ~ 0.264 cm/s의 범위, 평균 0.159 cm/s로 나타내고 있어 연구지역의 대수층 특성은 모래자갈층에 투수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정된 수리전도도와 실측자료에 의한 스크린 내 지하수의 유입속도 및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수리전도도와 지하수의 유입속도 및 유량은 약 72 %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변수들 간에 실측자료와의 검증에서도 약 72 %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선형 회귀식은 높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수리전도도에 의한 방사형집수정의 수평집수관에서 산출되는 유량의 추정이 가능하고, 연구지역과 유사한 대수층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Perilla속(屬) 식물(植物)이 형태적, 세포유전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분석 (Analysis of Morphological, Biochemical, Cytogenetical Characteristics in Perilla spp.)

  • 최홍집;권일찬;김재현;김달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71-79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들깨 국내 육성종을 포함한 수집종(蒐集種)중 20종(種)을 공시하여 이들 간의 형태적(形態的)인 주요(主要) 특성(特性), 생화학적(生化學的)인 특성(特性)과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유전적(遺傳的) 다양성(多樣性)을 밝혀 들깨의 분류(分類)와 품종육성(品種有成)에 있어서의 중요(重要)한 기초자료(基礎資科)를 얻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들깨 수집종의 형태적(形態的), 생화학적(生化學的),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해 본 바,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으로 종피색은 약간의 농도차이는 있었으나 회갈색(灰褐色), 갈색(褐色), 암갈색(暗褐色)(흑색)등 3군(群)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우립중(于粒重)은 3.5g 이하인 것이 11종(種)으로 가장 많았고 4.5g 이하인 것이 4종(種) 4.5g 이상인 것이 5종(種)이었다. 또한 줄기색은 적색(赤色)과 녹색(綠色)으로 분류되었는데 적색(赤色)은 안동재래를 포함 5종(種)이었고 나머지는 녹색(綠色)이었다. 생화학적(生化學的)인 특성(特性)으로 각 수집종(蒐集種)을 대상으로 지방산(脂肪酸) 조성을 조사(調査)해 본 바, 불포화도가 가장 높은 linolenic acid는 53%(영양재래)에서 65%(의성재래)에 이르기 까지 다양(多樣)하였으며, 59-61% 범위에 속하는 종(種)이 12종(種)으로 가장 많았다.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조사한 4개의 수집종(蒐集種)(안동재래, 엽실, 영광재래, 대영) 모두가 2n=38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Tween 80 on In Vitro Fermentation of Silages and Interactive Effects of Tween 80, Monensin and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on Growth Performance by Feedlot Cattle

  • Wang, Y.;McAllister, T.A.;Baah, J.;Wilde, R.;Beauchemin, K.A.;Rode, L.M.;Shelford, J.A.;Kamande, G.M.;Cheng, K.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968-978
    • /
    • 2003
  • The effects of monensin, Tween 80 and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animal performance were studied in vitro and in vivo. In Expt 1, the effects of the surfactant Tween 80 (0.2% wt/wt, DM basis) on ruminal fermentation of alfalfa, corn and orchardgrass silages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gas production techniques. Tween 80 did not affect (p>0.05) cumulative gas production at 24 h, but it reduced (p<0.05) the lag in fermentation of all three silages. With corn silage and orchardgrass silage, gas production rates and concentration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were increased (p<0.05) by Tween 80; with alfalfa silage, they were reduced (p<0.05). Tween 80 increased (p<0.05) the proportion of propionate in total VFA, and reduced (p<0.05) acetate to propionate ratios (A:P) with all three silages. In Expt 2,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E; at 0, 37.5 or 75 g/tonne DM), monensin (M; at 0 or 25 ppm and Tween 80 (T; at 0 or 2 L/tonne DM) were add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backgrounding and finishing diets fed to 320 crossbred steers in a feeding trial with a $3{\times}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The backgrounding and finishing diets contained barley grain and barley silage in ratios of 57.8:42.2 and 93.5:6.5 (DM basis), respectively. Added alone, none of the additives affected DM intake (p>0.1) in the backgrounding or in the finishing period, but interactive $M{\times}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finishing period (p=0.02) and overall (p=0.04). In the finishing period, T without M tended to reduce DM intake (p=0.11), but T with M increased (p=0.05) DM intake. Monensin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ADG) during backgrounding (p=0.07) and finishing (p=0.01), and this ionophore also improved overall feed efficiency (p=0.02). Warm carcass weight was increased (p<0.001) by M, but dressing percentage was reduced (p=0.07). In the backgrounding period, T increased ADG by 7% (p=0.06). Enzymes increased (p=0.07) ADG by 5 and 6% (low and high application rates, respectively) during backgrounding, but did not affect (p>0.10) ADG during finishing, or overall feed efficiency. Whereas T enhanced the positive effects of M on ADG during backgrounding (p=0.04) and overall (p=0.05), it had no impact (p>0.1) on the effects of E. Interactions between M and T suggest that the surfactant may have potential for enhancing the positive effects of monensin on beef production, but this requires further research.

