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rt syndrom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Apert syndrome 환자의 제증상에 관한 증례보고 (APERT SYNDROME : A CASE REPORT)

  • 송수복;김정욱;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0
    • /
    • 2002
  • Apert syndrome은 첨두합지증(acrocephalosyndactly)중의 하나로, 1906년 Apert에 의해 보고된 증후군이며 관상봉합의 조기유합에 의한 첨두증(acrocephaly)과 합지증이 공존하는 선천성 유전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뾰족한 고깔모양의 머리 형태를 하고 있으며, 손과 발이 합지증을 보이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을 하며 중안면부의 발육부전으로 인한 안구돌출 경도의 양안이개 및 상악골 발육부전을 나타내고, 고구개, 연구개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하악 발육은 정상이나 상대적으로 하악 전돌의 양상을 나타내고 좁은 상악과 하악궁에 심한 총생이 나타나고, 골격적 이상에 의한 부정 교합과, 전방부의 개교를 유발한다. 본 증례는 성형외과에서 상악과 하악에 대한 교정적 처치의 가능성에 대하여 의뢰된 3세 1개월의 Apert syndrome 남아에 대한 것으로 의학적 기왕력과 향후 치과적 처치방향에 대해 과거의 문헌을 고찰하고, 교정적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과정 중에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GFR2 유전자의 8번째 엑손부위의 P253R 돌연변이로 진단된 Apert 증후군 1례 (A Case of Apert Syndrome with a P253R Mutation on FGFR2 Exon VIII)

  • 이영진;고정민;박성식;전종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2호
    • /
    • pp.151-155
    • /
    • 2010
  • Apert 증후군은 두부와 손발의 골 및 연부조직의 성장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선천적 질환으로 두개골의 기형과 사지의 대칭적 합지증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질환이다. Apert증후군은 변이된 FGFR2 유전자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S252W 돌연변이가 가장 흔하고, P253R돌연변이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엑손IIIa에서 S252W 돌연변이가 보고된 경우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두 개 봉합선의 조기 융합으로 인한 두부의 특징적인 기형, 손과 발의 심한 합지증을 동반하는 전형적인 Apert 증후군 영아에서 FGFR2 유전자의 8번째 엑손부위에서의 P253R 돌연변이가 확인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유전자-표현자형의 대한 연구, 발생 기전 및 치료와 관련한 분자 생물학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pert syndrome : 증례보고 (APERT SYNDROME : CASE REPORT)

  • 박광선;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9-547
    • /
    • 2008
  • Apert syndrome은 관상봉합의 조기유합에 의한 첨두증(acrocephaly)과 합지증(syndactyly)이 함께 나타나는 선천성 유전 질환으로서, 1906년 Apert에 의해 보고된 증후군이다. 약 $65,000{\sim}160,000$ 당 1명꼴로 발생되며, FGFR2(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2)의 돌연변이로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고,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임상적으로 첨단두증(acrobrachycephaly)을 보이고, 특징적으로 손과 발의 합지증을 보이며, 높은 이마와 평평한 뒤통수, 후퇴된 중안면부, 안구돌출, 시력이상, 양안격리증, 밑으로 쳐진 안검열, 상악골 형성부전, 상대적인 하악 전돌의 양상 등을 보인다. 감소된 비강인두와 좁아진 후비공으로 인한 구호흡과 전방부 개교를 보이며, 이완시에 입술의 모양은 사다리꼴 형태를 보인다. 중이염이 흔하고, 청각장애를 유발하기도 하며, 정신지체가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특징적인 구내소견으로 연구개열 또는 구개수열과 가성 경구개열, V자 모양의 악궁과 치열의 총생 등이 관찰되며, 전치부 개방교합과 구치부 교차교합을 동반한 Class III 부정교합을 보인다. 본 증례는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6세 3개월의 남아로 충치 치료를 받고 싶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 환자에서 보이는 Apert syndrome의 특징적인 치과적 소견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berrant growth of the anterior cranial base relevant to severe midface hypoplasia of Apert syndrome

