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disease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2초

Anatomically Corrected Mal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1례 보고 (Anatomically Corrected Mal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One Case Report)

  • 정덕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57-562
    • /
    • 1985
  • One case of anatomically corrected mal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was managed at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t May, 1984. Anatomically corrected mal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wa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heart disease. Only 21 cases were reported in English literatures. If there are no associated cardiac disease, the patient will have normal life span. This 39 year old man had suffered from exertional dyspnea for 6 years. He had carried out normal military service as a sergeant for 8 years, and his life was not restricted before this episode. He had operated under diagnosis of mitral stenoinsufficiency & tricuspid regurgitation but died because of lower cardiac output.,br> At autopsy, the great arteries were malpositioned but viscera and lung were normal position and picture. The aortic valve was located left and anterior to the pulmonic valve and there are bilateral conus in this anatomically corrected mal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The coronary arteries were normal distribution.

  • PDF

Neuromedin B modulates phosphate-induced vascular calcification

  • Park, Hyun-Joo;Kim, Mi-Kyoung;Kim, Yeon;Kim, Hyung Joon;Bae, Soo-Kyung;Bae, Moon-Kyoung
    • BMB Reports
    • /
    • 제54권11호
    • /
    • pp.569-574
    • /
    • 2021
  • Vascular calcification is the heterotopic accumulation of calcium phosphate salts in the vascular tissue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neuromedin B (NMB) and NMB receptor is upregulated in phosphate-induced calcific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Silencing of NMB or treatment with NMB receptor antagonist, PD168368, inhibited the phosphate-induc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VSMCs by inhibiting Wnt/β-catenin signaling and VSMC apoptosis. PD168368 also attenuated the arterial calcification in cultured aortic rings and in a rat model of chronic kidney dis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MB-NMB receptor axis may have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scular calcification.

개심술 126례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Open Heart Surgery - A Report of 126 Case -)

  • 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1025-1035
    • /
    • 1989
  • Since we first performed open heart surgery on December 30, 1986, 126 cases were operated on up to August 31, 1989. Among the 126 cases, 65 cases were congenital heart disease of which 63 were acyanotic disease, and 61 cases were acquired heart disease, most of which were valvular heart disease. The age distribution of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from 1 years 2 months to 48 years, and males had a slightly higher incidence. The age of acquired heart disease was from a minimum of 15 years to a maximum of 68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5. Midsternotomy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the aortic cannula was inserted through ascending aorta and the venous cannula inserted into the SVC and IVC through the right atrium. Vent was inserted through the right superior pulmonary vein. Cardioplegia solution was used in all cases; it was composed of sodium bicarbonate 3.5 ampule, KCL 14 mEq, 2% lidocaine 2.5 ml, 20 % albumin 50 ml and heparin 1000 units mixed to 950 ml with Hartman solution, and was made to 4oC and infused 10 ml per Kg every 20 minutes. The congenital heart disease had a variety of VSD in 32 cases, ASD 23 cases, PS 6 cases, PDA 2 cases, and one case each of Ebsteins anomaly and tricuspid atresia. The operations performed for acquired heart disease were 4 cases of OMC, 33 cases of MVR, and 5 cases of AVR, and 1 case of AVR with CABG. DVR was perfomed in 13 cases, and triple valve replacement was done in 1 case. Other than these, excision of LA myxoma was 2 cases, and repair of traumatic VSD and removal of a pulmonary embolism were one case each. The surgical mortality was 5 cases[4%], all of which occurred in valve replacement cases. Follow-up study revealed 2 late deaths. One died after a traffic accident and one died due to sepsis after he had received a gastrectomy for ulcer bleeding. The remaining patients were in good condition.