전압-주파수-구역을 고려한 에너지 최적화 네트워크-온-칩 설계 방법론 (Voltage-Frequency-Island Aware Energy Optimization Methodology for Network-on-Chip Design)

  • 김우중;권순태;신동군;한태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8호
    • /
    • pp.22-30
    • /
    • 2009
  • 네트워크 온 칩 (Network-on-Chip, NoC) 기술은 기존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 설계에서 IP 블록 수 증가와 이에 수반된 상호 연결 네트워크 복잡화 및 데이터 대역폭 제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설계 패러다임이다. 더불어 동작 주파수 증가에 따른 급격한 전력 소모 클럭 신호의 분배와 동기화 문제 역시 중요한 이슈이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광역적으로는 비동기, 국부적으로는 동기식 (Globally Asynchronous Locally Synchronous, GALS) 인 시스템 설계 방법론이 저전력 기술과 결합되어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모듈적인 설계를 위해서 고려되어 왔다 GALS 방식의 설계 스타일은 정밀한 시스템 수준 전력 관리를 적용하기 위해 최근 소개되고 있는 전압 주파수 구역 (Voltage-Frequency-Island, VFI) 의 개념과 매우 잘 어울린다. 본 논문에서는 VFI를 적용한 NoC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압선택을 통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최적의 코어(또는 처리 소자) 전압과 VFI를 찾기 위해 통신량을 고려한 코어 그래프 분할, 통신-경쟁 시간을 고려한 타일 매핑, 전력 변화량을 고려한 코어의 동적 전압 조절 그리고 효율적인 VFI 병합 및 VFI 동적 전압 재 조절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설계 방법론은 기존 연구결과 대비 평균적으로 10.3%의 에너지 효율 향상이 있다는 것을 실험 결과를 통해 보여준다.

이배체와 삼배체를 교배하여 얻은 이수체의 생장과 과일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Aneuploid Apple Obtained from Crosses between Diploid and Triploid)

  • 장춘화;박성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91
    • /
    • 2009
  • 본 연구는 이전에 이배체와 삼배체를 교배하여 얻은 이수체 사과 나무의 생장과 과실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수체 사과나무의 화분발아율, 영양생장, 과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수체 사과 나무 간의 화분발아율의 차이가 크고, 모든 이수체 사과 나무의 화분 발아율이 이배체 '홍로' (82.4%)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체 사과 나무 과실의 평균 크기와 중량은 이배체 '홍로'보다 작고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수체 사과 나무 과실의 길이와 너비에 의해 이수체 JF3942빼고 다른 이수체 과실의 외형이 조금 납작했다. 거의 모든 이수체 사과 나무 과일의 당 함량은 이배체 '홍로' 보다 높았다. 본 실험에서 얻은 이수체 사과의 산 함량은 이전에 대부분의 연구자의 이배체 사과 결과와 완전히 달랐다. 이수체 사과의 시트르산하고 타르타르산 함량은 사과산 함량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체 사과 나무의 수고와 폭은 이배체 '홍로'보다 짧았다. 대부분 이수체 사과 나무의 수고는 폭보다 길지만 네 나무는 반대로 나타났다. 잎의 길이와 너비에 의해 이수체 사과 나무 잎의 크기가 이배체 '홍로'보다 작았다. 이수체 사과 나무는 이배체보다 잘 자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at Paddy Field of Honam Region)

