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nomic charact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Infested Soil on the Agronomic Characters of Three Different Barley Varieties

  • Hyun, Jong-Nae;Hong, Yeon-Kyu;Lim, Sea-Gyu;Kim, Yang-Gil;Kim, Mi-Jung;Lee, Mi-Ja;Lee, Key-W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7-433
    • /
    • 2008
  •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in barley yield and is difficult to control due to alive parasitic soil-borne fungus, Palmyra gamines that transmits the, virus.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a virus-free soil could be infested by using virus-contaminated farming machineneries and implements. For the further confirmation of this finding, different proportions of BaYMV-infested soil were mixed into virus free soil. Three barley varieties (Hordum vulgarae, cv "Olbori", "Baegdong" and "Sacheon 6") were sown in pots treated with different rate of P. graminis-infested soil ranging from 0% to 100% in October 20, 2001. Results showed that BaYMV infection increased as the rate of infested soil increased. Initial symptoms were observed in a pots treated with 10% infested soil in all the 3 varieties of barley. "Olbori" had about 5% infection in 20% infested soil and about 10% infection in 40% or 50% infested soil and about 20% infection in 60% infested soil. In "Baegdong", the trend of BYMV occurrence was similar with "Olbori" but the time of severe infection was earlier than "Olbori". BaYMV infection in "Sacheon 6" was even earlier than "Baegdong" with much more severe symptoms than "Baegdong". The growth rate of barley was affected by about 19-22% when grown in 20% infested soil. As the rate of BaYMV infested soil increased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but the maturing date was early in "Olbori" and "Sacheon 6". Also, reduction rate of culm length in 3 varieties increased with increase of infested soil content. However, "Olbori"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Sacheon 6", have been characterized with long spike length, however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infested soi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pike length of "Olbori"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despite of increased of infested soil. The reduction rate of 1000 kernel weight was higher in large kernel size cultivar "Sacheon 6" and "Olbori" than small kernel size "Baegdong" as increase of BaYMV-infested soil content.

수도 주요 형질의 변이와 주내 및 주간 경쟁반응 (Character Variation within Rice Hill and Competitive Response of Rice Cultivar in Association with Plant Spacing and Seedling Number per Hill)

  • 박성태;김순철;이수관;황동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7-133
    • /
    • 1989
  • 수도 주요 품종별 주내 및 주간경쟁반응과 주내에서 주요 형질의 경간 변이 정도를 구분하고 주요 반응 태상별 재식밀도 반응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내 및 주간경쟁지수가 다같이 낮은 품종은 팔공벼, 밀양 83호, 밀양 90호, 상풍벼였고, 주내 및 주간경쟁지수가 다같이 큰 품종은 풍산벼, 삼강벼, 원풍벼, 태백벼, 동진벼 등이었다. 2. 주내 가 경간 주요 형질의 병이는 형질에 따라 품종별 반응이 약간 달랐으나, 대체로 각 형질의 변이계수 상호간에는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쟁지수가 높은 품종이 주내에서 주요 형질의 경간 변이계수가 낮은 경향이었다. 3. 경쟁지수와 수량과의 관계에서 주내 경쟁지수가 증가하면 일본형 품종들과, 통일형 품종중에서 소얼성인 밀양 83호 는 수량이 증가하였으나, 풍산벼와 남영벼는 일정한 형향이 없었다. 그러나 전품종 다같이 주간 및 전체 경쟁지수가 증가하면 쌀수량이 증가하였다. 4. 경쟁지수 증가에 따른 쌀수량의 증가 정도는 경쟁지수가 낮았던 팔공벼, 밀양 83호 등에서 크게 나타났다.

  • PDF

제초제(除草劑) 신기능(新機能) 작물품종(作物品種) 이용(利用) 잡초방제(雜草防除) 기술(技術) (Weed Management Using a Potential Allelopathic Crop)