  • PDF

돼지 대동맥, 폐동맥의 근위부 기하학적 구조 측정을 통한 판막 구조 수치의 계량화와 판막 도안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Porcine Aortic and Pulmonary Valve Geometry and Design for Implantable Tissue Valve)

  • 박성준;김용진;남진혜;김수완;이창하;임홍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02-613
    • /
    • 2010
  • 배경: 사람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판막 질환이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과거에는 심장 판막 이식에 기계 판막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혈액 응고 장애로 인한 출혈, 임신 시 태아의 기형 가능성, 판막의 급성 기계적 작용 부전,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 등의 여러 합병증이 동반되는 단점이 있어, 조직 판막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와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조직 판막은 외국계 회사의 수입된 제품으로서 그 구조나 도안에 이론적인 제안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돼지의 대동맥 및 폐동맥 판막의 구조에 대한 기하학적 분석을 시행하고, 각 수치를 계량화, 분석하여 그 3차원적 구조를 이해하여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을 만들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도축한 25마리의 돼지에서 채취한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을 신선한 상태에서, 그리고 글루타알데하이드(GA) 용액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판막의 각 구조물 수치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여 그 배율을 계량화하고 분석하였다. 신선한 상태와 글루타알데하이드(GA) 용액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판막엽 간 길이, 접합면 간 길이, 판막엽의 높이, 접합면 높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이식 가능한 판막을 제작하기 위하여 스텐트의 도안으로 모양, 유순도에 따른 스텐드의 두께, 높이, 간격 및 판막 크기에 따른 심낭 판막엽의 크기, 모양, 두께 등을 도안하였다. 결과: 돼지 대동맥과 폐동맥 판막의 수치 및 각 구조물들의 배율을 구하였다. 대동맥 판막 및 폐동맥 판막은 각각 우측 관상동맥 첨판 및 우향 관상동맥 첨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제일 컸다. 무접합 관상동맥 첨판이 가장 작았으며(우향 관상동맥 첨판: 무접합 관상동맥 첨판: 좌향 관상동맥 첨판=1.00 : 0.88 : 1.00), 판막의 높이는 첨판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스텐트를 사용한 돼지 대동맥 판막은 외측 직경 크기를 19 mm부터 33 mm까지 정하였고, 이전에 정한 비율 및 스텐트 두께, 그리고 실제 판막 제작에 필요한 봉합 두께와 판막 주변 벽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스텐트의 높이 ($R{\times}1.4$, R: radius, 직경), 폭, 간격 수치를 정하였으며, 심낭을 이용한 판엽은 판막의 직경, 각 첨판 길이 ($2{\times}R$), 높이 ($R{\times}1.4$)와 첨판의 최소 접합면을 고려하여 스텐트 크기와 함께 모양을 도안하였다. 결론: 25개의 돼지 대동맥 판막과 폐동맥 판막의 구조물에 대한 수치를 측정하여 판막들의 기하학적 비율을 계산하고, 여려 크기의 이식형 돼지 대동맥 판막을 만들어 볼 수 있었으며, 또한 소의 심낭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기의 판막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만들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도안의 판막 제작 후 충분한 생체 내외의 실험 및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흉부 대동맥 질환에서 스텐트-그라프트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Stent-graft in Thoracic Aortic Diseases)

