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pattern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지리산 녹차의 향기성분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 the Products of Mt. Chiri Garden)

  • 최성희;배정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78-483
    • /
    • 1996
  • The aroma components of Korean green tea in the south western part of Mt. Chiri prepared by the traditional method from native variety were analyzed using GC and GC-MS. The patterns on GC chromatograms of the three samples from the flushes plucked in early spring were similar, though they are prepared by different producers in the area of Hadong-kun, Kyung sang nam-do. A total of 51 aroma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all samples. Main component in the aroma compounds of these teas were geraniol, benzyl alcohol, 2-phenylethanol, $\beta$-ionone, benzyl cyanide and linalool oxides. The aroma components of green teas manufactured by the different plucking periods were also compared. The amounts of geraniol, typical rose floral aroma were particularly decreased in the final plucking period. The amounts of pyrazines and furfuryl alcohol, typical roasted aroma and nutty aroma were slightly increased in later plucking period.

  • PDF

전자코를 이용한 감마선, methyl bromide 및 phosphine 처리된 홍삼분말의 저장 중 향기패턴 변화 연구 (Aroma Analysis by the Electronic Nose on Red Ginseng Powder Treated with Gamma Radiation, Methyl Bromide and Phosphine)

  • 신정아;권중호;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25-829
    • /
    • 2003
  • 품질보존 방법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감마선 조사와 훈증 처리된 홍삼분말의 후각적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5kGy의 감마선, 상업적 조건의 methyl bromide(MeBr) 및 phosphine 처리된 홍삼분말을 각각 $25^{\circ}C$$-10^{\circ}C$에 1, 2 및 5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그 휘발성 향기 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하였다. MeBr과 phosphine 훈증 처리군들은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라 저장 전과 모두 다른 향기패턴을 보이며 구별되었다. 특히 저장기간이 길수록(5개월) 더 명확히 향기패턴이 구별되었다. 감마선 조사군은 저장기간별로는 구별이 되었지만, 같은 기간별(1과 2개월)의 저장온도에 따라서는 다른 처리군에 비해 구별하기가 어려웠다. Phosphine 훈증은 MeBr 훈증 및 감마선 조사보다 저장 후 그 향의 변화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조건 중 $-10^{\circ}C$에서 5개월간 저장하였을 경우에 미처리군과 phosphine훈증 처리군의 향기패턴 구별이 어려웠다.

Statistical Analysis of Effective Components for Aroma of Sigumjang

  • Choi, Ung-Kyu;Park, June-H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49-254
    • /
    • 2005
  • The relationship between Sigumjang gas chromatographic patterns precisely analyzed with capillary column and ranked order in sensory analysis was investig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ly predictabl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obtained in the analysis. Ninety percent of the Sigumjang aroma was explained by the regression models at step 15 in four transformation except for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root square and relative value transformed with logarithm. The aroma of Sigumjang was most affected by 2,3-dimethylpyrazine at absolute value and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logarithm and by 2-furancarboxaldehyde in other transformation. The quality of sigumjang was highly affected by ${\beta}$-phallendrenal, 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5-methyl-2-furancarboxaldehyde, unknown 2, octanoic acid, 4-ethylphenol, methyl 10,13-octadecanoate and ethyl linoleate.

Evaluation of Barley Bran Sauce Aroma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Choi, Ung-K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56-660
    • /
    • 2005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s chromatographic (GC) patterns of sauce made of barley bran and ranked order in sensory analysis was investig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Most of the 42 barley bran sauce samples comprised about 34 peaks, in which the content of 9, 12-octadecanoic acid methyl este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of 2-furanmethanol and 2-furancarboxaldehyd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aroma quality of barley bran sauce samples on the basis of only one peak. The 34 aroma compounds of the 42 samples were analyzed by an MRA model featuring six transformations. The most precise fit was calculated from the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the root square of each peak, and the multiple determin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91.6% of the variation in the sensory score could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GC data.

