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horage Capacity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2초

정박지 용량지수를 활용한 대기정박지 수요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of Waiting Anchorage using Anchorage Capacity Index)

  • 권승철;유용웅;박준모;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19-526
    • /
    • 2019
  • 본 연구는 대기정박지의 신설 및 조정이 필요한 항만을 위해 정박지의 적정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진해만 내 항만과 부산에 적용하여 국내 주요 항만의 정박지 용량과 비교 분석하여 적용에 무리가 없는지 검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의 총톤수 용량과 동시 정박 가능 용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정박지 용량지수를 계산하여 대상항만을 위한 적정 정박지 용량을 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그 결과 진해만 내 항만의 정박지 용량지수는 0.89로 산출되었으며, 대기정박지 신설을 위한 적정 정박지 용량지수는 6.0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박지 용량지수의 개념을 정박지 설계 기준으로 반영할 경우 정박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 정박지 안전성 및 항만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Capacity of Waiting Anchorage Design according to the Port Operation Method - Focusing on Busan New Port -

  • Park, Jun-mo;Yang, Hyoung-Seon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1-25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n effective port operation method in terms of the design capacity of waiting anchorage by comparing the ratio and the number of waiting anchorage according to the port operation method of Busan New Port. For this, the Arena simulation program compared the rates of waiting vessel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multi-user terminal, liner terminal and hybrid liner terminal operation methods. As a result, analysis suggested the necessary anchorage space can be reduced to about 18 % when using the multi-user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about 15.6 % when using the hybrid liner terminal operation method, as compared with the liner terminal operation method. Specifically, it was effective to apply the multi-user terminal operation method in terms of the anchorage capacity to be designated to Busan New Port. This study can apply to the designation of the new anchorage in the Busan New Port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design of the anchorage in accordance with the port operation method.

정박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세칙 개정방안 (A Study on the Revision of Regulations for Effective Operation of Anchorage)

  • 윤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8-404
    • /
    • 2014
  • 우리나라 주요 항만에 규정되어 있는 정박지와 관련한 운영 세칙은 항만마다 정박지 운영 기준이나 정박지 선박수용능력에 대한 단위가 단일화 되어있지 않으며, 동일한 사안에 대해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박지를 운영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당사자들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항만의 정박지 운영 세칙을 검토하여 세칙명, 단위 및 용어의 단일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정박지 운영상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국 주요 항만의 정박지 현황 검토를 통하여 향후 세칙 개정시 정박지 명칭 부여 원칙,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단위 및 정박지의 수용가능한 선박 척수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탄소섬유쉬트의 정착 보강방법이 RC보의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chorage Type of CFS on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 신성우;반병렬;이광수;조인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202-208
    • /
    • 1998
  • To investigae the effect of anchorage type of carbon fiber sheet (CFS) on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the loading test of RC beams reinforced with CFS was conducted in variable of anchorage Type such as bolting anchorage and U type anchorage using CF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It is confirmed experimentally that the bolting anchorage and U type anchorage with CFS is very effective to delay the bond failure and prevent the peeling of CFS. Also, the anchorage type applied with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ductility compared with the improving of maximum flexural strength of RC beams. It is believed that the anchorage type used this study must secure the ductile capacity of above 3 for the flexural strengthening of RC beams.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obtain the data about anchorage type of CFS for utilization of field work as well as investigate the ductile capacity of conventional study of anchorage type

  • PD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tensile capacity of composite cable-girder anchorage joint

  • Xuefei Shi;Yuzhuo Zhong;Haiying Ma;Ke Hu;Zhiquan Liu;Cheng Zen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9권2호
    • /
    • pp.215-230
    • /
    • 2023
  • Cable-girder anchorage joint is the critical part of cable-supported bridges. Tensile-plate anchorage (TPA)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ypes of cable-girder anchorage joints in steel girder cable-supported bridges. In recent years, it has been proposed by bridge designers to apply TPA to concrete girder cable-supported bridges to form composite cable-girder anchorage joint (CCGAJ). In this paper,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CCGAJ under tensile force is studied through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es. Firstly, the effects of the external prestressing (EP) and the bearing plate (BP)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CCGAJ were investigated through three tests. Then, finite element model was established for parametrical study, and was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Then, the effects of shear connector forms, EP, BP, vertical rebar rate, and perforated rebar rate on the tensile capacity of CCGAJ were investigated through numerical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nsile capacity of CCGAJ depends on the first row of PR. The failure mode of CCGAJ using headed stud connectors is to form a shear failure surface at the end of the studs while the failure mode using PBLs is similar to the bending of a deep girder. Finally, based on the strut-and-tie model (STM), a calculation method for CCGAJ tensile capacity was proposed, which has a high accuracy and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tensile capacity of CCGAJ.

