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exposure degre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벼의 종실 발육단계에 따른 주간 및 야간 HTO 증기 피폭시 TFWT 및 OBT 농도 (TFWT and OBT Concentrations in Rice Plants Exposed to HTO Vapor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at Different Seed-Developing Stages)

  • 최용호;임광묵;이원윤;강희석;최희주;이한수;실비아디아바테;지그프리드슈트락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9-18
    • /
    • 2003
  • 벼를 쌀알의 발육단계별로 주간 및 야간에 1 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키고 작물체 부위별로 조직자유수 $^3H$ (TFWT) 및 유기결합형 $^3H$ (OBT) 농도를 조사하였다. 피폭종료 직후$(h_0)$ 잎의 TFWT 농도는 주간실험에서는 공기수분중 1 시간 평균 HTO 농도의 100% 내외였으나 야간실험에서는 $30{\sim}40%$에 불과하였다. 주 야간 피폭 모두 TFWT 농도는 초기에는 급히 감소하다가 나중에는 훨씬 천천히 감소하였고 수확시에는 $h_0$에 비해 수백${\sim}$수만 배 낮았다. OBT 농도는 부위 및 피폭시기에 따라 변화양상이 달랐고 $h_0$와 수확시 간 차이는 대체로 10 배 이내였다. 야간피폭 중에도 주간피폭의 약 1/3 수준으로 OBT가 생성되었다. 공기중 HTO의 수확시 쌀알내 OBT로의 전환 정도는 주간피폭시 야간피폭보다 수 배 높았고 주 야간 피폭 모두 쌀알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에 가장 높았다. 벼가 쌀알의 발육기에 HTO에 피폭되면 OBT에 의한 섭취피폭선량이 TFWT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되었다.

루테늄촉매 활성정도에 따른 유리섬유/폴리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복합재료의 기계 및 계면물성 변화 (The Change in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Glass Fiber/p-DCPD Composites with Degree of Ruthenium Catalyst Activation)

  • 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하승;권동준;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1호
    • /
    • pp.13-18
    • /
    • 2018
  • 루테늄촉매는 대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촉매활성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루테늄 촉매의 촉매활성변화를 대기노출 일수에 따라 표면장력방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각 대기노출일수에 따른 루테늄 촉매를 이용하여 DCPD 중합 후 기계 및 계면물성변화를 확인하였다. 희석제와 10:1로 섞인 루테늄 촉매를 대기 중에 노출 시킨 후 각 일수에 따라 색깔 관찰하였다. 윌헴리 및 PTFE를 이용하여 표면장력을 구하고 이를 촉매활성 정도와 연관시켰다. 각 촉매를 이용하여 DCPD를 중합시키는 데 발열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경화 후 p-DCPD에 대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물성감소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리섬유 간 마이크로드롭렛 풀 아웃 실험을 통하여 계면물성 또한 파악하였다. 표면장력방법을 통하여 촉매활성 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4일까지는 33 dyne/cm로 안정적이었지만, 6일 이후로 표면장력이 34 dyne/cm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촉매의 산화와 연관시킬 수 있었다. 기계적 물성 확인하였을 때, 인장강도 및 계면강도 또한 6일 (인장강도: 38 MPa. 계면전단 강도: 26 MPa) 까지는 안정적이었지만 10일 (인장강도: 15 MP. 계면전단강도: 3 MPa) 이후로 물성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차 에어러솔 생성 잠재력 평가를 위한 Potential Aerosol Mass (PAM) 챔버의 제주도 고산 대기분석 적용 (A Preliminary PAM Measurement of Ambient Air at Gosan, Jeju to Study the Secondary Aerosol Forming Potential)

  • 강은하;;김상우;윤순창;정무현;이미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4-544
    • /
    • 2011
  • The secondary aerosol forming potential of ambient air was first measured with the Potential Aerosol Mass(PAM) chamber at Gosan supersite on Jeju island from October 22 to November 5, 2010. PAM chamber is a small flowthrough photo-oxidation chamber with extremely high OH and $O_3$ levels. The OH exposure in the PAM chamber was $(2{\pm}0.4){\times}10^{11}{\sim}(6{\pm}1.2){\times}10^{11}$ molecules $cm^{-3}$ s and was similar to 2 to 5 days of aging in the atmosphere. By periodically turning on and off UV lamps in the PAM chamber, ambient aerosol and newly formed aerosol (e.g. called as PAM aerosol) was alternately measured. Aerosol number and mass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10~487 nm in diameter was measured by SMPS 3034. With UV lamps on, the nucleation mode particles smaller than 50 nm in diameters were formed. Their number concentration was greater than 105 $cm^{-3}$, leading to increase in aerosol mass by 0~8 ${\mu}gm^{-3}$. The variations of PAM and ambient aerosols were greatly dependent on characteristics of air masses such as precursor concentrations and degree of aging. This preliminary results suggests that PAM chamber is useful to assess the aerosol formation potential of air mass and its impact on the air quality. The further analysis of data with gaseous and particulate measurements will be done.