  • 김경환;이철;장지민;정진욱;안혁;박재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698-703
    • /
    • 2001
  • 배경: 하행 흉부대동맥류를 포함한 대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히생한 대동맥내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의 치료효과와 추적성적 및,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통해 치료방법으로서의 적응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이후 모두 8명의 환자에서 진단방사선과와 협진으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시술 전 진단으로는 외상성 대동맥 파열이 3례, 동맥경화증성 대동맥류 3례, 흉부가성대동맥류 파열 1례, 매독성 대동맥염에 의한 흉복무대동맥류가 1례였다. 시술은 혈관조영실에서 혈관조영을 하면서 시행하였고, 전신마취가 3례, 국소마취가 3례였고, 2례에서 경막외 마취하에 시술하였으며, 사용한 스텐트-그라프트는 0.35mm 굵기의 스테인레스 강철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만든 스텐트를 서로 연결하고 인조혈과(Dacton)을 입힌 후 봉합한 것으로 제조회사에 의뢰하여 자체제작 하였다. 결과: 시술받은 환자의 전례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시 기술적 어려움은 없었으며, 스텐트-그라프트 삽입후 4일에서 7일 사이에 시행했던 추적검사(4례)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주위부 누출이나 당초 목표했던 위이에서의 이탈은 없었다. 1례의 외사성 대동맥 파열이 었었던 환자가 시술 후 13일째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및 다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고, 매독성 대동맥염이 있었던 흉복부 대동맥류 환자가 시술 후 6일째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에 대한 수술을 시행받고 술후 22일째 문합부위 파열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동맥내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한 흉복부 대동맥 질환의 치료는 수술에 따른 이환률 및 사망률을 고려할 때 특히 다장기부전으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 또는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이 강력히 우려되는 경우에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의 한 방편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사료된다.행성 이하선염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170-180nm 이었다.TEX>$\pm$0.10(100분), 0.46$\pm$0.11(120분), 0.52$\pm$0.15(심폐기 재가동 30분), 0.62$\pm$0.15(60분), 0.76$\pm$0.17(심폐기이탈 30분), 0.81$\pm$0.20(60분), 0.84$\pm$0.23(90분) and 0.94$\pm$0.33(120분)를 보였고 이는 역행성 뇌관류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이었다(p<0.05). 뇌신피질, 기저핵, 해마에서 전자현미경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마이토콘드리아의 부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행성 뇌관류 120분 후에 S100 베타 단백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뇌조직 손상과의 관련성은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모델을 통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심폐바이패스 시행 등의 교란 인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비해 Progenitor II의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L. acidophilus HY7008과 HY7001은 두 기기 모두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으나, L. acidophilus WEISBY와 NCFM은 Progeni-tor II에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Gene Pulser에서 전이균주를 얻어 두 electroporator간에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11. L. casei 102S에 pLZ12를 electroporation시 낮은 전압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좋았으며, 배양 시기를 달리하여 전이시켰을 때 대수생장 말기의 세포가 형질전환 효율이 좋았다. 12.

  • PDF

Central-Approach Surgical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with a Back-up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an Infant Presenting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 Kim, Tae Hoon;Shin, Yu Rim;Kim, Young Sam;Kim, Do Jung;Kim, Hyohyun;Shin, Hong Ju;Htut, Aung Thein;Park, Han 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6호
    • /
    • pp.407-410
    • /
    • 2015
  • A two-month-old infant presented with coarctation of the aorta,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moderate to severe mitral regurgitation. Through median sternotomy, the aortic arch was repaired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an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The patient was postoperatively supported with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five days. Left ventricular function gradually improved, eventually recovering with the concomitant regression of mitral regurgitation. Prompt surgical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is indicated for patients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 central approach for surgical repair with a back-up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for these patients.

Surgical Results of Third or More Cardiac Valve Operation

  • Sohn, Suk Ho;Hwang, Ho Young;Kim, Kyung-Hwan;Kim, Ki-Bong;Ahn, Hyu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25-32
    • /
    • 2015
  • Background: We evaluated operative outcomes after third or more cardiac operations for valvular heart disease, and analyzed whether pericardial coverage with artificial membrane is helpful for subsequent reoperation. Methods: From 2000 to 2012, 149 patients (male : female=70 : 79; mean age at operation, $57.0{\pm}11.3$ years) underwent their third to fifth operations for valvular heart disease. Early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underwent their third operation (n=114) and those who underwent fourth or fifth operation (n=35). Outcomes were also compared between 71 patients who had their pericardium open during the previous operation and 27 patients who had artificial membrane coverage. Results: Intraoperative adverse events occurred in 22 patients (14.8%). Right atrium (n=6) and innominate vein (n=5) were most frequently injured.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9.4%.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time ($225{\pm}77$ minutes vs. $287{\pm}134$ minutes, p=0.012) and the time required to prepare aortic cross clamp ($209{\pm}57$ minutes vs. $259{\pm}68$ minutes, p<0.001) increased as reoperations were repeated. However, intraoperative event rate (13.2% vs. 20.0%), in-hospital mortality (9.6% vs. 8.6%)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vious operations. Pericardial closure using artificial membrane at previous operation was not beneficial in reducing intraoperative events (25.9% vs. 18.3%) and shortening operation time preparing aortic cross clamp ($248{\pm}64$ minutes vs. $225{\pm}59$ minutes) as compared to no-closure. Conclusion: Clinical outcomes of the third or more operations for valvular heart disease were acceptable in terms of intraoperative adverse events and in-hospital mortality ra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intraoperative adverse events, early mortali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tween third cardiac operation and fourth or more.