  • 김길웅;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93
    • /
    • 1997
  • Allelopathic compounds as naturally occurring herbicide have originally reported from local vegetation since B.C. 300. These compounds are known as secondary plant metabolites which released from plants into the environment often attract or repel, nourish or poison other organisms. In recent, many natural plant allelochemicals be used to attempt to biologically or ecologically control weed among worldwide weed scientists. Some allelochemicals have also used as fungicides, insecticides, and nematodicides, and were less than man-made agrochemicals to damage the global ecosystem. It makes efficient use of resources internal to the farm, relies on a minimum of purchased inputs. Some scientists selected for allelopathic activity when breeding weed-controlling cultivars of rice, sorghum, cucumber, surflower etc. Thus, this paper is focused on allelopathic compounds isolated from cultivated crop with the high potential of prospective herbicides. The most environmentally acceptable and sustainable approach to utilization of allelopathy for weed control is to develop plant cultivars with proven allelopathic characteristics. In rice accessions, there are 60 cultivars/lines which have known as allelopathic activity and some of these cultivars control weed more less 90% within certain radius of activity. These accessions are originated from 15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USA, India, Philippines, Indonesia, Laos, Taiwan, Afghanistan, Mali, Pakistan, Colombia, Egypt, China, and Dom. Rep. From these cultivars, the most common allelopathic compounds identified in rice are p-Hydroxybenzoic, Vanillic, p-Coumaric, and Ferulic acids. In addition, allelopathic lines of the following crop have shown inhibition of weed growth : beet (Beta vulgaris), lupin(Lupinus spp.), com(Zea mays), Wheat(Triticum aestivum), oats(Avena spp.) peas(Pisum sativum), barley(Hordeum vulgare), rye(Secale cereale), and cucumber(Cucumis sativus). Thus, future allelopathy research must be designed its potentially phytotoxic propertices and the ecotoxic features of the allelochemicals from release to degradation ; its ecological sustainability, its allelopathic effect in early growth. stages, and selectivity properties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stages, and selectivity properties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concentrations. Also, research approach in allelopathy might be screened for highly allelopathic germplasm collection of crops, the idea being to ultimately transfer this agronomic character into improved cultivars by either conventional breeding or other genetic transfer techniques.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QTL-NILs for Grain Weight from an Interspecific Cross in Rice

  • Yun, Yeo-Tae;Kim, Dong-Min;Park, In-Kyu;Chung, Chong-Tae;Seong, Yeaul-Kyu;Ahn, Sang-Na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7-364
    • /
    • 2010
  • In a previous study, we mapped 12 QTLs for 1,000 grain weight (TGW) in the 172 $BC_2F_2$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Oryza sativa ssp. Japonica cv. Hwaseongbyeo and O. rufipogon. These QTLs explained 5.4 - 11.4% of the phenotypic variance for TGW. Marker-aided selection combined with backcrosses was employed to develop QTL-NILs for each QTL. $BC_2F_2$ lines with each target QTL were backcrossed to Hwaseongbyeo twice and then allowed to self to produce $BC_4F_5$ populations. SSR markers linked to TGW were employed to select QTL-NILs with the respective target QTL. Six QTL-NILs with the recurrent parent, Hwaseongbyeo were evaluated for nine traits for three years from 2007 and 2009.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each of the 6 QTL-NILs and Hwaseongbyeo in TGW. In addition to TGW, these QTL-NILs displayed differences in other agronomic traits possibly indicating a tight linkage of genes controlling these traits. The direction of the QTL for TGW in 6 QTL-NILs was consistent as in the $BC_2F_2$ lines from the same cross. Difference in TGW between each of the QTL-NILs and Hwaseongbyeo was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 in one or two grain shape traits; grain length, grain width, and grain thickness. SSR markers linked to the QTL for TGW will facilitate selection of the grain shape character in a breeding program to diversify grain shape and provide the foundation for map-based gene isolation. Also, the QTL-NILs developed in this report and the progenies from crosses between the QTL-NILs will be useful in clarifying epistatic interactions among QTLs for TGW.

벼 품종(品種)과 피의 굴기력(屈起力) 반응(反應) (Response of Kneeing Ability of Rice Varieties and Echinochloa Species)

