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nthas heteropodu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Occurrence of Earthworm in Agro-ecosystem)

  • 홍용;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88-93
    • /
    • 2007
  • 2006년 5월부터 10월까지 국내 농생태계 49지점에서 탐색 수집된 지렁이는 3과 5속 15종 1,846 개체이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Amynthas agrestis 20.9%, Amynthas koreanus 20.3%, Amynthas heteropodus 15.4%, Amynthas sp. 8.7%, Drawida japonica 8.0%, Eisenia fetida 7.2%, Amynthas hilgendorfi 7.0%, Bimastos parvus 3.2%, Amynthas hupeiensis 2.5%, Aporrectodea caliginosa 1.8%, Amynthas corticis 1.8%, Aporrectodea tuberculata 1.3%, Eisenia andrei 1.2%, Amynthas sp.20.4%, Amynthas sp. 1 0.3%이다. 종 조성 비율을 보면 이와 같이 왕지렁이속, A. agrestis, A. koreanus, A. heteropodus 3종이 차지하는 개체수는 1,046개체로 전체의 약 56.7%를 차지하는 우리나라 농생태계의 우점종 이다. 성숙 개체와 미성숙 개체의 비율은 1.25:1로 성숙된 개체가 더 많이 출현하였다. Amynthas sp. 1, Amynthas sp. 2는 본 조사를 통하여 처음으로 확인되는 신종 후보로, 여러 외부형질, 특히 malepore의 형태가 지금가지 국내에서 기록된 다른 왕지렁이속에 속하는 종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선유도 농생태계 지렁이상 (The Earthworm Composition in Agroecosystem of Sunyu Island, Korea)

  • 홍용;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35-139
    • /
    • 2009
  • 2007년 8월과 10월 동안 서해안 선유도의 농생태계 작물재배지역 15지점에서 조사 채집된 지렁이는 3과 4속 12종 1,025개체이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Amynthas heteropodus 29.7%, Aporrectodea tuberculata 22.6%, Aporrectodea caliginosa 19.5%, Drawida japonica 11.3%, Amynthas agrestis 5.0%, Amynthas hupeiensis 3.6%, Aporrectodea sp. 3.5%, Amynthas corticis 2.0%, Bimastos parvus 1.6%, Amynthas koreanus 0.8%, Amynthas hilgendorfi 0.2%, Amynthas sp. 0.2%이다. 종 조성 비율을 보면 A. heteropodus와 A. tuberculata 2종이 차지하는 개체수는 537개체로 전체의 52.4%를 차지하여 선유도 농생태계 작물재배지의 우점종이다. 미성숙개체와 성숙개체의 비율은 1.1:1로 미성숙개체가 조금 더 많이 채집되었다.

뽕나무 경작지의 남방계지렁이 분포 (Distribution of Southern Earthworm Race in Mulberry Tree Cultivation Area)

  • 홍용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63-269
    • /
    • 2014
  • 농생태계의 뽕나무 경작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지렁이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3년 4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조사를 하였다. 분류된 남방계지렁이는 총 5속 9종으로 다음과 같다. Aporrectodea caliginosa (Savigny, 1826), Bimastos parvus (Eisen, 1874), Eisenia fetida (Savigny, 1826), Drawida japonica (Michaelsen, 1892), Amynthas heteropodus (Goto & Hatai, 1898), Amynthas agrestis (Goto & Hatai, 1899), Amynthas corticis (Kinberg, 1867), Amynthas hilgendorfi (Michaelsen, 1895), Amynthas sp. 등이다. 장미줄지렁이 (Ap. caliginosa) 개체군 밀도 소장은 10월에 정점을 보이고 다음해 2월까지 감소하고, 성체와 미성체는 동시에 출현하며, 그들의 조성 비율은 성체 11.4%, 준성체 12.6 11%, 미성체 76% 이었다.

농생태계 지렁이 생물지표종 선발 (Selection of Earthworm for Bioindicators in Agroecosystem)

  • 김태흥;홍용;최낙중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40-47
    • /
    • 2009
  • 농생태계 시설 재배지와 과수원에서 서식하고 있는 지렁이상을 확인하였는데 채집된 지렁이는 시설 재배지에서 3과 5속 11종, 과수원에서 채집된 지렁이는 3과 4속 12종으로 다음과 같다 공통적으로 채집된 종은 Aporrectodea tuberculata, Eisenia fetida, Eisenia andrei, Amynthas hupeiensis, Amynthas heteropodus, Amynthas koreanus, Amynthas agrestis, Amynthas hilgendorfi, Amynthas sp., Drawida japonica이다. 시설 재배지에서만 채집된 종은 Bimastos parvus이고, 과수원에서만 채집된 종은 Aporrectodea caliginosa, Amynthas corticis이다. 조사지역내 토양의 물리적 환경에서 유기물 함량은 시설 재배지에서 많은 편차를 보였으나 과수원에서는 비교적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경작 단계 별에서 채집된 종수와 개체수는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무능약과 유기농단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국적인 농생태계 지렁이 개체군 조사에서 우점군으로 밝혀진 Amynthas agrestis보다 두 지역 모두 Amynthas heteropodus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는데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한 재배지보다 사용하지 않은 재배지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 Amynthas heteropodus가 작물재배지의 농생태계 생물지표 후보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비교적 이 종은 외부 형태적 형질로 안정되게 나타난다.