좌심방혈전증을 동반한 승모판막질환의 임상적 고찰 (Left atrial thrombus in mitral valve disease)

  • 김원곤;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66-671
    • /
    • 1984
  • During a fire-year period from March 1979 to February 1984, 559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rheumatic mitral valve diseas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Left atrial thrombus was found at surgery in 74 of these patients, an incidence of 13.2%. This report outlines the surgical experience with these seventy-four patients. They were 32 men and 42 women, and their age ranged between 23 and 57 with mean of 42 years old. All except one had the findings of atrial fibrillation on the preoperative electrocardiogram. Ten [13.5%] had experienced embolic events before surgery. A history of one or more episodes of cardiac failure requiring digitalis and diuretics was noted in all patients Nineteen were associated with the aortic and/or tricuspid valve disease and closed mitral commissurotomy had been performed previously in four patients. The average cardiac index was 2.68L/min/M2 [1.59 to 3.47 L/min/M2] The mean systolic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57mmHg [26 to 120 mmHg]and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21.5 mmHg [12 to 40 mmHg]. There were no significant hemodynamic findings to suggest the presence of the left atrial thrombus. Operative mortality was acceptable with two early deaths [2.7%]. The follow-up of the hospital survivors has shown excellent functional status.

  • PDF

심장판막질환 환자에서 신경학적 이상을 야기한 유두상 섬유탄력종 (Papillary Fibroelastoma Causing Neurologic Symptoms in Patients with Valvular Heart Disease)

  • 강준규;이철주;김재영;홍준화;신준한;김장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48-951
    • /
    • 2001
  • 본 43세 여환은 심장판막질환으로 진단 받은 후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던 중 내원 전 심해진 호흡곤란으로 입원 치료중 신경학적 이상이 발생되어 중복판막협착 및 폐쇄부전증, 뇌동맥 색전증의 진단 하에 수술 시행하였다. 수술시 좌심실 배부와 승모판막륜 주변에 유두상의 조직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술후 신경학적 이상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고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류마치스성 판막소엽에 동반된 유두상 섬유탄력종이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에 잘 회복하였으며, 현재 외래에서 추적 관찰중이다.

  • PDF

심막의 영상 소견 (Noninvasive Imaging of Pericardium)

  • 이배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337-350
    • /
    • 2020
  • 심막 질환은 응급질환인 관상동맥, 대동맥 질환과 증상이 비슷하여 빠른 감별이 중요하다. 심막은 두겹으로 된 막으로서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와 질환이 있다. 크거나 비전형적인 위치를 보이는 심막의 오목(recess)은 이상 소견으로 오인될 수도 있다. 심막에는 감염이나 종양 같은 질환이 생기며 또한 주변에서 생기는 이러한 질환의 전파경로가 될 수 있다. 심막을 평가하는데 있어 심초음파가 일차적인 검사방법이나 해상도가 떨어지고 주변의 폐나 뼈에 의한 음창이 제한될 수 있으며 수술 후 평가가 힘든 경우가 많다. 이때 CT나 MR에 의한 영상평가가 유용한 경우가 많아 검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심막의 형태와 질환에 대한 지식 및 영상소견에 대한 이해는 환자 치료에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