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tical results

Search Result 8,82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고엔탈피 열유동 발생용 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즈마 토치의 최적 설계변수 해석 (Optimum design analysis of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torch for high enthalpy thermal plasma flow)

  • 서준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6-329
    • /
    • 2012
  • 초음속 플라즈마 풍동 등, 항공우주 응용을 위한 고순도, 고엔탈피 열유동 발생 장치로서 널리 쓰이고 있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토치에 대해, 전기회로 이론과 결합된 해석적 및 수치해석적 자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토치 설계변수(주파수 $f$, 가둠관 반지름 $R$ 및 코일 감은수 $N$)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수(등가 저항, 등가 인덕턴스 및 결합효율)의 거동을 추적함으로써 최적 설계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 등가저항은 $f$, $R$$N$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반면, 등가 인덕턴스는 $f$가 증가할수록 작아지지만 $R$$N$의 증가에 대해서는 커지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로부터, 10 kW 급 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즈마 토치의 경우, 결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최적의 주파수, 가둠관 반지름 및 코일 감은수의 범위를 각각 $f$=4~6 MHz, $R$=17~25 mm 및 $N$=3~4 로 추정하였다.

불완전한 환경세 사용에 따른 잠재적 후생 손실 (Potential Welfare Loss from Using Imperfect Environmental Taxes)

  • 홍인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3
    • /
    • 2015
  • 지난 30년간 환경세나 배출권과 같은 경제적 정책도구들이 환경정책의 영역에서 꾸준 히 각광을 받아왔다. 경제적 환경정책도구들은 저마다 특성이 다르고, 각국 정책당국이 직면한 환경문제의 구조적 제도적 배경이 상이하기 때문에, 교과서적인 의미에서의 피구세(배출세)와 같은 정책도구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오히려 산출물이나 소비 등에 부과하는 환경 관련 조세를 부과함으로써 피구세 사용에 수반되는 한계와 어려움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즉, 피구세(배출세)를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이미 상당한 후생손실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개발도상국들에서는 구조적 제도적 제약들이 선진국에 비해서 더 많고 크기 때문에, 제대로 된 피구세(배출세)를 사용하지 못함에 따라 입는 후생손실이 훨씬 커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 이론적인 일반균형모형을 통해 노동에 대한 과세가 존재하는 차선의 상황에서, 피구세 및 산출세 수준을 최선과 차선의 경우에 계산하고, 각종 구조적 제도적 제약을 모형 내의 파라미터로 표현한 사회후생 수식을 통해 도출해낸다. 그리고 피구세에 대한 불완전하지만 현실적인 대안으로 산출세를 이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려 하는 경우, 후생증진의 차이가 얼마나 벌어지는지 살펴본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예를 들어, 환경 차원에서 불완전한 산출세를 사용함으로써 겪는 후생손실이 개도국의 경우 산업국가에 비해서 무려 6배나 벌어질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여준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적응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hygiene students'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on their self-efficacy and majo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 정기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7-178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of the students in dental-hygiene practice classes on their self-efficacy and on their 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dental-hygiene students in schools located in the Daegu region on October 24-31, 2011. A total of 212 accomplished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as sources of final analytical dat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 1. The students who had good personal relationships(p=.000) and who chose their major and school based on their aptitude(p=.029) were found to have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have good personal relationships and who did not choose their major and school based on their aptitude. 2. Self-confidence(p=.004), self-control efficacy(p=.000), mastery approach(p=.000), and performance approach(p=.003)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jor adaptation while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0)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ame. 3. Self-confidence(p=.004), self-control efficacy(p=.000), mastery approach(p=.000), and performance approach(p=.045)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while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0)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ame. 4. Mastery approach(p=.000) i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while mastery avoidance(p=.001)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me. Mastery avoidance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self-confidence(p=.000) while mastery approach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self-control efficacy(p=.000)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0). 5. I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mastery approach(p=.000)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ajor adaptation while mastery avoida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me. Meanwhile, with regard to self-efficacy, self-control efficacy(p=.037)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8)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major adaptation. 6. In the case of major satisfaction, mastery approach(p=.000) i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t, and in self-efficacy, self-control efficacy(p=.038)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2)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t. Conclusions : Accordingly, to raise the level of the dental-hygiene students' 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 students should be given appropriate tasks so that they can raise their mastery goal, and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raise their approach goal rather than their avoidance goal. In addition,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assistance in setting self-expectations and in developing confidence in their capabilities.

pH에 따른 캐올리나이트 합성과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the Kaolinit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H.)