  • 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2-367
    • /
    • 1992
  • 벼와 피의 도복(倒伏)에 대(對)한 굴기력(屈起力) 반응(反應)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하기 위해 1984년(年)에 24개(個)의 수도(水稻) 품종(品種)을 대상(對象)으로 그리고 1990년(年)에는 2종류(種類)의 피를 대상(對象)으로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 수도(水稻) 시험답(試驗畓) 또는 콘크리트 수조(水漕)에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1.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굴기력(屈起力)은 품종(品種) 유형간(類型間)(자포니카형(型), 통일형(統一型)), 간장차이(稈長差異), 열기차이(熱期差異) 간(間)에는 뚜렸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품종간(品種間)에는 뚜렸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굴기각도(屈起角度)가 $60^{\circ}$이상(以上)으로 굴기력(屈起力)이 높은 품종(品種)으로는 영덕(盈德) 1호(號)(자포니카형(型)), 서광(曙光)벼 (통일형(統一型)), 섬진(蟾津)벼 (자포니카형(型)), 풍산(豊産)벼(통일형(統一型)), 한강(漢江)찰벼 (통일형(統一型)) 이었고, 굴기각도(屈起角度) $20^{\circ}$ 이하(以下)로서 굴기력(屈起力)이 낮은 품종(品種)은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칠성(七星)벼, 가야(伽倻)벼, 삼강(三剛)벼 이었다. 2.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줄기 마디별(別) 굴기력(屈起力)은 출수기(出穗期) 이후(以後)의 경우 상위(上位) 1-2절(節)의 굴기력(屈起力)이 하위(下位) 절간(節間) 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3. 공시(供試)된 2종류(種類)의 피는 굴기력(屈起力)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수도(水稻) 품종(品種)보다는 굴기력(屈起力)이 $160^{\circ}$ 이상(以上)으로 월등(越等)히 높았는데, 이는 마디별(別) 굴기각도(屈起角度)가 거의 차이(差異)없이 $30^{\circ}$ 이상(以上) 유지된데 기인(起因)하였다.

  • PDF

아마 파종기에 따른 몇가지 형질 및 수량변화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 and Yield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of Flax, Linum usitatissimum L.)

  • 권병선;이정일;박희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9-173
    • /
    • 1988
  • 아마 파종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화를 구명코자 Wiera, Taijungsun #1, Storment Goss, CI 1763, 99403-Fiber의 5품종을 공시하여 파종기는 3월 10일, 25일, 4월 5일의 3기로 구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숙기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2. 경장은 3월 10일 파종에서 Wiera는 83cm로 가장 길었고 Taijungsun #1은 64cm로 가장 짧았으며 3월 25일, 4월 5일로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모든 품종이 참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유비율은 3월 10일 파종에서 Wiera 가 15.6%로 가장 높았는데 파종기는 늦어짐에 따라 모든 품종들이 감소되었다. 세도는 Taijungsun #1가 26.2本으로 가장 가늘었으며 99403-Fiber는 19.5본으로 가장 굵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세도가 낮아져서 줄기가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3. 유분함량은 3월 10일 파종에서 Taijungsun #1는 34%, Storment Goss는 32%, Wiera는 30%, CI 1763은 27%. 99403-Fiber는 26%로 높았으나 가장 늦은 파종에서는 24%까지 낮아졌다. 4. 원경수량은 모든 파종기에서 Wiera가 가장 다수성이었으며 파종기간에서는 3월 10일에서 4월 5일로 늦어짐에 따라 원경중 감소폭이 가장 Wiera가 커서 파종기 차이에 따른 원경중의 반응이 민감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5. 종실수량은 Taijungsun #1가 가장 않았고 전품종이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6. 파종기에 따른 5품종의 유용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 파종기, 품종 모두 유의성이 고도로 높았고 파종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다만 유분함량의 형질에서만 유의성이 없었다.

  • PDF

벼 장해형 내냉성의 조합능력검정과 선발효과 (Combining Ability Analysis and Selection Effectiveness for Tolerance to Cold-Induced Sterility in Rice)

  • Huhn Pal, Moon;J. Neil, Rutger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2-419
    • /
    • 1988
  • 수도의 냉해는 그 재배기간에 저온이 발생되는 수도재배지역에서 중요한 생산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도작기간동안의 기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냉해양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냉해는 저수온에 의한 생육의 지연 및 저기온에 의한 불일발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냉성 품종육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유전정보를 얻고저 내냉성정도가 서로 다른 9개 품종의 이면교잡된 36조합 F$_1$, F$_2$, F$_3$, 상호여교배집단 및 모본집단을 공시하여 장해형내냉성에 대한 조합능력, 작물학적 형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F$_2$집단의 선발효율을 평가하였다. 불임발생정도로서 평가된 장해형내냉성은 상가적 유전분산이 주종이었으나 비상가적 유전분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내성성이 강한 모본인 M 101과 L201이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는 반면, 약한 품종인 7703008에서 가장 낮았다. 장해형내냉성은 출수기, 간장 및 수당립수와 관계가 있었는데, 출수가 빠를수록, 간장이 클수록 그리고 수당립수가 많을수록 내냉성이 강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출수기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비교적 내냉성이 강한 M101과 교배된 7조합에서 F$_2$개체 선발이 내냉성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때 내냉성에 대한 평균유전력(Realized heritability)은 0.53이었고 저온불임에 대한 선발효율은 -9.4%였다.