  • Cha, Bong Kuen;Choi, Dong Soon;Jang, In San;Yook, Hyun Tae;Lee, Seung Youp;Lee, Sang Shin;Lee, Suk Ke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40.1-40.8
    • /
    • 2018
  • Background: A 9-year-old male showed severe defects in midface structures, which resulted in maxillary hypoplasia, ocular hypertelorism, relative mandibular prognathism, and syndactyly. He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Apert syndrome and received a surgery of frontal calvaria distraction osteotomy to treat the steep forehead at 6 months old, and a surgery of digital separation to treat severe syndactyly of both hands at 6 years old. Nevertheless, he still showed a turribrachycephalic cranial profile with proptosis, a horizontal groove above supraorbital ridge, and a short nose with bulbous tip. Methods: Fundamental aberrant growth may be associated with the cranial base structure in radiological observation. Results: The Apert syndrome patient had a shorter and thinner nasal septum in panthomogram, PA view, and Waters' view; shorter zygomatico-maxillary width (83.5 mm) in Waters' view; shorter length between the sella and nasion (63.7 mm) on cephalogram; and bigger zygomatic axis angle of the cranial base (118.2°) in basal cranial view than a normal 9-year-old male (94.8 mm, 72.5 mm, 98.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Apert syndrome patient showed interdigitating calcification of coronal suture similar to that of a normal 30-year-old male in a skull PA view.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 Apert syndrome patient, 9 years old, showed retarded growth of the anterior cranial base affecting severe midface hypoplasia, which resulted in a hypoplastic nasal septum axis, retruded zygomatic axes, and retarded growth of the maxilla and palate even after frontal calvaria distraction osteotomy 8 years ago.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severe midface hypoplasia and dysostotic facial profile of the present Apert syndrome case are closely relevant to the aberrant growth of the anterior cranial base supporting the whole oro-facial and forebrain development.

Genetic Syndromes Associated with Craniosynostosis

  • Ko, Jung M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3호
    • /
    • pp.187-191
    • /
    • 2016
  • Craniosynostosis is defined as the premature fusion of one or more of the cranial sutures. It leads not only to secondary distortion of skull shape but to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neurologic, ophthalmic and respiratory dysfunction. Craniosynostosis is very heterogeneous in terms of its causes, presentation, and management.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etic factors ar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craniosynostosis. Nonsyndromic craniosynostosis accounts for more than 70% of all cases. Syndromic craniosynostosis with a certain genetic cause is more likely to involve multiple sutures or bilateral coronal sutures. FGFR2, FGFR3, FGFR1, TWIST1 and EFNB1 genes are major causative genes of genetic syndromes associated with craniosynostosis. Although most of syndromic craniosynostosis show 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 approximately half of patients are de novo cases. Apert syndrome, Pfeiffer syndrome, Crouzon syndrome, and Antley-Bixler syndrome are related to mutations in FGFR family (especially in FGFR2), and mutations in FGFRs can be overlapped between different syndromes. Saethre-Chotzen syndrome, Muenke syndrome, and craniofrontonasal syndrome are representative disorders showing isolated coronal suture involvement.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craniosynostosis, single gene mutations can be more frequently detected, in one-third of coronal synostosis patients. Molecular diagnosis can be helpful to provide adequate genetic counseling and guidance for patients with syndromic craniosynostosis.

두개봉합 발육 연구를 위한 형질변환 쥐의 개발 : 어퍼트 신드롬 (Generation of a transgenic mouse model to study cranial suture development; Apert syndrome)

  • 이기준;;백형선;박영철;박광균;나현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5-497
    • /
    • 2003
  • 악안면 구조의 형태와 기능은 대개 유전자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인해 정상 성장과 형태 형성에 중요한 유전자에 대한 정보가 밝혀지고 있고 이는 현대 두개안면 생물학의 근간이 되고 있다. 밝혀진 사실들 중 주목할만한 것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2 (FGFR2)에 서 의 특이한 돌연변이 가 어 퍼트 증후군 (Apert syndrome) 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어퍼트 증후군은 두개 관상봉합의 조기 유합과 사지의 기형으로 특징지워진다. 그 중 특히 두개골 유합증의 병인과 형성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유전자 변환기법을 시도하여 어퍼트 증후군의 유발인자로 알려진 FGFR2에 서 의 단일 아미노산 치 환 돌연변이를 재연한 인위 유전자구조물을 제작하고 이를 미 세주입법으로 쥐의수정란에 삽입하여 형질변환 쥐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조직이 아닌 골조직에서 특이하게 활성화되는 전사촉진자(promoter, 제 I형 교원질 유전자의 전사촉진자)를 이용하여 골조직에서만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현을 재현함으로써 이 시도가 쥐에서 두개골유합증을 유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기 표현형 분석을 통해 어퍼트 환자에서 기대되는 두개골 유합증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삽입된 변환유전자가 원활히 돌연변이 단백질을 생산하고 기능의 증가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동물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이제 정상적 혹은 비정상적 두개골 및 봉합 발육에서의 FGFR2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어퍼트 및 크루즌 증후군을 유발하는 골조직 특이성 FGFR2 돌연변이에 의한 두개안면 형태의 변화 (Craniofacial morphologic alteration induced by bone-targeted mutants of FGFR2 causing Apert and Crouzon syndrome)

