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erican Document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American Documentation (1950-1969)에서 저자 성별 분석 연구 (Author Gender in American Documentation, 1950-1969)

  • Walker, Thomas D.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1-359
    • /
    • 2014
  • 본 연구는 1950년에서 1969년 동안 American Documentation에 실린 정보학 논문의 저자 성별과 관련된 변수를 검토한다. American Documentation은 American Documentation Institute에서 출판되었고, 당시 중요한 정보학 저널이었으며, 1968년 모기관의 명칭이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로 변경되면서 1970년 표제가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JASIS)로 변경되었다. AD 이전에는 ALA에서 출판한 Journal of Documentary Reproduction (JDR)이 정보학 저널로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JDR (1938-1942)의 전체 논문 중 여성은 약 8%를 차지하였고, JASIS (1970-1996)의 초기 27년에는 22%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1950-1969동안 American Documentation에 여성의 논문을 분석하고 있다. AD라는 이름으로 발행된 저널 전체에서 여성 저자는 17%를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비율은 초기와 이후 시기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고 있다.

미국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 최선영;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49호
    • /
    • pp.77-119
    • /
    • 2016
  • 근대건축물은 현재까지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유산이다. 이런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화를 들 수 있다. 기록은 보존의 마지막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근대건축물 기록화로 생산된 사진, 실측도면, 보고서 등은 일반 대중에게 근대건축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화재나 다른 재난에 대비해서 문화재 수리, 복원 자료 등으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의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 중 역사적 건축물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문화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대건축물 기록화에 대한 세 가지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화재청의 근대건축물 기록화 사업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 모든 근대건축물이 기록화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다. 근대건축물 기록화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기록화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근대건축물의 외 내부 변경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컬렉션 구축을 통해 일반 대중들을 위한 정보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온라인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양식과 국내 대학 및 학술잡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양식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Styles of Online Resources and the Documentation Styles Suggested by Graduate Schools and Scholarly Journals in Korea)

  • 박온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104
    • /
    • 1999
  • 현재 온라인 정보원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지만 이를 인용하는 방법과 참고문헌에 수록하는 양식이 국내에서는 아직 널리 소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얻은 자료를 논문에 인용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이 찾아볼 수 있도록 참고문헌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연구논문이나 레포트를 쓸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미국 학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미국심리학괴(APA) 양식과 미국언어학회(MLA) 양식에 제시된 최근의 온라인 정보원의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방법을 조사하여 소개하였다. 또 국내 학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온라인 정보원을 이용하고 이를 참고문헌으로 제시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요람에 실린 학위논문 작성 요령과 학회지에 실린 논문 투고 요령을 조사하였다. 1998년도까지 발행된 대학요람이나 학회지의 논문 투고 요령을 조사해 본 결과 온라인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방법에 대해 언급한 곳은 없으며, 또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국심리학회(APA) 양식, 시카고대학 양식(Chicago Manual of Style) 중 어느 하나를 정확하게 일관성있게 지키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어떤 표준양식을 따르는 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여러 양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북미 역사보존 교육의 발전과정 및 접근방식 - 20세기 중반에서 21세기 초반까지 - (History and Fundamentals of Historic Preservat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From the Mid-20th to Early 21st Century -)

  • 서명수;김수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1-34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 of historic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examined its history and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within the American urban context, from its historical backgrounds to evolving social perspectives. This case study is to help collegiate educators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American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why it has been developed in specific directions and, ultimately, to assist in designing preservation education programs for different local contexts. Historic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field as a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 incorporating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matter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preservation profession, policies, and education since the 1930s. Second,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three fundamentals of historic preservation, such as authenticity, documentation, and community engagement. Lastly, this research discussed that American preservation deals with living communities and seek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 preservation pedagogy from these multiple perspectives would hopefully provide a guide to developing cultural heritage education programs.

A taxonomic and distributional study of the rhodolith-forming species Lithothamnion muelleri (Corallinales, Rhodophyta)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 Robinson, Nestor M.;Hansen, G.I.;Fernandez-Garcia, C.;Riosmena-Rodriguez, R.
    • ALGAE
    • /
    • 제28권1호
    • /
    • pp.63-71
    • /
    • 2013
  • Lithothamnion muelleri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rhodolith beds along the Eastern Pacific Ocean based on samples from Washington State (USA), Pacific Baja California (M$\acute{e}$xico), southern Nicaragua, and Costa Rica. Individual rhodoliths ranged from fruticose to lumpy in morphology, and bi-sporangial, tetrasporangial, and gametangial plants we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from Australia and Brazil. Our study revealed a surprisingly wide latitudinal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along the American continent. Its documentation in the Eastern Pacific will facilitate a mor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ecology, biology, and biogeography of rhodolith beds worldwide.