  • 류경원;장영남;배인국;서용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2호
    • /
    • pp.165-172
    • /
    • 2008
  • 비정질 $SiO_2$$Al(OH)_3$를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250$^{\circ}C$, $30kg/cm^2$의 조건에서 pH를 2${\sim}$9까지 변화시키면서 캐올리나이트를 수열합성하였다. 합성 캐올리나이트는 XRD, FT-IR, TG, DTA, 및 FE-SEM을 사용하여 광물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캐올리나이트 합성시 pH의 변화에 따른 영향력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산성조건에서 중-저 결함도와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갖는 양호한 캐올리나이트가 합성되었으며, 알카리성 조건에서는 결함이 많은 캐올리나이트가 합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합성 캐올리나이트의 표면특성이 pH에 의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FT-IR 분석결과, 반응용액의 알칼리도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 캐올리나이트의 피크 강도와 분해도가 감소되었으며, TG-DTA 분석결과, 60-70$^{\circ}C$의 저온영역에서의 탈수현상에 의한 피크 강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H의 증가에 따라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비정질 물질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FE-SEM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액-액 추출과 아세틸화 후 GC-MS를 이용한 물 중 phenol의 분석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henol in Water Using GC-MS after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cetylation)

  • 박선영;김윤정;정성진;김희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3-66
    • /
    • 2017
  •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은 phenyl acetate 유도체를 만든 후 추출-정제-농축 단계로 분석하는 기존 phenol 분석 방법의 '추가적인 정제 과정 필요' 및 '많은 양의 유해 용매 사용'이라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이 방법은 phenol을 물로부터 액-액 추출한 후 생성한 phenyl acetate 유도체를 소량의 용매로 추출한 후 바로 GC-MS에 주입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방법은 기존 방법과 유사한 수준의 반복성, 회수율, 직선성 및 방법검출한계를 나타내었고, 분석 과정이 기존에 비해 더 간단하여 물 중의 phenol 및 페놀류 화합물를 분석하는 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한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단층핵 내 각력의 배열 형태 및 함량에 따른 탄성계수의 비교·분석 (Comparative Numerical Analysis of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Distribution and Content of Breccia in Fault Core)

  • 윤현석;송규진;문성우;김창용;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25권3호
    • /
    • pp.387-393
    • /
    • 2015
  • 단층핵 내에는 지각의 마찰에 기인한 암석의 파쇄 및 풍화 변질 작용 등으로 단층각력이 분포하며, 이러한 각력은 단층 운동 시 지각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단층핵 내에 분포하는 각력의 배열형태 및 함량이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통해 탄성계수를 산정하였다. 해석모델은 단층핵 내에서 각력이 선택 배향하는 모델과 무작위 분포하는 모델로 구분되며, 각력의 종류는 화강암과 셰일, 그리고 각력 함량은 10 wt%, 20 wt%, 30 wt%로 구분된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변형률의 차이는 0.1~1.1% 범위 내, 그리고 탄성계수는 0.02~0.4 MPa 범위 내에 분포하여 각력의 배열에 따른 탄성계수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경재배 들깻잎의 수확량에 미치는 미량금속 이온 효과 (Small Metal Ion Effect on The Harvest of Perilla Leaves in Aquiculture)

