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6초

Xiongnu Carpeting Traditions and Pattern Designs

  • Munkhtsetseg BAYANZUL
    • Acta Via Serica
    • /
    • 제8권1호
    • /
    • pp.71-86
    • /
    • 2023
  •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history of traditional Mongolian carpeting techniques and thei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archeological findings as well as related research from field researchers. Furthermore, the article highlights some of the ancient traditions in modern carpet decorative motifs and pattern designs. The paper focuses on traditional carpeting techniques, decoration motifs, pattern designs, and representations of embroidered felt carpets from Xiongnu Dynasty (209 BCE - 48 CE) elite burials. Main themes for this research are: 1. Traditional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making Xiongnu carpets. 2. Xiongnu embroidered felt carpet pattern designs, decoration motifs, and representations. 3. The development of modern Mongolian carpet decoration motifs and pattern designs. This research considers archeological evidence and socio-cultural factors together to hypothesize that traditional Xiongnu embroidered felt carpet techniques, main featured motifs, and pattern designs are widely used in modern Mongolian carpet design an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s development.

부여(扶餘) 능산리고분군(陵山里古墳群) 성격(性格)에 대한 재고(再考) (Revisiting of ancient tombs in Neungsan-ri, Buyeo)

  • 김규운;양숙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104-121
    • /
    • 2016
  •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몇 차례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전체적인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기왕의 조사자료에 대한 분석 자체도 부족하다. 따라서 능산리고분군이 어떻게 조사되었고, 보존되어 왔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능산리고분군을 새롭게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능산리고분군의 일련번호는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확실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부여해 왔다. 이는 당시 조사과정에서 일련번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검토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능산리고분군은 현재 정비되어 있는 7기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강점기에 서쪽부터 3+4+7+5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 (現)8호분의 성과를 더하면 적어도 20기로 구성된 고분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고분군의 경우, 현실의 규모, 고우야마키로 제작한 목관에 옻칠을 한 공정까지 중앙의 6기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면서 6기만을 왕릉군으로 설정해 온 기왕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현재 정비되어 있는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이미 정비가 완료되면서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하나도 표현하고 있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현실로 진입하는 입구시설, 호석을 덮어버리고 고대하게 과장된 봉분이 그러하고, 심지어 주위에 다른 고분들이 분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대로 된 지표조사 한번 없었던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능산리고분군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익산 쌍릉 소왕릉 봉분 토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조영과정 해석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Procedur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Soil Layers from Sowangneung (Small Royal Tomb) of Ssangneung (Twin Tombs) in Iksan, Korea)

  • 채준;박석태;조지현;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48-766
    • /
    • 2021
  • 익산 쌍릉은 대왕릉과 소왕릉을 포함하는 명칭으로 백제 사비기(538~660 AD)의 횡혈식석실묘이다. 소왕릉의 발굴과정에서 노출된 봉분 동측 토층은 하부로부터 기반층, 정지층, 백제시대 판축층, 도굴층 및 일제강점기 복토층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층준을 세분하여 시료를 확보하고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층의 입도분석 결과, 대체로 사양토의 토성을 보이며, 백제시대 판축토층에서는 양질사토가 성토되어 있고 그 위로 사양토가 판축의주를 이룬다. 백제층의 중앙부와 최상부에는 점토 함량이 많고 일정한 입도를 가진 양토를 사용하였다. 모든 토층은 층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유사한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을 보여 토양의 모재와 성인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X-선 회절분석으로 모든 층위에서 카올리나이트를 동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왕릉 봉분의 백제시대 판축토층은 유적 일대에서 조달한 고령토가 함유된 사양토로 성토하였으며, 중상부에 점성이 강한 양토를 사용하여 불투수층을 조성하고 봉분 최상부를 밀실하게 마감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시 전통문화공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 4대 고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Nationalized Plants in Traditional Cultural Spaces in Seoul - Focused on 4 Ancient Palaces and Jongmyo Shrine -)

  • 강민정;이고운;김신원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5-54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의 국가지정문화재이자 도심 속 전통문화공간인 4대궁(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고 귀화식물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분류군은 82과 201속 285종 1아종 29변종으로 총 31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덕수궁이 33분류군, 종묘가 14분류군, 경복궁이 21분류군, 창덕궁이 11분류군, 창경궁이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원산지 분석결과 북아메리카(nA)와 유럽(Eu) 그리고 유라시아(Eu-As)가 높은 분포율을 보였으며, 생활형 분석결과 목본류보다 초본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경복궁을 제외한 나머지 대상지는 다년생 비율보다 일년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도 분석결과 귀화도 3과 귀화도 5에 해당되는 귀화식물의 비율이 높았으며, 유입시기를 살펴보면 초기 정착종보다 최근 유입된 귀화식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지간의 유사도는 40% 이상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개 대상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귀화식물의 종다양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따라 문화유산 식재경관 조성 및 귀화식물 관리에 기초자료로서 그 목적이 있다.