  • 이기준;나현덕;스티븐 소아;박영철;백형선;윤태민;송진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4-294
    • /
    • 2006
  •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두개안면 기형의 발생 기전을 밝히기 위해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 변화에 의한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섬유아세포성장인자수용체-2 (FGFR2)의 활성형 돌연변이가 어퍼트 및 크루즌 증후군에서의 봉합의 조기유합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인류에서는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하므로 임상적으로 정의된 두 증후군에서의 유전형-표현형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퍼트(Pro253Arg)및 크루즌(Cys278Phe) 돌연변이를 갖는 골특이성 FGFR2를 발현하도록 제작된 형질변환 쥐에서 결과적인 표현형의 차이를 분석하여 유전형에 의한 기형 형성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유전자 조작을 하지 않은 정상군과 정상 FGFR2 유전자를 가진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육안 관찰 및 micro-CT를 이용한 형태계측학적 방법으로 주로 전방두개 및 전두개저 부위의 이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어퍼트 및 크루즌 돌연변이를 갖는 각각의 형질변환 쥐는 두개 봉합의 유합과 전후방적 두부 길이 감소를 공히 보였으나 어퍼트 형질변환 쥐에서만 전치부 반대교합이 나타났다. 또한 어퍼트 개체는 크루즌 개체 및 대조군에 비해 전방두개 및 전두개저 굴곡에 있어서 정상군과 비교해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유합을 보이는 봉합의 부위 및 순서에 있어서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정상 FGFR2 유전자를 주입한 형질변환 쥐는 정상적인 두개안면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어퍼트 및 크루즌 돌연변이는 각각의 유전형에 특이한 두개안면 기형을 유발할 것으로 보이며 정상 FGFR2의 발현 강도보다는 기능의 이상이 두개골 유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변형된 FGFR2와 각 봉합에서의 기능과의 상관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EX> 와이어에서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이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더 낮은 austenite finish ($A_f$) 온도를 보였다. $0.018"\;{\times}\;0.025"$$0.0215"0.028"$ 와이어에서 열처리를 시행하여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은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과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부하-변위 곡선이 상방 이동되었으며, 열처리 시간을 1초 증가시켜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부하-변위 곡선을 나타냈다. $0.018"\;{\times}\;0.025"$ 그리고 $0.0215"\;{\times}\;0.028"$ 와이어에서 $A_f$ 온도는 열처리 시간을 1초 증가시켜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낮게 관찰되었고 열처리를 시행하여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 그리고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으나, 인공습지와 저류지의 적절한 연계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저감시설 설치 부지면적과 비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수질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오각형피판과 최소한의 피부이식을 이용한 합지증의 교정 (Correction of Syndactyly using Pentagonal Flap with Minimal Skin Graft)

  • 배병만;어수락;김인규;고성훈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64-69
    • /
    • 2007
  • Purpose: The key of treatment in syndactyly is to separate the fused digits safely, and to create a normal web space with enough cutaneous coverage. Despite many techniques have described the correction of syndactyly, skin graft still remains the annoying one. We designed the pentagonal flap from hand dorsum to reconstruct the web space reliably and try to minimize the need for skin graft. Methods: Between July 2003 and August 2005, six cases of syndactyly were corrected at UCLA Medical Center and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using dorsal pentagonal flap for web space reconstruction and straight incisions for the sides of digits to minimize the need for skin graft. The proximal edge of the pentagonal flap was designed in V shape to allow for easy closure of the donor site after advancement. The pentagonal flap was advanced volarly with the underlying dermofat tissues to form a digital web. In some cases, skin defects were unavoidable and covered with full thickness skin graft from the inguinal area. Results: Syndactyly were seen in 4 cases of Apert syndrome, 1 postburn scar webbing with PIP joint contracture and 1 recurrence after the incomplete reconstruction. In all Apert syndrome, straight line incision was used along the sides of the fingers and skin graft was needed. But, in 2 cases of incomplete type, we could save the need for skin graft only for the correction of syndactyly. We could get a good looking web space without any complications such as flap or graft loss. Conclusion: As a modification of Sherif's V-Y dorsal metacarpal flap, we believe pentagonal flap could be one of the easiest and safest way to reconstruct the web space of syndactyly in functional and cosmetic standpoint.