APA 형식을 적용한 전자정보원의 참고문헌작성 (A Study on the APA Style to Cite and Document Electronic Resource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3-254
    • /
    • 1999
  • The forth edition of the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4) provides documentation advice for writers in the social sciences. This style of citation briefly identifies the source for readers and enables them to locate th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alphabetical reference list at the end of an article. Although the APA publication manual gives recommendations for citing some kinds of electronic resources, it acknowledges that at the time of writing this edition, a standard had not yet emerged for referencing on-line information. Because the manual was published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s we know it, it does not have guidelines for citing www sites, web discussion forum posting, and other Internet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principles and conventions of APA citation style to electronic resources.

  • PDF

고속전철 기술개발 안전 확보 계획 (System Safety Program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HSR)

  • 황희수;최강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8-295
    • /
    • 1998
  • In this paper the system safety program plan(SSPP)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high speed railway system was presented. The plan for the design phase built up base upon MIL-STD 882C, manual for the development of rail transit system safety program plans by American Public Transit Association, and SSPP for Seoul-Pusan High Speed Rail project should be modified and then applied to the phases of manufacturing, test and commissioning. The plan deals with the safety program, the reference standards, the management and responsibility for the safety related activities, the methods to be used for early identifying safety critical items and functions and eliminating or controlling all hazards in a timely and cost-effective manner, and the documentation generated for safety assessment.

  • PDF

일 종합전문병원의 전문간호사 업무 분석 (An Analysis of the Role of Nurse Specialists in the General Hospital)

  • 박광옥;김종경;정재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6-25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nurse specialist in the general hospital,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ole management of nurse specialist. Method: The subjects were 38 staff nurses who worked in a medical, surgical, or other department in one general hospital. Survey tools were developed with criteria for a clinical nurse specialist by American Nurses Association(1986), Korean Nurses Association(2001), Kim(2005)'s research, and the nurse specialists' self job description. Validity of the tool was examined by 5 clinical nursing experts and nurse specialists.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 Win 12.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domains for the job of nurse specialists were 61.6% for direct clinical practice, 21.7% for education, 5.7% for consultation, 5.2% for management, 5.2% for research, and 1.1% for other domains. The results for the large classifications in nurse specialists domains were 57.6% for direct nursing practice in direct clinical practice domain, 89.1% for patient education in education domain, 57.5% for medical consultation in consultation domain, 57.5% for medical research in research domain, and 39.2% for documentation in management domain. Conclusion: This research revealed that direct clinical practice domain was higher than the other domains of research, education, and management. Discussion and development about the nurse specialist's various roles needs to be addressed on a continual basis.

  • PDF

일개 종합병원중심 가정간호 간호진단분류를 위한 NANDA와 HHCC의 적용 비교 (Application of NANDA and HHCC to Class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a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 이진경;박현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07-516
    • /
    • 2000
  • This study examines that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NANDA) and Home Health Care Classification(HHCC) is appropriate to classify home health care client's nursing problems and suggests a modified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 Two hundred and forty-nine clients' records at a general hospital were reviewed and nursing problem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 client's medical diagnosis are pregnancy, childbirth and puerperium, malignant neoplasm, and benign neoplasm. Of four hundred and sixty-three nursing problems, all nursing problems made a diagnos according to HHCC, while three hundred and eighty-five made a diagnosis according to NANDA. The HHCC diagnosis included 78 more nursing problems than NANDA. The discrepancy in the results may indicate a significant advantage to HHCC diagnosis because HHCC nomenclature was created empirically from hard data. However, this may be due to limitations in the data collection method so determination of which classification system is more useful is difficult to judge. However, nursing components of the HHCC are more concrete and clearer than human response patterns of the NANDA. Also the HHCC facilitates the documentation of patient care by computer, while using a conceptual framework consisting of 20 Care Component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assessment, diagnosis, outcome identification,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ly,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HHCC is more useful than NANDA.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a retrospective data collecting method and universality of samples. Further research for various samples that use prospective data collection method is recommended.

  • PDF

기능성 화장품의 인체시험 설계 및 통계적용 방법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f the Study Plan and Statistical Method of Functional Cosmetics on Human Skin)

  • 서영경;고재숙;이원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5
    • /
    • 2013
  • 국내의 주름개선 혹은 미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인체시험 방법은 식약청 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시행 되어왔으며, 인체시험에서 육안평가 및 기기평가 결과에 대해 시험군과 대조군 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unpaired t-test를 주로 이용하였고, 시술 전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설문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이용한 기술통계법이 이용되고 있다. 미국 및 유럽의 임상 평가기관에서도 이와 유사한 시험법 및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 개체에 대하여 처치를 반복 적용하여 얻은 자료는 서로 관련성이 높아 이를 감안한 분석법을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기능성 화장품 중 주름 개선 및 미백 효능 시험의 육안평가 및 기기평가 자료에 대해 repeated measures ANCOVA (RM ANCOVA)와 repeated measures ANOVA (RM ANOVA)를 적용하여 통계 방법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함으로서 현재의 인체시험 방법에 적합한 새로운 통계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