전자코에 의한 장마, 단마, 대화마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Aroma patterns of Nagaimo, Ichoimo and Tsukuneimo by the Electronic Nose)

  • 이부용;양영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4-27
    • /
    • 2001
  • Conducting polymer 센서가 부착된 전자코를 이용하여 장마, 단마, 대화마의 향기 패턴을 분석하였고, 관능평가도 병행하여 3가지 마 품종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관능평가 결과, 장마는 아삭아삭한 조직감과 단맛이 강했고, 대화마는 끈적거리고 느끼하지만 고소함과 조직감이 단단하였으며, 단마는 마고유의 향이 강하고 장마와 대화마 중간 정도의 조직감을 보여주었다. 마의 향기에 대한 전자코의 감응도(intensity)는 단마에서 가장 높았고 대화마에서 가장 낮은 값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32개 센서의 표준화된 감응도에 대해서 주성분 분석을 실시했을 때 품종들 사이의 품질특성값은 모두 2미만의 값을 나타내어 각 품종들 간에 향기패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 1주성분과 제2주성분의 고유값도 각각 33%, 16%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감응도 변화가 $1.216{\sim}1.561$로 상대적으로 높은 8개의 민감한 센서만를 선택하여 주성분분석한 결과 단마와 대화마 사이의 품질특성값은 2.057로 향기패턴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1주성분의 고유값도 85.95%로 매우 높았다.

  • PDF

국내산 반발효차의 향기성분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Korean Semi-fermented Teas)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29-533
    • /
    • 2001
  • 사찰을 중심으로 극히 일부 제조되고 있는 반발효차를 시료로 하여 기호면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향기성분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다양한 제품개발을 하여 상품화하는데 그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시료로는 수확시기 및 장소가 다르고 제조방법이 약간 다른 3종의 반발효차와 비교시료로서 1종의 녹차를 이용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추출에는 Likens and Nickerson형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였고 분리 및 동정에는 GC 및 GC-MSD를 사용하였다. 국내산 찻잎으로 만든 반발효차의 경우 수확시기가 아주 늦지 않고 솥에서 건조한 시료1(S1)과 시료3(S3)의 경우 특히 관능적으로도 향미나 색택이 매우 우수하였다. 반발효차의 향기성분으로는 총 47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공통적으로 동정된 주요 화합물은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E)-2-hexenal, phenylacetaldehyde, 2-phenyl ethanol, geraniol, ${\beta}-ionone$ 및 nerolidol 등이었다. 녹차와 비교하면 특히 phenylacetaldehyde, 2-methylbutanal등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향기성분의 조성으로 볼 때 3 종류와 시료 모두 비교적 우수한 편이었다. 반발효차는 녹차에 비해 수확시기가 늦은 찻잎을 이용해도 좋으며 보관기간이 녹차보다 긴 장점을 살려 다양하게 상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로즈마리 향기성분의 기-액 평형과 무차원 헨리의 상수 (Dimensionless Henry's Constant and Liquid-Vapour Equilibrium of Rosemary Aroma Compounds)

  • 윤향식;정헌상;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8-742
    • /
    • 2003
  • 로즈마리의 주요 항기 성분인 pinene, myrcene, cineol이 에탄올 용액에 흡수되는 물질전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에탄올 농도에 따른 가스상 향기성분의 농도와 70% 에탄올 농도에서의 무차원 헨리상수를 구하였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가스상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3가지 화합물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eadspace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유형을 나타내었다. Cineol의 에탄올 농도(x)에 따른 무차원 헨리상수식은 $Hi=(-5.75+x)/(-7017.6+257.3{\times}x)$이며 1 atm, $25^{\circ}C$, 70% 에탄올 용액에서 무차원 헨리상수는 cineol은 0.0058, myrcene은 0.0182, pinene은 0.0365 이었다.