삼국시대 속악가사(俗樂歌詞)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Contents development of Sokakgasa in Three Kingdom Period)

  • 김만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2호
    • /
    • pp.27-41
    • /
    • 2008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원형성, 창조성, 차별성, 상호작용성을 사이무어 체트먼(Seymour Chatman)의 서사구조와 담론의 형식에 적용하여 삼국시대 속악가사를 문화콘텐츠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의 속악가사는 현재 노래나 가사가 전하는 것은 거의 없고 대부분 그 유래에 대한 간단한 기록만이 전하고 있지만 오늘날 다양한 문화콘텐츠간의 상호작용성 속에서 독창적인 창조적 변형에 의해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개발이 가능하다.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소설 공연 영화 콘텐츠의 공통적인 속성은 모두 기본적으로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의 속성에 맞게 삼국시대 속악가사를 문화콘텐츠화하기 위해서 먼저 체트먼의 서사구조와 담론의 형식을 채택하여 속악가사의 서사구조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삼국시대 속악가사들 속에 문호콘텐츠 매체간의 상호작용성의 요소를 분석하였는데, 완결된 서사구조를 갖춘 작품들이 매체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서사구조가 빈약하더라도 그것이 갖고 있는 보편성이 높다면 충분히 문화콘텐츠화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특히 사례분석으로 제시된 백제 속악가사 <정읍>은 오늘날 음악 공연컨텐츠로 개발되었으나 본래의 작품이 갖고 있는 원형성을 전승하되 새로운 매체의 속성에 맞게 재창조함으로서 충분히 문화콘텐츠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체트먼의 서사구조와 담론의 형식에 적용하여 연구하는 시론적 단계의 연구로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분석방법론으로 자리매김되기를 기대한다.

중국정사(中國正史) 조선전(朝鮮傳)의 한국(韓國) 고대복식(古代服飾) - 관(冠)과 수발(修髮)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Through Official Chinese History - focusing on hat and hair style -)

  • 김진선;고부자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106-122
    • /
    • 2014
  • This study is based on the official Chines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n(中國正史朝鮮傳) clothing and ornaments, and also tries to discover, study, and adjust the system of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Ancient Korea has very poor official records of its clothing and ornaments. Therefore, this study had no choice but to rely on the official Chinese history to cover for the lack of resources. The official Chinese history documents are not only important for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but also important for studying about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This research selected historical documents about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from fifteen different Chinese dynasties' official documents, and then systematically classified the documents in order to compare them. All these processes confirmed the following subjects. In regards to the Kwan(冠: general hat), the hat types included Check, Byun(弁), Jeol-poong(折風), Jowoo-Kwan(鳥羽冠), So-gol(蘇骨), and Na-kwan(羅冠). These Kwan(冠) were influenced from Chinese clothing and ornaments. Gold and silver decorations on the Kwan(冠) were influenced from the Scythai culture. The feather decorations on the hat were residual of the bird worshiping culture or the hunting lifestyle. These things show that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originated the clothing and ornaments from the North. But the use of Jo-woo(bird feather) was common around the globe in many ways during the ancient times, regardless of area and period. The official Chinese history describes men's hair style as Choo-gyul (椎結) or sometimes pronounced, Choo-gyul(椎結). These seem to describe the topknot. Women had various types of hair styles such as Yu-byun-bal-su-hu (wear women's hair in a braid). The official Chinese history show that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originated the clothing and ornaments from the north.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influenced and were influenced by its neighboring countries.

An Observ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Aesthetics of Balinese 'Sacred Cloths'

  • Langi, Kezia-Clarissa;Park, Shinmi
    • 복식
    • /
    • 제67권3호
    • /
    • pp.99-114
    • /
    • 2017
  • The uniqueness of Bali is inseparable from its culture and religion. Embedded in the cultural environment, textile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Balinese life as it is used as a medium in sacred ceremonies. Balinese textiles are made and used under special conditions according to Hindu teaching.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aesthetics of Balinese sacred cloths that are seen in their techniques, colors, and patterns. Quantitative research included in this study is based on 261 images taken from literature review and Museums. Field research was done in eastern part of Bali. This paper has divided the era between ancient and modern times. The ancient era before the 20th century used textiles for religious purposes. Modern era started from the colonialization period by the Dutch in Bali during 1910-1942 added economic values to the textiles. The independence of Indonesia in 1945 created Balinese textiles as a unifying value as one of the identity of Indonesia. The techniques are classified as Weft Ikat, Double Ikat, weave with Supplementary Weft, and Prada. The colors of the ancient era are 'fixed' with the restriction of the colors red, black, and white. The colors of modern era are 'festive' with combination of yellow, green, blue, and purple.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are geometric, natural, human, and animal groups. Field research in this paper observes Klungkung Village that produces Endek and Songket cloths. The aesthetics of Endek cloth is 'royal statement' and Songket cloth is a 'cultural heritage.' Nusa Penida Island produces Cepuk cloths and is a 'protective guardian.' Satria sub-district produces Prada cloths and appears to be an 'opulence charm.' Lastly, Tenganan Village produces Geringsing cloth which possesses a 'legendary legacy.' To sum up, Balinese sacred cloth essence is a balance of tradition and modern.