여수·광양항 정박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Yeosu·Kwangyang Port)

  • 이홍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5
    • /
    • 2017
  • 항만의 교통량 증가 및 입항선박의 대형화는 기존 항만시설의 재배치 및 신규확충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역시설 중 하나인 정박지와 관련하여 현 여수 광양항에 지정된 정박지가 타 수역시설 등과 조화롭게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최근 5년간 각 정박지의 연도별 투묘선박 척수, 연도별 총 투묘시간, 평균 동시정박 척수, 최대 동시정박 척수, 최대크기 정박선박 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정박지의 지정된 선박수용능력에 상응하는 최소 선회반경을 계산한 결과, 일부 정박지는 인근의 항로를 침범하거나 인접한 정박지 간 선회반경이 서로 겹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박지 규모 적합성 여부 분석 결과, 여수항 및 광양항에 배치된 정박지에 대하여 여수항 2 정박지의 이동, 광양항 1~5 정박지를 집단정박지로 확장, 광양항 8~9 정박지의 이동 및 광양항 11 정박지 폐지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총톤수 중심으로 지정된 국내 항만시설의 선박수용능력 산정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수역시설 중 정박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hip Capacity Standard of Korean Harbour Facilities based on the Gross Tonnage - Focused on Anchorage among Water Facilities -)

  • 이홍훈;이창현;권유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2-82
    • /
    • 2022
  • 항만에 배치되는 수역시설 중 정박지는 대상 선박이 주묘되지 않고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면적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면적의 계산 시에는 대상 선박의 전장, 수심, 저질 등의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국내 각 항만의 항만시설운영세칙(혹은 규정)에는 정박지의 선박수용능력 기준으로 총톤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톤수 단위의 정박지 선박수용능력기준을 선박의 전장으로 변환하여 실제 대상 선박의 투묘 중 선회 반경을 계산한 결과, 분석 대상 90개의 정박지 중 25개의 정박지(27.8%)에서 선회 반경이 지정된 수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각 항만의 항만시설운영세칙(혹은 규정) 상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기준을 전장으로 개정하고, 관련 해사 법령의 해당 조항 개정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울산항 정박지 가동률 분석을 통한 적정 정박지 규모 제안에 관한 연구 (The Proper Capacity of Anchorage in Ulsan Port with Reference to the Anchorage Operating Rate)

  • 박준모;윤귀호;전해동;공길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0-388
    • /
    • 2016
  • 본 연구는 울산항의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현재 뿐만 아니라 항만개발에 따른 미래의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울산항의 정박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정박지 가동률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가동률 개념을 울산항의 2014년 정박지에 적용하여 가동률을 계산한 결과 모든 정박지에서 가동률이 100 %를 넘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어, 추가 정박지 지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울산항의 2020년 가동률을 추정한 결과 E1정박지가 168.3 %로 가장 높았으며, E3정박지가 131.1 %, E2정박지가 118.5 %, 그리고 M정박지가 108.7 %인 것으로 계산되어, 2020년에는 정박지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울산항의 항만개발에 따른 정박지 가동률을 100 %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E1정박지는 11척, E2정박지는 1척, E3정박지는 2척, M정박지는 1척이 추가적으로 정박할 수 있는 수역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콘크리트 구조체 매입 철근의 직경 및 유형별 앵커력 측정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chorage Capacity by Diameter and Anchor Type of Re-bar)

  • 조성열;손기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7-73
    • /
    • 2014
  •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tower crane should be installed in a field without appropriate anchorage to cause a collapse of crane. The anchorage capacity can be varied with Anchor length, concrete strength, anchor diameter, hooked or non hooked these variables will be made and tested in the study. It is shown what anchorage capacity will be more effective case by case. Hooked and non-hooked rebar anchor concrete weight with dia 22mm rebar are shown with initial displacement at 170~220KN of hooked case and 200~210KN of non-hooked one which are linearly increased, without any ductility behavior with almost brittleness. Three(3) same test pieces are almost similarly behaviored without relation to hooked or non-hooked cases. It is found out that the bigger diameter of rebar becomes, the more resistant capacity could be made, but conversely ductility against sudden collapse similar to brittleness becomes the more insufficient. It is also found out that dia 16mm rebar could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heavy support weight at construction sites.

Prediction of ultimate moment anchorage capacity of concrete filled steel box footing

  • Bashir, Muhammad Aun;Furuuchi, Hitoshi;Ueda, Tamon;Bashir, M. Nauma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5권6호
    • /
    • pp.645-65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edict the moment anchorage capacity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box (CFSB) as footing by using the 3D finite element program CAMUI developed by authors' laboratory. The steel box is filled with concrete and 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column is inserted in the box. Numerical simulation of the experimental specimens was carried out after introducing the new constitutive model for post peak behavior of concrete in compression under confinement. The experimental program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results by the FE program. The simulated peak loads agree reasonably with the experimental ones and was controlled by concrete crushing near the column.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the FEM simulation,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on the moment anchorage capacity of concrete filled steel box footing were clarified by conducting numerically parametric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