소아뇌졸중의 보험의학적 고찰 (Review of pediatric cerebrovascular accident in terms of insurance medicine)

  • 안계훈
    • 보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9-32
    • /
    • 2010
  • Moyamoya disease (MMD) is a progressive occlusive disease of the cerebral vasculature with particular involvement of the circle of Willis and the arteries that feed it. MMD is one of cerebrovacular accident,which is treated with sugical maeuver in pediatic neurosurgery. Moyamoya (ie, Japanese for "puff of smoke") characterizes the appearance on angiography of abnormal vascular collateral networks that develop adjacent to the stenotic vessels. The steno-occlusive areas are usually bilateral, but unilateral involvement does not exclude the diagnosis. The exact etiology of moyamoya disease is unknown. Some genetic predisposition is apparent because it is familial 10% of the time. The disease may be hereditary and multifactorial. It may occur by itself in a previously healthy individual. However, many disease states have been reported in association with moyamoya disease, including the following: 1) Immunological - Graves disease/thyrotoxicosis 2) Infections - Leptospirosis and tuberculosis 3) Hematologic disorders - Aplastic anemia, Fanconi anemia, sickle cell anemia, and lupus 4) Congenital syndromes - Apert syndrome, Down syndrome, Marfan syndrome, tuberous sclerosis, Turner syndrome, von Recklinghausen disease, and Hirschsprung disease 5) Vascular diseases - Atherosclerotic disease, coarctation of the aorta and fibromuscular dysplasia, 6)cranial trauma, radiation injury, parasellar tumors, and hypertension etc. These associations may not necessarily be causative but do warrant consideration due to impact on treatment.(Mainly neurosurgical operation.) The incidence of moyamoya disease is highest in Japan. The prevalence of MMD is 1 person per 100,000 population.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moyamoya disease in Japan has been reported to be 3.16 cases and 0.35 case per 100,000 people, respectively. With regard to sex, the female-to-male ratio is 1.4:1. A bimodal peak of incidence is noted, with symptoms occurring either in the first decade(5-10yr) or in the third and fourth decades (30-40yr)of life. Mortality rates of moyamoya disease are approximately 10% in adults and 4.3% in children. Death is usually from hemorrhage. In aspect of life insurance, MR is 1700%, EDR is 16 per 1000 persons. Children and adults with moyamoya disease (MMD) may have different clinical presentations. The symptoms and clinical course vary widely from asymptomatic to transient events to severe neurologic deficits. Adults experience hemorrhage more commonly; cerebral ischemic events are more common in children. Children may have hemiparesis, monoparesis, sensory impairment, involuntary movements, headaches, dizziness, or seizures. Mental retardation or persistent neurologic deficits may be present. Adults may have symptoms and signs similar to those in children, but intraventricular, subarachnoid, or intracerebral hemorrhage of sudden onset is more common in adults. Recently increasing diagnosis of MMD with MRI, followed by surgical operation is noted. MMD needs to be considered as the "CI" state now in life insurance fields.

  • PDF

두개하 Le Fort III 골절단술에 의한 중안면 발육부전 환자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SURGICAL CORRECTION OF MIDFACIAL DEFICIENCE BY SUBCRANIAL LE FORT III OSTEOTOMY)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백수;최유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69-77
    • /
    • 1996
  • 저자등은 중안면 발육부전으로 인한 심미적 및 기능적 장애를 주소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23세 남자에 대해 관상절개술만을 통하여 두개하 Le Fort III 골절단술을 시행하여 중안면부의 심미성을 증진시키고 안구돌출증의 해소 및 반대교합의 개선등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