  • 배계선;성대동;정대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02-710
    • /
    • 1998
  • 유기물질과 무기염류가 들깨의 성장과 채엽수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경재배 시료용액을 만들어 일정시간 유속으로 흘러 보내면서 들깨를 재배하였다. KNO$_3$와 NH$_4$ H$_2$ PO$_4$의 농도가 각각 270ppm 이하와 152ppm 이하의 용액에서는 발육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발육초기의 초장의 형성에는 $Ca^{2+}$, $K^+,NH^{4+},Mn^{2+},Zn^{2+},Cu^{2+},Na^+,Mo^{+6}$ 이온 등의 결핍은 중간단계의 발육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엽장 및 엽폭의 성장과 발육에도 $Ca^{2+}, K^+, NH^{4+}, NO_3^-, H_2PO_4^-$ 이온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수경재배한 들깻잎의 분광학적 금속이온 함량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6월 7일과 6월 12일 사이 6일간의 성장기간에 채취한 들깻잎 속에 $Mg^{2+}$ 이온이 많이 축적될수록 성장속도가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들깻잎의 조단백질과 조지질 및 탄수화물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무기염류가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안정한 단백질과 지방으로 들깻잎에 축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근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사초의 성분추정 (Prediction on the Quality of Forage Crop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효원;김종덕;김원호;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36
    • /
    • 2009
  • 본 연구는 청예용 사초의 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수행하였다. 근적외선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사초의 분석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7년에 거쳐 생산된 각종 사초 258점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즉 시료는 조단백질, 조섬유, NDF, ADF 그리고 건물소화율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NIR System으로 $400{\sim}2,400nm$ 사이의 파장을 얻었다. 그리고 파장과 습식분석치를 이용하여 중회귀식을 만들고 이것을 사용하여 미지의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근적외선 분석법의 중요한 지표인 결정계수 $r^2$와 표준오차이며 본 실험의 결과 검증식의 $r^2$는 CP(crude protein), CF(crude fiber), ADF (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 그리고 IVTD(in vitro true digestibility)에서 각 각 0.70, 0.86, 0.94, 0.94 그리고 0.89였다. 검량식은 그 값이 0.47, 0.39, 0.89, 0.90 그리고 0.61이었다. 본 실험 결과 근적외선분광법에 의한 청예사료 질평가가 가능하며 특히 조섬유, ADF 그리고 진정인비트로 소화율 (IVTD)에서 유효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료는 한국사초의 대표성을 갖는 것을 수집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시료를 추가하면 모든 사초를 분석할 강고한 검량식이 작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산지방목지 목초시료 화학적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dicting Chemical Composition of Permanent Pastures in Hilly Grazing Area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 박형수;이효진;이효원;고한종;정종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4-160
    • /
    • 2017
  • 본 연구는 산지방목초지에서 채취한 목초 및 야초 혼합시료의 화학조성분석의 근적외선분광법 이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충남 서산의 한우개량사업소의 방목초지에서 2년간 386점의 목야초 혼합시료를 수집하였다. 재료를 이용하여 파장을 수집한 후 파장이 동일한 시료를 제외한 163점에 대해 습식분석을 하였다. 최적의 검량식 유도를 위하여 파장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전대역을 사용한 것 그리고 가시광선대역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T값을 2.5 및 1.5를 적용하여 최상의 검량식을 구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근적외선 대역의 파장을 사용한 것이 검량식 결정계수값이 높았고 또한 검증식 역시 같은 경향이었다. T값은 습식분석치와 NIRS 예측치의 차가 더 적은 1.5를 적응하였을 때 검량 및 검증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량식의 $R^2$치는 0.48~0.93 사이 그리고 검증식은 0.35~0.88 사이였다. 조단백질, 조섬유, NDF에서 보다 만족스런 예측이 가능하였다.

설계구속인자를 고려한 자갈하상 하천의 안정하도 설계 (Stable Channel Design for the Gravel-bed River Considering Design Constraints)

  • 지운;장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860-2867
    • /
    • 2015
  • 안정하도 설계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설계 단면에서 발생하는 유사량이 같아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하도의 하폭, 수심, 경사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하도를 설계할 때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단면 발생 유사량 계산을 위한 공식의 선정이다. 특히 자갈로 구성된 하상의 유사량을 산정할 경우 모래 하천을 기준으로 개발된 유사이송공식을 활용하게 되면 산정 값에서 큰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갈하상에 적용가능 한 유사이송공식을 기존의 안정하도 설계 프로그램에 추가하여 자갈하천 안정하도 단면을 계산하였으며, 특히 설계구속인자가 존재할 경우에 대해 해석적 방법을 적용하여 안정하도 단면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하폭의 변화가 제한된 조건의 경우 가장 얕은 수심을 제시한 공식은 Ackers and White 공식이었으며, 자갈하상 공식인 Meyer-Peter and $M\ddot{u}ller$ 공식의 경우 실제 하천 수심 2.4 m에 비해 0.8 m 깊은 수심이 발생하였다. 수심의 변화가 제한된 조건에서는 Engelund and Hansen 공식이 실제 하폭에 비해 약 2배 큰 하폭을 제시하였으며, Meyer-Peter and $M\ddot{u}ller$ 공식의 경우 실제 하천 하폭 44 m 보다 약 20 m 큰 하폭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