초음속 연소 실험을 위한 연소식 공기 가열기 출구 유동 조건 실험 연구 (A Study on the Flow Conditions of the Combustion Air Heater Outlet for the Supersonic Combustion Experiment)

  • 이은성;한형석;이재혁;최정열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연소기의 지상 시험 장치에 고온, 고압 공기 공급을 위한 연소식 공기 가열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목표 설계점 만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소식 공기 가열기 노즐 출구의 상부 경계, 하부 경계 및 중앙에 쐐기를 설치하여 마하수가 2.0 수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소실 내부 압력 또한 설계점과 비교하여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열전대의 노출되는 정도와 느린 응답 특성에 의해 측정된 온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후 연소식 공기 가열기 후방에 격리부를 연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마하수를 측정하였으며, 격리부 출구 중앙의 마하수는 1.8~1.9 정도로 소폭 감소하였다.

도심대기오염추정을 위한 도로명주소좌표와 지번주소좌표의 비교 - 서울 영등포 지역의 사례연구 - (Comparison between the Road-based and the Parcel-based Address Coordinates for Urban Air Pollution Estimation - A Case Study of Yeongdeungpo-gu, Seoul, Korea -)

  • Park, Jinwoo;Choi, Jinmu;Hong, Seong-Yun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69-181
    • /
    • 2016
  • 2014년 한국의 주소체계는 지번기반에서 도로명기반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주소좌표는 지번주소체계의 주소좌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지번주소 좌표는 필지의 중심에 위치하는 반면, 도로명 주소 좌표는 도로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로명주소와 지번주소의 차이는 작지만 미시적 모델링에서는 결정적일수 있다. 두 좌표 그룹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서 대기오염 배출량을 추정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시에서는 필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두 그룹의 자표간 거리도 작다. 따라서 미시적 대기오염 확산 모델인 CALINE4가 각 좌표에서의 대기오염 추정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되었다. 입력자료로 서울시 영등포구의 도로들에 인접한 252개의 건물들을 대상으로 두 그룹의 좌표들이 수집되었다. 각 건물에 대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주소 좌표에 대해 대기오염량이 추정되었고, t 검증과 F 검증을 사용하여 그 값들의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검증 결과 각 건물의 두 주소에 대해 추정된 대기오염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지번주소기반 좌표를 도로명주소의 좌표로 사용하면 미시적 분석에 있어서 상당한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보건 분야의 취약성 평가: O3을 중심으로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uman Health Sector due to Climate Change: Focus on Ozone)

  • 이재범;이현주;문경정;홍성철;김덕래;송창근;홍유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38
    • /
    • 2012
  •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is necessary to avoid unexpected impacts of climate change caused by human activities. Vulnerabilit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system cannot cope with impacts of climate change, encompassing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Therefore the quantific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and its vulnerability is needed to identify vulnerable regions and to setup the proper strategies for adaptation. In this study,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s defined as a function of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Also, we identified regions vulnerable to ozone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using developed proxy variables of vulnerability of regional level. 18 proxy variables are selected through delphi survey to assess vulnerability over human health sector for ozone concentration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Also, we estimate the weighting score of proxy variables from delphi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regions with higher vulnerability index in the sector of human health are Seoul and Daegu, whereas regions with lower one are Jeollanam-do, Gyeonggi-do, Gwangju, Busan, Daejeon, and Gangwon-do. The regions of high level vulnerability are mainly caused by their high ozone exposure. We also assessed future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SRES) A2, A1FI, A1T, A1B, B2, and B1 scenarios in 2020s, 2050s and 2100s. The results showed that vulnerability increased in all scenarios due to increased ozone concentrations. Especially vulnerability index is increased by approximately 2 times in A1FI scenarios in the 2020s. This study could support regionally adjusted adaptation polices and the quantitative background of policy priority as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the regional vulnerability of ozone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치주수술 후 상아질 지각과민증에 대한 저수준 레이저 처치의 임상적 효과 (Clinical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In The Treatment Of Dentin Hypersensitivity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 김남윤;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230-243
    • /
    • 1996
  • Root surface exposure due to gingival recession after periodontal surgery, dentin exposure after root planing elicit pain response when exposed to mechanical, heat, chemical or osmotic stimulation. Especially, patients treated with periodontal surgery, show high frequency and there have been reports showing the 1 out of 7 patients have dentin hypersensitivit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linical effects of various materials on the treatment of dentin hypersensitivity. but, none could provide absolute clinical efficacy. In this study, 45 teeth from 30 patients, who had had periodontal surgery and showed dentin hypersensitivity after surgery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y were illuminated with laser, 15teeth were chosen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y were not exposed to laser. After this dentin hypersensitivity was elicited by tactile, compressed air, cold water and then, the degree was evaluated using NRS(Numerical Rating Scale). And during LLLT(Low Level Laser Therapy) semiconductor laser using Gallium - Arsenide as a diode was illuminated for 180 seconds at a frequency of 7(500Hz). This therapy was done 10 times, and each time the changes in dentin hypersensitivity was evaluated using N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fter treat with LLLT on dentin hypersensitivity due to periodontal surgery, 22.2% showed total loss of dentin hypersensitivity, 60.0% showed loss of tactile dentin hypersensitivity, 48.8% showed loss of compressed air dentin hypersensitivity, 22.2% showed loss of cold water dentin hypersensitivity. 2. As a result of clinical evaluation of dentin hypersensitivity using NR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improvement of dentin hypersensi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 to the control group(P<0.05). And there was almost no natural loss of dentin hypersensitivity in the control group. 3. In comparison of the stages of evalu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fter the second visit(P<0.05), and the difference increased with each visit.