Ribosomal DNA ITS 유전자를 이용한 왕지렁이(빈모강: 지렁이과) 그룹의 계통분류 (Molecular Phylogeny of the Amynthas-complex (Oligochaeta: Megascolecidae) Inferred from ITS Nucleotide Sequences)

  • 홍용;;황의욱;이보은;박순철;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49-355
    • /
    • 2007
  • 지렁이과 (family Megascolecidae) 왕지렁이속 (genus Amynthas) 그룹을 rDNA ITS 유전자를 이용하여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과 10속에서 26종의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간 계통적 유연관계를 MP (Maximum Parsimony), NJ (Neighbor Joining), QP (Quartet Puzzling)로 계통도를 작성하였다. 염기서열이 확보된 Megascolecidae (지렁이과)의 국내외 26종에 대한 계통 분석은 위 3개의 알고리즘 모두 동일한 5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mynthas 속은 크게 한국산 그룹과 필리핀산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그룹, Amynthas jirensis, A. agrestis, A. gucheonensis, A. sopaikensis, A. bubonis, A. multimaculatus, A. koreanus, A. dageletensis, A. heteropodus, A. odaesanensis, Pontoscolex sp., Pheretima sp. 1와 다른 그룹, Dendropheretima banahawensis. Amynthas halconensis, A. isarogensis, A. mindrooensis, Pithemera sp. 2, Pithmera sp. 1, and Pleionogaster sp.이다. 이는 ITS 유전자가 속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보다 동일한 속이라 하더라도 지리적 차이에 따른 환경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즉 형태적 분화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유전적으로는 동질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형태적 특징에 의한 명백한 차이는 구분되지 않았다.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골프장의 지렁이 샘플링과 종류 조사 (Sampling of Earthworm Using Tea Tree (Camellia sinensis) Extract and Occurrence of Earthworm in Turfgrass of Golf Courses)

  • 하종원;홍용;이상명;추호렬;김진호;이동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1-198
    • /
    • 2010
  • 골프장 잔디에서 효과적으로 지렁이를 추출하는 방법과 골프장의 잔디에 서식하는 지렁이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차나무추출물이 mustard oil이나 formalin에 비하여 붉은줄지렁이(Eisenia andrei)의 추출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차나무추출물 1000배 처리가 (4 L/m2)가 500배와 2000배 처리에 비하여 효과가 높았다. 토양 내 서식 깊이가 얕을수록 추출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차나무추출물 처리 후 추가적인 관수는 추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우리나라 10개 골프장에는 4속 8종의 지렁이가 분포하고 있었다. 그 중 변이성지렁이(Amynthas heteropodus)가 6개 골프장에서 147개체가 채집되어 우점종이었으며 염주위지렁이(Drawida japonica)가 3개 골프장에서 13개체가 채집되었고, 외무늬지렁이(A. hilgendorfi)와 똥지렁이(A. hupeiensis)가 2개 골프장에서 채집되었다. 차나무추출물로는 똥지렁이가 탈출되지 않았다.

Ulleung-do earthworms - Dagelet Island revisited

  • Blakemore, Robert 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55-68
    • /
    • 2013
  • Previous surveys on Ulleung-do (Dagelet Isl.) found just ten earthworm taxa while the current survey unearthed a dozen species. Placement of parthenogenetic 'tube' Amynthas dageletensis Hong & Kim, 2005 is resolved as it clearly belongs in synonymy of Metaphire soulensis (Kobayashi, 1938) which becomes a new Ulleung-do record. Other new megascolecids are recorded since Amynthas heteropodus (Goto & Hatai, 1898) and A. baemsagolensis Hong & James, 2001 are confirmed as synonyms of A. corticis (Kinberg, 1867) and A. carnosus (Goto & Hatai, 1899), respectively. The latter taxon is differentiated and its synonym A. pingi (Stephenson, 1925) provisionally revived. New lumbricids are Bimastos parvus (Eisen, 1874), Eisenia japonica (Michaelsen, 1892) and questionably Dendrodrilus rubidus (Savigny, 1826). All confirmed species are common exotics with no endemics. Drawida moniligastrids were not yet located on this remote island for reasons unknown.

