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borne chloride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표면염화물량 산정을 위한 건축마감재별 비래염분 부착율 분석 (Attachment Rate Analysis of Airborne Chlorides by Construction Finish Material to Measure the Amount of Chlorides on the Surface)

  • 조규환;지동헌;정재민;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7-58
    • /
    • 2014
  • For durability design to protect against chloride-induced corrosion,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amount of chlorides on the surfa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airborne chlorides, a boundary conditi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chlorides attached to a surface of an actual structure and that in the ai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ttachment rate analysis of airborne chlorides was evaluated for 13 types of finish materials. As a result, despit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airborne chlorides according to the finishing type, it was found that 60 percent of airborne chlorides were attached to mortar, 30 percent were attached to steel, and 25 percent were attached to tile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chlorides in the air.

  • PDF

제주도 해안가 대기중 염분량의 지역적/계절적 분포 특성 (Regional and Seasonal Distribu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in Jeju Island, South Korea)

  • 정자혜;이종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00-3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해안가의 대기중 염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를 동, 서, 남, 북부지역의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대기중 염분량을 조사하고, 지역별, 계절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아열대 기후이면서 섬으로 형성된 제주도는 대기중 염분량 분포에 있어서 지역별 편차가 크며 가장 높은 지역인 동부와 가장 낮은 지역인 남부 지역은 6배 이상 차이가 났다. 계절별 특징으로는 동부와 서부는 태풍의 영향으로 각 각 여름/가을철과 여름철이 높고, 북부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겨울철이 높으며, 남부는 여름철이 높았다. 한편 국내 동, 서, 남해안의 대기중 염분량과 비교하여 제주도는 높은 경향이 있다.

콘크리트의 표면거칠기에 따른 비래염분 침투 특성 (Properties on the penetration of airborne chlorides to the surface roughness of concrete)

  • 이종석;최원성;김성욱;이장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273-276
    • /
    • 2006
  • Airborne chlorides is moved to inland by sea wind and attach to the surface of concrete then penetrated into concrete. In addition, concrete structures are greatly affected by salt attack primarily due to airborne chlorides like it can be seen through the corrosion of reba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relationship among airborne, surface and penetrated chlorides. In this study, airborne, surface and penetrated chlorides were examined in terms of surface roughness of concrete. The results showed that penetrated and surface chloride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surface roughness of concrete.

  • PDF

8방향 포집방식에 따른 대기 중 비래염분의 분포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Chlorides by Eight-directional collection method)

  • 조규환;이영준;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8-99
    • /
    • 2014
  • The newly developed eight-directional collector was installed at five different locations in the coastal area after its functional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Based on the airborne chloride amount measured for one year,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chlorides were examined by direction. In terms of direction, a large amount of airborne chlorides was collected, not only in the direction facing the coast but also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amount measured at effective three directions was 1.5 times that measured at non-effective three directions.

  • PDF

인천항의 대기 중 비래염분량의 시설물별 특성 및 해안거리에 따른 감소량 추정 (Estimation of Reduction Rate of Airborne Chlorides base on Coastal Distance and Facilities in Incheon Port, South Korea)

  • 정자혜;이종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13-2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천항만 시설물의 대기 중 비래염분량을 조사하였다. 2021.9 ~ 2023.8월, 총 2년 동안 북항, 남항, 신항에 총 15개의 염분포집기를 설치하여 대기 중 비래염분량을 측정하고, 항만시설물과 측정환경에 따른 비래염분량의 분포 특징과, 해안거리에 따른 비래염분량의 감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항, 남항, 신항의 월별 비래염분량 분포는 0.4 ~ 3.3 mdd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해안선의 방향을 고려한 계절풍의 영향으로 북항과 남항은 겨울에, 신항은 여름에 비래염분량이 높게 나타났다. 측정환경에 따른 비래염분량의 특징으로는 동일 지역에서 내해보다 내륙에 위치하여 바다에서 부는 바람이 내해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위치에 있는 지점에서 비래염분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지역에서 해안거리가 동일한 두 지점일지라도 지면으로부터 높이에 따라서 비래염분량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간만대의 경우, 월별 비래염분량은 상부보다는 하부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예외적으로 상부의 비래염분량이 하부만큼 높은 기간은 최고조위와 조위차가 높은 특징이 있었다.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항별 비래염분량의 감소율식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해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비래염분량의 감소율은 신항이 가장 크고, 남항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해안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비래염분 침투 특성 (Penetration Properties of Airborne Chlorides on Concrete Exposed in Marine Environment)

