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culture evaluation criteri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 Kwon, Ji-Young;Park, Kun-Ba-Wui;Song, Ki-Cheol;Lee, Hee-Jung;Park, Jeong-Heum;Kim, Jin-Do;Son, Kwang-T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7-14
    • /
    • 2008
  • The sanitary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was assessed through a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seawater and oyster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6. From seawater samples collected at 28 stations, the range of geometric mean (GM) and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for most-probable-number (MPN) values of fecal coliforms were <1.8-2.4 MPN/100 mL and 1.8-6.0 MPN/100 mL, respectively. The observed fecal coliform GM and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did not exceed the fecal coliform water quality standards of 14 MPN/100 mL and 43 MPN/100 mL. Therefore,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water at this shellfish-growing area met the Korean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KSSP) criteria for a growing area used for export. The range of the fecal coliform GM and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MPN values of oyster samples were 19.2-160 MPN/100 g and 20.2-166.9 MPN/100 g, respectively, and the range of the viable cell count was 30-1900 CFU/g. Thus, the fecal coliform value for the oysters and the viable cell count were less than the current shellfish quality standards of 230 MPN/100 g and 50,000 CFU/g, respectively.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the oysters complied with the criteria for domestic use and export of shellfish.

2011년 곰소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및 중금속 오염도 평가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and an Evaluation of Trace Metal Pollution in Gomso Bay, Korea, 2011)

  • 김청숙;김형철;이원찬;홍석진;황동운;조윤식;김진호;김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67-575
    • /
    • 2017
  •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omso Bay, which features extensive Manila clam, we measured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Cu, Cd, Pb, Zn, Cr, Hg, As and Fe) of intertidal and subtidal surface sediments in 2011. The surface sediments consisted of sedimentary facies including gravel (0.21%), sand (61.1%), silt (32.1%), and clay (6.5%).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values in most areas were below sediment quality criteria (COD, $20mg/g{\cdot}dry$; AVS, $0.2mg/g{\cdot}dry$). Trace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were below pollution thresholds, except for As (morderately polluted). Sediment quality was evaluated using the trace metal pollution load index (PLI) and ecological risk index (ERI), which showed that sediments were generally not polluted and at low risk; however, values along the outer bay were higher.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for sustainable aquaculture prod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Gomso Bay.

양어사료용 어유의 품질평가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ies on Establishment of Criteria to Evaluate the Quality of Fish Oil Used in Aquatic Feed)

  • 최세민;김재원;한경민;이승형;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3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 양어사료에서 이용되고 있는 어유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어떠한 분석 항목이 중요한지 확인하여 양어용 사료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제 양어사료에 이용되고 있는 E사 어유를 6$0^{\circ}C$ 건조기에서 10일 동안 인위적으로 산화시켜 POV, AnV, Totox, AV, IV, 불포화지방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POV, AnV, Totox의 수치는 지질의 산화가 최대 값을 나타낸 뒤 불일정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DHA와 EPA를 비롯한 PUFA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이에 따라 SFA와 monoene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PUFA/SFA와 DHA/C16:0은 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결과를 통하여 POV, AnV, totox, AV, IV, 불포화지방산 등 각각의 분석항목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어유 전차의 품질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며, POV, AnV totok, AV, IV 불포화지방산 외에 PUFA/SFA와 DHA/C16:0의 비율도 어유의 품질평가를 하기 위한 새로운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적조모형의 분류 및 성능평가 기법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of an Algal Bloom Model)

  • 조홍연;조범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405-412
    • /
    • 2014
  • 적조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적조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다양한 적조모형이 개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적조는 연안생태환경 및 양식어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며, 모형을 이용한 적조 발생 및 이동양상의 정확한 예측결과는 사전 피해저감 대책수립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형의 예측 성능평가도 중요하다. 그러나 적조모형은 적조생물을 포함하는 생태모형 또는 환경생태모형이라는 유사한 용어가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어 혼동을 유발하고 있다. 각각의 모형은 유사한 용어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모형의 개발 목표, 구조와 예측성능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적절한 기준에 근거한 분류와 오차분석에 근거한 모형의 성능평가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적조 모형의 구조 및 요소모형을 고려한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분류된 적조모형의 구조를 고려한 장 단점 및 한계를 제시하고, 모형 활용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정량적인 성능평가(오차평가) 기법을 제안한다. 모형의 성능평가는 모형의 보정 및 검정과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기준이나 기법은 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정책결정 및 대책수립, 환경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큰가시고기과)의 분포 현황 및 멸종위협평가 (Distribution Statu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Gasterosteidae) in Korea)

  • 고명훈;한미숙;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2-269
    • /
    • 2022
  •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의 분포양상 및 서식지 특징, 멸종위협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 출현지점 수는 1980~1996년, 1997~2005, 2007~2017년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결과, 각각 32개, 43개, 64개 지점이었다. 분포 조사는 75개 하천, 193개 지점을 조사하여 26개 하천, 39개 지점에서 1,400개체를 채집하였다. 잔가시고기는 주로 고도가 낮고 유속이 느리며 수초가 많은 하천 하류 또는 기수역에 서식하였다. 위협요인으로 가뭄 및 홍수, 홍수복구와 하천정비 공사, 교량 건설, 외래종 배스의 포식 등이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멸종위협등급을 평가한 결과, 10년 동안 서식지 감소율 42.6%, 서식지의 질적 하락, 외래종 배스의 확산 및 영향 등을 근거로 취약(Vulnerable, VU A2ace)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잔가시고기는 환경부 멸종위기종으로 재지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