  • 김원호;서성;임영철;신재순;성병렬;지희정;이상진;박태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1-166
    • /
    • 2007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 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kg/ha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 kg/ha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에서 각각 12,730 kg/ha, 12,320 kg/ha 그리고 12,300 kg/ha으로 많았고 올보리에서 6,660 kg/ha으로 적었다. 쌀보리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30.3%, 60.8% 그리고 65.1%였고 겉보리 품종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각각 33.6%, 61.1% 그리고 62.4%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사일리지용 보리의 품종중 종실수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탑골보리로 6,370 kg/ha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에 의한 사일리지용 총체보리의 우량 품종은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Pb0.4Ca0.6)[(Fe1/2Nb1/2)1-x(Mg1/3Nb2/3)x]O3 Ceramics

  • Kim, Eung-Soo;Han, Ki-Moon;Kim, Jong-Hee;Yoon, Ki-Hy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3-327
    • /
    • 2003
  •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P $b_{0.4}$C $a_{0.6}$)[($Fe_{\frac{1}{2}}$N $b_{\frac{1}{2}}$)$_{1-x}$ (M $g_{1}$ 3/N $b_{2}$ 3/)x] $O_3$ (PCFMN) ceramic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M $g_{1}$ 3/N $b_{2}$ 3/)$^{4+}$ content (0.1$\leq$x$\leq$0.8). A single perovskite phase with the cubic structure was obtained through the given composition range. The unit cell volume was increased with (M $g_{1}$ 3/N $b_{2}$ 3/)$^{4+}$, due to the larger average ionic size of (M $g_{1}$ 3/N $b_{2}$ 3/)$^{4+}$ than that of ($Fe_{\frac{1}{2}}$N $b_{\frac{1}{2}}$)$^{4+}$ for B-site ion. Dielectric constant (K) and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TCF) of PCFMN ceramics were dependent on (M $g_{1}$ 3/N $b_{2}$ 3/)$^{4+}$ content due to the decrease of ionic polarizability and B-site bond valence, respectively. Qf value was decreased with (M $g_{1}$ 3/N $b_{2}$ 3/)$^{4+}$ content due to the decrease of grain size. Typically, K of 73.56, Qf of 5,074 GHz and TCF of -6.45 ppm/$^{\circ}C$ were obtained for the specimens with x=0.4 sintered at 125$0^{\circ}C$ for 3 h.125$0^{\circ}C$ for 3 h.

화력발전소 석탄회의 희유금속화학, 미세구조, 광물학적 특성 (Rare Metal Chemistry, Microstructures, and Mineralogy of Coal Ash from Thermal Power Plants of Korea)