  • 이종석;안기홍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53-558
    • /
    • 2012
  • 대기 중의 비래염분은 해풍에 의해 내륙으로 이동되고 해안 인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하여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비래염분 환경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염분량은 비래염분량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래염분량의 분포 특성에 따라 표면염분량도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래염분 환경 하의 구조물은 해수에 직접접하는 구조물과 달리 표면부의 염분량을 예측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침투되는 경향 또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결과를 얻는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래염분 환경에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침투하는 염분을 표면염분량과 침투 염분량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해안 현장에서 옥외노출실험을 3년간 실시하였으며, 노출기간 1년과 2년, 3년차에서 시험체를 회수하여 표면염분량 및 표면으로부터 깊이별 비래염분 침투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콘크리트의 표면조도에 따라 표면염분량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강우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 더 많은 표면염분량이 존재하였다. 침투 염분량은 대기중의 비래염분량 및 노출기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장기재령으로 갈수록 표면부보다 콘크리트 내부에서 많은 염분량을 나타내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국내 서/남해안 해상교량의 월별, 높이별 비래염분량 특성 (Properties on the Airborne Chlorides of Offshore Bridges on the Western/Southern Coast in South Korea)

  • 정자혜;민지영;이빛나;이종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59-6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량에서 해수와 직접 접하지 않은 부재로 날아 들어오는 비래염분 분포를 월별, 높이별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남해안과 서해안의 9개 해상교량을 대상으로 다양한 높이에서 1년 동안 비래염분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측정한 월에 따라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모두 겨울철 북서 계절풍의 풍향과 강한 풍속의 영향으로 겨울철(11월~2월)의 비래염분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그 차이는 서해안이 더 크게 나타났다. 높이별로는 해수면에서 높아질수록 비래염분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감소 경향에 따라 주탑하단의 비래염분량을 기준으로 총 3개의 구간으로 분류하여 비래염분량 감소식을 도출하였다. 각 구간에 따른 감소 경향 차이는 해역별로, 동일 해역내에서도 국부적인 지형적 특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해상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한 비래염분자료 수립을 위해서는 해역별 특징과 함께, 그 주변의 국부적인 지형적 특징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해상 교량의 비래염분 염해환경에 대하여 안전한 구간과 열악한 구간을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성능평가]_교량편의 열화환경 평가항목의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해안의 비래염분에 대한 지역계수 산정 (Area index of airborne chlorides at the seashore in Korea)

  • 이종석;최원성;안기홍;이장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09-612
    • /
    • 2006
  • Concrete structures in the seashore are greatly affected by salt attack primarily due to airborne chlorides like it can be seen through the corrosion of rebar.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n the salinity of the airborne chlorides in terms of areas. Salinity measurement devices were installed at 27 areas along with seashore throughout the country. The area index for airborne chlorid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s. In Gochang and Taean area showed higher value of area index over 10. In addition, the Eastern coast showed higher index compared to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 PDF

해역 및 지역에 따른 해안가 대기중 염분량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Airborne Chlorides in Coast by Sea Area and Region, South Korea)

  • 정자혜;이종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611-619
    • /
    • 2023
  • 우리나라의 전국 해안가 대기중 염분량 1차 조사는 2003년에 3년 동안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인 해안가 비래염분 지역계수 및 염해환경 등급은 국내 구조물의 설계/시공/유지관리에 반영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기후 변화와 해안가 지형 변화 등에 의한 환경변화로 지역별, 해역별 해안가 대기중 염분량에도 변화가 예상되어 2021년부터 2차 조사를 실시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2차 조사의 1년 동안의 지역별, 해역별로 해안가 대기중 염분량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와 가까이 위치해 있고, 기후가 비슷한 일본의 해안가 비래염분량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 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2차 조사 결과 평균 비래염분량은 서해안이 가장 높았으며, 계절적 변동 또한 서해안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해역별 계절적 변동을 보면, 동해안은 여름과 가을철에, 서해안은 가을과 겨울철에, 남해안은 여름에 비래염분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1차 조사에 비해 모든 해역에서 비래염분량이 월등히 높은 기간이 짧게 나타나 계절적 변동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강재마감별 부식개시 임계 비래염분량 및 부식속도 평가 (Effect of Coating Materials for Steel on the Threshold of Corrosive Amount of Airborne Chlorides and the Evaluation of Their Corrosion Speeds)

  • 조규환;임명현;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3-151
    • /
    • 2015
  • 실환경에서는 비래염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산성비, 산업공해 부유 물질 등의 여러 가지 복합 열화요소에 노출되어 있어 강재가 발청(發錆)하는 임계 비래염분량을 찾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래염분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비래염분 부착량을 조절하였으며 강재 마감별 5종을 대상으로 부식촉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NC, UC, RLC-1, SS201에 각각 0.58~0.73, 7.89~8.46, 57.95~69.48, $80.73{\sim}89.35mg/dm^2$의 비래염분량을 부착시켰을 때 발청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청 후 부식속도는 각각 1.60, 0.36, 0.97, 0.17로 NC가 가장 빠른 부식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