원두커피 향미 성분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포장재에서의 저장 차이 분석 (Analysis of Flavor Components of Coffee Beans in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 유하경;이승욱;오재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5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커피 시장이 매년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커피 포장지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제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될 씰란트 층에 사용되는 PE 재질과 PP 재질이 커피 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Electronic nose)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PP와 PE 재질의 파우치에 커피를 담아 향기 패턴과 향 물질의 변화를 연구해 보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분 분석 결과, 커피의 향기 성분 분석에 적합한 지표 물질은 pyridine이었다. 추가적으로 온도($4^{\circ}C$, $25^{\circ}C$ and $40^{\circ}C$)와 탈산소제의 유무에 따른 향기 패턴 변화 역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미하게나마 PP계열 포장재가 PE계열 포장재보다 보향성이 좋았으나 재질에 의한 성능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오히려 재질보다는 온도에 의한 향기 패턴 변화가 지배적이었다. 냉장 유통($4^{\circ}C$)이 가장 좋은 보관 온도였고 짧은 기간 내에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Applying Traditional Jokakbo)

  • 최승연;정경희;이미숙;신윤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91-100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okakbo and modern works applying Jokakbo, and developed aroma chumoni representing the symbolic image and cultural identity of Bamboo at Dam-Yang, Mae-Wha at Kwang-Wang and San-Soo-You at Ku-Rae, all of which are in Chonnam. Initially, infor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orks applying Jokakbo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 pattern, color, fabric material and technique. Secondly, for the development of aroma chumoni, square and round patterns, representing the images of Bamboo, Mae-Wha and San-Soo-You, were applied. Relating to colors, green, pink, red purple, yellow, light yellow red and pale yellow were applied. With respect to the fabric materials, No-Bang and A-Sa, representing the lightness and coolness of the image, were used. When considering the technique, the traditional needle, rather than any other modern technique, was used.

디카페인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aroma compounds of decaffeinated coffee beans)

  • 이진영;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2-501
    • /
    • 2023
  • 본 연구는 브라질산 커피생두를 디카페인 처리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디카페인 무처리(RC), SWP 디카페인(SWDC), 초임계 CO2 디카페인(SCDC)에 대한 로스팅 이후 원두의 향기성분변화를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로스팅 후 Agtron(#)은 SWDC와 SCDC가 RC보다 더 낮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전자코를 이용해 분석한 세 가지 시료의 주요 향기성분은 propanol-2-one, 3-methylbutanoic acid, 1-methyl-4-isopropenyl-1-cyclohexene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propanol-2-one은 fruity, glue의 향에 관련한 것으로 디카페인 공정 유무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강도로 분석되었다. 한편, SCDC의 향기성분 중 propanol-2-one, methyl formate의 함량이 RC와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성분 패턴의 PCA 분석결과 디카페인 무처리구인 RC와 처리구인 SWDC 및 SCDC의 향기성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영향은 SCDC에서 더 크게 분석되었다. RC, SWDC와 SCDC의 주요 향기성분들이 propan-2-one과 hexan-2-one은 ketone, hexanal과 (E)-2-pentenal은 aldehyde, 3-methyl-1-butanol, 4-methylhexan-1-ol, 2-octanol은 alcohol에 해당하였으며, 로스팅 후 원두에서 주로 나타나는 향기성분의 구성은 유사하였으나 상대적 강도에서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HS-SPME-GC-MS를 사용한 RC, SWDC와 SCDC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모두 2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세 가지 시료에서 공통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상위 향기성분은 furfural, 2,5-dimethylpyrazine, 2-furanmethanol, 2-formyl-5-methylfuran, furfuryl acetate, 2-ethyl-3-methylpyrazine 등 총 10종으로 분석되었다. RC에서 분석된 휘발성 향기성분 20여 종은 SWDC와 SCDC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이며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영향으로 차별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로스팅 후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분석에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함에 따라 향기성분의 조성 및 상대적 강도, 함량에 대한 패턴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로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향미 특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