  • PDF

나무이끼의 투명컵 재배시 용토 및 습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t Soil and humidity on Growth for Transparent Cup Cultivation of Climacium japonicum Lindb)

  • 서종택;류승열;유동림;남춘우;허윤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9-385
    • /
    • 2010
  • 농가현장에서 이끼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존의 연구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분화식물로서 관상가치가 높은 나무이끼의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투명용기 재배시 토양 습도, 적정 공기노출 정도구명, 적정 용토 구명, 지피용 이끼선발 등 상품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무이끼의 투명용기 재배시 용기내에 수분을 적습(수분 60~80%)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용토는 피트모스:펄라이트(7:3)의 상토에서 좋았고 공기노출 정도에 있어서는 완전밀폐와 10% 노출에서 생육이 좋았다. 용기의 공기유통 정도를 나타내는 천공형태는 상부천공 2구에서 생육이 좋고 내부에 습기가 맺히지 않았다. 투명 용기내의 적정 용토는 수태, 피트모스, 피트모스+펄라이트 구에서 생육이 좋았으나 수태는 가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피트모스나 피트모스+펄라이트 상토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무이끼와 어울릴 수 있는 지피용 이끼로는 솔이끼, 편평털깃털이끼, 깃털이끼, 털깃털이끼, 아기초롱이끼, 은이끼, 가는털깃털이끼, 표주박이끼, 흰털이끼, 꼬마이끼 등 10종 모두 초장이 0.7~2.7 cm로 나무이끼보다 1 cm이상 작아 지피용으로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카보실란 전구체로부터 고온 산화성분위기서 기계적물성이 우수한 파이롯-규모의 탄화규소섬유 제조공정 개발 (Development of Pilot-Scale Manufacturing Process of SiC Fiber from Polycarbosilane Precursor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y at Highly Oxidation Condition and High Temperature)

  • 윤병일;최우철;김정일;김재성;강홍구;김명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16-1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 산화성 분위기하에서 기계적물성이 우수한 탄화규소섬유(SiC Fiber)를 파일롯-규모로의 생산 제조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리세라믹 전구체로서 폴리카보실란(PCS)을 사용하여 탄화규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연속성의 PCS 섬유는 $300{\sim}350^{\circ}C$에서 PCS를 용융한 후에 용융방사로부터 얻었다. 열처리 전에 섬유의 불융화를 위하여 공기 분위기하에서 경화를하였다. 경화 전, 후에 측정한 FT-IR 스펙트라 피크로 부터 경화도를 계산하였다. 탄화규소섬유의 물성은 경화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본 개발에서 열처리 중 섬유의 장력 조절로 우수한 물성을 갖는 탄화규소섬유를 얻었다. 탄화규소섬유의 화학조성과 기계적물성은 안정화섬유의 열처리시의 이송속도에 영향을 받았다. 탄화규소섬유를 공기분위기하 $1000^{\circ}C$에서 1분부터 50시간까지 노출한 후에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장강도는 약 60%까지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장시간 노출시험시 낮은 인장 강도값을 나타내는 섬유는 화학성분 분석시 섬유의 표면에 많은 탄소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만 인근 미세먼지 노출 영향권 및 오염도 분석 :동해항 운영현황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Fine Dust Diffusion and Contamination Degree :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Donghae Port)

  • 황제호;김시현;강달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1-258
    • /
    • 2022
  • 동해항은 주거 생활권인 송정동, 북평동과 매우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송정동에는 총 21,179세대, 북평동에는 5,754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동해항에서 처리되는 주요화물은 석회석, 시멘트, 무연탄, 유연탄 등으로 분진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해항 운영으로 인해 산화물 분진,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여 확산되는 과정에서 인근 주거지역에 심각한 대기공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는 주민들의 생활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배후 주거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동해항을 혐오시설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동해항에서는 항만산업에 기인한 미세먼지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항만 인프라와 장비운영 환경을 개선하고자 단계적인 접근을 하고 있으나 항만 인근지역의 대기공해에 대한 개선효과가 점진적으로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항만 인근지역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 관리가 실현될 수 있도록 주간, 야간 및 계절주기에 따른 동해항 주변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추이, 미세먼지 확산 패턴,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공간분포를 풍향, 풍속 변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 장기계획과 더불어 동해항 배후 주거권역에 대한 미세먼지 확산 영향권과 오염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주간, 야간 및 계절 주기에 따른 상시적 미세먼지 농도관리가 병행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대기질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