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er hayat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8초

식물환경복원 소재선발을 위한 국화과 15종의 생육 및 중금속 축적능 분석 (Heavy Metals Uptake Capability and Growth of Fifteen Compositae Plants for Phytoremediation)

  • 권혁준;이철희;김수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중금속 오염지역의 토양정화에 적합한 식물을 선발하기 위해 국화과 15종을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8주 동안 재배한 다음 생육반응과 부위별 비소,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등의 중금속의 축적능을 분석하였다. 톱풀을 제외한 가새쑥부쟁이, 금계국, 감국, 각시취 등의 생육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비소 축적능은 더위지기 지하부($25.52mg{\cdot}kg^{-1}$)에서 가장 높았고 지상부는 바위구절초($3.35mg{\cdot}kg^{-1}$)가 가장 우수하였다. 카드뮴은 왕갯쑥부쟁이 지상부($2.50mg{\cdot}kg^{-1}$)에서 가장 높았다. 구리 축적능은 지상부와 지하부 모두 각시취(24.29, $99.92mg{\cdot}kg^{-1}$)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국화과 15종의 지상부는 1.43(왕갯쑥부쟁이)${\sim}5.00mg{\cdot}kg^{-1}$(수리취)의 납이 축적되었다. 눈갯쑥부쟁이($140.09mg{\cdot}kg^{-1}$), 쑥부쟁이($109.07mg{\cdot}kg^{-1}$), 왕갯쑥부쟁이($100.21mg{\cdot}kg^{-1}$) 등의 아연 축적능은 $100mg{\cdot}kg^{-1}$ 이상으로 아연 오염 지역의 식물상 정화 기법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Disaccordance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andomly Amplyfied Polymorphic DNA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Aster

  • Hong Su-Young;Cho Kwang-Soo;Suh Jong-Taek;Yoo Ki-Oug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36-43
    • /
    • 2005
  • This study were focused on the genetic relationship using RAP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eleven taxa Aster collected in Korea. Twenty random primers were selected, a total 216 DNA bands were generated and 213 bands were shown polymorphism among species. The collected eleven taxa were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0.609 similarity index. The first group was A. glehni, A. ageratoides, A. maackii and A. scaber was clustered at 0.713 of genetic distance. The second group was A. tataricus and A. koraiensis and the third group was A. spathulifolius, the forth group was A. yomena, A. hayatae and A. hispidus and the fifth was A. tripolium.

  • PDF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에 적합한 자생초화류와 식재토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Native Plants and Planting Soil for Extensive Rooftop Greening)

  • 강규이;이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5
  • Green spaces in cities were insufficient and decreased as artificial structures increase. Accordingly, greening rooftop space contributed to urban ecosystems as green space. Especially, since 2002 Seoul supported rooftop greening and introduced 'Ecology-area rates'. Thus rooftop greening had the potentiality of extension. This prepar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s within planting-base for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system to be easily populariz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conducted from 1997-2005 reported that soil depth was 8cm and soil mixtures were 5 types. And plant were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Aster hayatae, Crysanthemum zawaskii herb. ssp. coreanum, Sedum sarmentosum, Sedum rotundifolium, Sedum oryzifolium, Sedum takemensis, Sedum middendorffian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spectabile, Carypteris incana, Dianthus superbus, Hosta minor. As a result, for nine years after the modular type rooftop greening established, survival plants were Sedum takemensis, Sedum sarmentosum, Sedum spectabile, Sedum middendorffianum, Carypteris incana,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rotundifolium, Dianthus superbus. Also effect of greening was possibled soil depth 8cm. And growth of plants from 1997 to 2005 were fine on two soil mixtures of 'perlite+peatmoss+vermicompost+moisturizer' and 'perlite+moisturizer+bark(mulching)'. Invasive plants are Ixeris dentata Nakai, 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Youngia sonchifolia, Eragrostis ferruginea, Aster pilosus Willd., Ixeris japonica Nakai, Valpia myuros, and Setaria viridis.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native plants wa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we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쑥부쟁이속 6종의 새싹채소 발아, 재배 및 저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Sprout Germination, Growth, and Storage of Six Aster Species)

  • 김지수;조주성;이철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638-646
    • /
    • 2015
  • 본 연구는 자원식물 종자의 유용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쑥부쟁이속 6종(가새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벌개미취, 참취, 해국, 쑥부쟁이) 새싹채소의 최적 생산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적정 발아조건 구명은 온도(15, 20, 25, $30^{\circ}C$) 및 광조건을 달리하여 종자를 파종한 다음 발아율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길이생장 기간은 온도(15, 20, 25, $30^{\circ}C$)를 달리하여 암조건에서 10일간 진행하였다. 적정 녹화기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적의 발아조건과 길이생장 기간 동안 재배한 유묘를 0-3일간 광조건에서 재배하였다. 저장환경 및 기간을 알아보기 위해 최적조건에서 재배한 새싹 채소를 통기구가 있는 용기와 밀폐 용기에 각각 넣은 다음 $4^{\circ}C$$10^{\circ}C$에서 저장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자는 발아율 조사를 통해 12일 이내에 50% 이상 발아하는 것을 선발하였다. 길이생장은 $20-25^{\circ}C$에서 생육이 우수하였고 최적의 재배기간은 7-9일로 구명되었다. 녹화기간이 길어질수록 길이생장은 지체되었으나, 하배축의 부피생장 및 떡잎의 생육이 왕성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2일간의 녹화처리가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장성 실험은 $4^{\circ}C$에서 저장한 밀폐 용기에서 저장성이 좋았으며 부패는 환기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수분함량이 감소하였다. 모든 새싹채소는 $4^{\circ}C$에서 3-6일간 신선도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눈개쑥부쟁이와 쑥부쟁이는 높은 저장성을 가져 $10^{\circ}C$에서도 3일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