황남대총(남분)의 서역계 유리제품 특성화 연구 (Characterization of Western Asia Glassware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Great Tomb)

  • 강형태;정영동;허우영;신용비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20회 발표논문집
    • /
    • pp.131-134
    • /
    • 2004
  • A lot of foreign objects(ceramics, pottery, bronze, glassware and coins, etc.) have been found in the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These foreign objects are the evidences of the cultural exchanges of that time, whose scale and rout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studies in ancient history. So it is crucial to accumulate basic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the raw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se objects through scientific researches, along with archeological researches. These scientific research materials provide a basis for finding the importing route and the origin of these objects. Besides, we can find out extraordinary and distinctive production technique by comparison with tile domestic objects. This article reports the result of an analysis, performing on 36 samples of the glassware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South Tomb of the Hwangnamdaechong, to verify their components and note peculiar features. We have analyzed the major and minor components of 10 elements, and then by using these data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components, varying with the origin and color of glassware. We used the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 the statistical method to classify the sample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samples formed groups.

  • PDF

고대 철기유물의 부식 생성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orrosion products of Ancient iron objects)

  • 강대일;륭보;송정민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6호
    • /
    • pp.59-111
    • /
    • 1995
  • Chemical composion and crystal form of Corrosion products found on archaeological iron objects were analyzed using X-ray fluorescence analysis, micro-X-ray powder diffraction analysis and ion chromatographic technique. The nature and behavior of the corrosion products were studied in order to aid i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urial iron objects. Twenty-two sampl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iron object found in Korea and Japan. The corrosion products of iron objects from burial mounds contain $\alpha$-FeOOH, $\beta$-FeOOH, $\gamma$-FeOOH, $Fe_3O_4$and amorphous iron hydroxides. The content of $\alpha$-HeOOH is the greatest. Because, Ageing for long period should change the amorphous iron hydroxides is considerably less than that in usual atmospheric corrosion products.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and sulfine is remarkably variable ($Cl^-$ : 100- 30,000ppm, $SO_4^-2$ : 20-10,000ppm),but the reasons are unclear. The presence of generally high concentrations of chlorine and sulfine the corrosion products of iron objects seem to be influenced by the marine climatic condition. The presence of high chlorine and sulfine concentrations in the corrosion products of iron objects seem to be influenced by the marine burial environments.

  • PDF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 이한형;박지희;홍종욱;한민수;서민석;허준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22-147
    • /
    • 2012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수리를 위한 조사과정에서 수습된 파편들로부터 과거에 사용된 채색안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1628년 중조(重造)된 이래 1720년부터 1976년까지 7차례의 중수개채(重修改彩)가 이뤄졌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의 시대별 사용안료를 연구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분석은 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에서 이탈된 파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SEM-EDX, XRD를 이용하여 시편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료의 구성성분과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파편들에서는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조직이 성긴 한지, 조직이 치밀한 한지, 견직물, 마직물 등 6종의 재료가 확인되었다. 이 중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은 소지부로 판단되며, 나머지 5종의 재료는 소조불의 중수개체 시 사용된 보수재료로 판단된다. 각 재료의 상 하부에 부착된 채색층에 대한 분석결과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재료들은 '소지부 ${\rightarrow}$ 조직이 성긴 한지 ${\rightarrow}$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rightarrow}$ 견직물 ${\rightarrow}$ 마직물 및 조직이 치밀한 한지'의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보수재료들에 적용된 안료와 소조불의 중수개채시기를 고려하면 조직이 성긴 한지는 1720~1891년, 섬유질을 다량 함유한 토층은 1926년, 견직물과 마직물은 각각 1941년과 1976년에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시대별 사용 안료의 특징을 살펴보면, 1891년 이전에는 백색과 녹색으로 연백과 염기성염화동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1926년 이후에는 화록청, 군청, 바륨화이트와 아연화 등이 등장하고, 1976년을 전후해서는 지당과 합분(패각분)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소조상에 적용된 시대별 안료에 대한 추론 결과는 향후 사찰벽화나 단청 등의 근대 안료연구에 비교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