Megascolex (Perichaeta) diffringens Baird, 1869 and Pheretima pingi Stephenson, 1925 types compared to the Amynthas corticis (Kinberg, 1867) and A. carnosus (Goto & Hatai, 1899) species-groups (Oligochaeta: Megadrilacea: Megascolecidae)

  • Blakemore, Robert 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99-126
    • /
    • 2013
  • Amynthas diffringens (Baird, 1869) is deemed valid yet comparable to A. corticis (Kinberg, 1867) and to A. nipponicus (Beddard, 1893) or A. peregrinus (Fletcher, 1896). Its syntypes tend to more genital markings than usual as shown for variable specimens from Japan, Korea, and Australasia that comply genetically with either of two A. corticis spp. groups. A. diffringens type-locality was UK hothouses yet closest specimens appear in part of A. heteropodus (Goto & Hatai, 1899) (=A. corticis) from Japan. Japanese Amynthas divergens (Michaelsen, 1892) is restored based on its serrate intestinal caeca. Meanwhile, the lectotype of Amynthas pingi (Stephenson, 1925) is deemed a synonym of A. carnosus (Goto & Hatai, 1899) compliant with Kobayashi's (1936) types III & II. Erstwhile A. pingi synonym A. fornicatus (Gates, 1925) is again included, but A. hongkongensis (Michaelsen, 1910) and A. chungkingensis (Chen, 1936) are provisionally retained whilst A. carnosa lichuanensis Wang & Qiu, 2005 is given separate species status. A new Korean taxon is proposed as A. carnosus naribunji sub-sp. nov. and two replacement names are provided: A. zhuya nom. nov. for homonym A. montanus Qiu & Sun, 2012 from Hainan and A. yizhou for A. carnosus sensu Shen et al., 2005 from Taiwan. No attempt is made to fully resolve numerous Japanese synonyms of A. carnosus [eg Ishizuka's (2001) invista, subterranea, subalpina, umbrosa, mutabilis, nubicola, plus A. nonmonticolus Blakemore, 2010] nor Korean synonyms [eg kyamikia Kobayashi, 1934, monstrifera Kobayashi, 1936 and murayamai Kobayashi, 1938, sangyeoli, youngtai (with segments miscounted), kimhaeiensis, sinsiensis and baemsagolensis - all names by Hong & James (2001) plus ?A. sangumburi Hong & Kim, 2002 (its segments miscounted too)] also A. fuscus Qiu & Sun, 2012 from Hainan and Taiwanese monsoonus James et al., 2005 plus A. penpuensis Shen et al., 2003 and A. taiwumontis Shen et al., 2013 syns. nov.. All synonyms remain in the currently defined A. carnosus pending full revisons although several may eventually comply with parts of prior A. corticis s. lato.

우리나라 골프장의 지렁이 종 다양성 및 계절별 군집 구조 (Earthworm Composition and Seasonal Population Structure in Different Korean Golf Courses)

  • 신종창;홍용;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55-164
    • /
    • 2016
  • 지렁이는 농생태계의 주요 지표생물의 하나이다. 지렁이는 토양생태계 내에서 유용한 생물이지만 골프장에서는 잔디 위로 배출하는 분변토로 인하여 잔디의 균일성과 경기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지렁이의 종 다양성이나 계절적 밀도변화에 대한 연구는 수행 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프장 잔디에서 지렁이의 종조성과 계절적 밀도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개 골프장에서 봄과 가을철에 직접 조사법과 티사포닌 관주처리법으로 지렁이 종류를 조사한 결과 3과 6종(Aporrectodea caliginosa, Bimastos parvus, Drawida japonica, Amyanthas carnosus, Am. heteropodus, Am. hupeiensis)이 채집되었다. 지렁이 종조성과 밀도는 골프장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낚시지렁이과(Lumbricidae)의 장미줄지렁이(Ap. caliginosa)가 안성과 동래베네스트골프장의 우점종이었으며 왕지렁이과(Megascolecidae)의 젖꼭지지렁이(Am. carnosus)가 안양과 글렌로스골프장의 우점종이었다. 장미줄지렁이는 7월에는 미성체만 채집되었고, 젖꼭지지렁이는 8월에 미성체와 성체가 채집되었다. 지렁이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종별로 차이를 보여 똥지렁이(Am. hupeiensis)는 8월에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장미줄지렁이는 4월에 가장 밀도가 높았으나 소수 개체가 채집 된 종들은 시기별 밀도의 우점 경향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