  • 정기영;김석휘;김강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7-163
    • /
    • 2015
  • 석탄화력발전 부산물인 석탄회의 희유 금속 재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로서 9개 발전소의 석탄회를 대상으로 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석탄회의 희유원소 화학조성은 전반적으로 셰일의 평균 조성과 부합하며, 국외 석탄회와 차이도 거의 없다. 그러나 국산 무연탄 비산재와 수입 유연탄 비산재는 무기원소 조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무연탄 비산재의 미연 탄소 함유량이 매우 높다. 바닥재와 비교하여 친황원소들이 비산재에 부화되는 경향이 있다. 규산염 유리가 주요 고상이며, 석영, 일라이트(백운모), 멀라이트, 자철석, 생석회, 경석고가 광물로 함유되어 있다. 규산염 유리는 Al과 Si가 주성분이고, Ca, Fe, K, Mg가 다양한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규산염 유리는 다공성 구형 또는 비정형 부석질 입자들이며, 흔히 잔존 광물이나 산화철구, 또는 다른 유리입자들과 융접되어 있다. 산화철구 입자는 급속 성장한 산화철 미세 입자와 유리 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석탄회로부터 유가 금속 재활용을 위해서는 이상의 화학조성, 미세조직, 광물학적 특성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저온변환에 따른 적철석의 자화안정도 (Magnetic Stability of Hematite on Low-temperature Magnetic Phase Transition)

  • 장수진;유용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5
    • /
    • 2013
  • 지난 10여 년간 미항공우주국 주도로 진행된 화성탐사 연구는 화성 암권의 주요 자성광물임을 적철석으로 판명하였다. 금번 연구에서는 적철석의 열잔류자화와 저온 실온포화잔류자를 이용하여 화성 암권에 존재하는 적철석의 자화안정도 검증을 시도하였다. 적철석의 실온포화잔류자화는 모린변환온도인 260 K를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한다. 10 K까지 냉각시킨 적철석 시료를 가열하면 260~265 K에서 자화회복이 발생하며, 잔류자화기억도는 37%이다. 실제 화성지표의 일교차는 모린변환온도를 포함하므로, 화성 지표에서 적철석을 함유하는 암체의 자화는 모린변환에 의한 자화안정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지표용암의 고결과 동시에 생성되는 열잔류자화의 강도는 50 ${\mu}m$ 이하 크기에서 적철석 입자반경에 비례하며 증가한다. 화성의 온도구배가 관측된 적은 없지만, 지구의 온도구배를 기준으로 유추하면 대략 1.5 km 이하의 화성 암권은 모린변환온도와 무관하게 적철석의 자화보유가 상시 가능하다. 따라서 행성의 진화가 멈춰진 대략 40억 년 이전에 존재하던 내부기원의 화성자기장 기록이 화성의 암권에 현재까지 보전되어 화성 암권의 자기이상을 유지해온 것으로 해석된다.

입형이 다른 벼 품종의 도정특성 및 쌀품위 (Milling Characteristics and Milled Rice Quality of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Grain Size Shape)

  • 홍하철;정영평;김태영;손종록;황홍구;최해춘;민용규;김기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46-49
    • /
    • 2003
  • 벼의 품종 및 입형별 최적도정조건을 구명하여 손실량을 최소화하고 고품질 양질쌀을 가공하기 위하여 2000년산 다산벼, 안산벼, 화성벼, 일품벼 및 동안벼의 원료품위, 제품품위, 도정특성, 도정시 소요전력 등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벼의 수분을 15%까지 건조한 후의 천립중은 다산벼가 가장 높은 28.55 g 이었고, 안산벼는 22.92 g으로 가장 낮았다. 벼의 장폭비는 다산벼, 안산벼, 동안벼, 화성벼 및 일품벼가 각각 3.03, 2.36, 2.23, 2.12 및 2.10이었다. 현미 가공시 현미기 고무롤러의 간격을 벼 품종별 두께의 20%, 30%, 40%로 다르게 조절하여 가공한 결과 현미기 고무롤러 간격을 30%로 하여 현미 가공하였을 때가 제현율이 가장 높았다. 실험실용 정미기를 이용하여 현미를 2회 도정시 다산벼는 전체 미강중 91.38%, 화성벼는 88.46%, 동안벼는 74.62%, 일품벼는 73.03%, 안산벼는 70.93%의 미강이 제거되었고, 백미가공이 끝난 후 전품종 평균 백미완전립률은 92.87%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