  • PDF

제주재래수수의 점파립수에 따른 사료수량 및 조성분 분석 (Effects of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on Growth Character, Yield and Feeding Value in Jeju Native Sorghum)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전용철;오장식;조영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9-136
    • /
    • 2004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점파립수(1, 2, 3, 4, 5 및 6립)에 따른 제주재래수수의 생육반응, 수량,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3일부터 9월 6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66일에서 69일로 점파립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점파립수가 많을수록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1립 점파에서 201.6cm이었던 것이 3립에서 206.7cm로 길어졌으나, 점파립수가 그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작아져서 6립 점파에서는 175.2cm이었다. 생촌 건물, 단백질 및 TDN수량은 3립 점파에서 48.1MT/ha, 10.lMT/ha, 0.9MT/ha, 5.1MT/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과 그 이하의 점파에서는 점차적으로 감수되었고, 6립 점파에서는 생초수량 36.7MT/ha, 단백질수량 0.6MT/ ha, TDN수량 3.2MT/ha로 가장 낮았다. 점파립수가 1립에서 6립으로 많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8.7%에서 9.9%로, 조지방 함량은 2.5%에서 3.4%로,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39.4%에서 41.7% 로, TDN 함량은 49.4%에서 51.4%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8.5%에서 34.8%로, 조회분 함량은 9.4%에서 8.1%로 감소되었다.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Seeding Rate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ing Value in Jei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6, 9, 12, 15, 18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89일에서 96일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6kg/ha 파종에서 128cm 였으나 파종량이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148cm로 커졌고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장은 작아져서 18kg/ha 파종에서는 131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엽폭은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엽장은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 수량은 35.93MT/ha에서 54.83MT/ha로, 건물 수량은 10.49MT/ha에서 17.43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4MT/ha에서 1.79MT/ha로, TDN 수량은 5.33MT/ha에서 9.27MT/ha로 증가되었다 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은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8kg/ha로 증가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0%에서 12.01%로, 조지방 함량은 1.3%에서 1.8%로, 가용무질소물은 45.6%에서 47.8%로, TDN 함량은 50.8%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2%에서 30.0%로, 조회분 함량은 8.8%에서 8.4%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량은 12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육지면품종의 유용형질의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Upland Cotton Varieties (Gossypium hirsutum L.) in Korea)

  • 계봉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1-313
    • /
    • 1976
  • 면화의 유용형질의 개별적 유전관계를 조기에 검정하고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육종사업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작물시험장목포지장실험포장(북위 $34^{\circ}47',$ 동경 $126^{\circ}20',$ 표고 1.5m)에서 육지면품종간의 Partial Diallel Cross $F_1$ 및 Paymaster$\times$Heujueusseo Trice의, 분리집단을 공시하여 Hetesosis, Combining Ability, 품종별우열성, 유전분산의 분할, 표현형 및 유전상관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eterosis는 주당삭수와 소면수량에서 양친평균 보다 각각 27.84%, 37.26%의 증가경향을 보였고 기타 형질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2. GCA에 있어서는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SCA보다 GCA 효과가 컸으며, 품종별 GCA효과푸 Suwon# 1이 조숙으로, Paymaster 및 Arijona는 고소면로, Arijona는 장섬유의 방향으로 했다. 3. 소면수량의 SCA는 Mokpo #4, Mokpo #6, Heujueusseo Trice등을 편친으로 한 조합이 변이가 컷고, 기중 SCA효과가 가장 큰 조합은 Mokpo# 4$\times$Acala 1517W, Mokpo#$\times$D.P.L, Heujoeusseo Trice$\times$Paymaster 조합등으로서 비교적 대립형질이 많은 조합이었다. 4. 조만성의 유전은 조숙이 만숙에 대하여 완전우성조합 또는 조숙과 만숙의 상호간의 우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중간성조합이 있었음에 따라 이것은 상가적 유전성분이 큰 Multi gene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추찰되였다. 조숙성의 우성강도가 가장 큰 품종으로서는 Heujueusseo Trice. Mokpo#6, Suwon#1 등이였다. 5. 삭중 및 종자 100립중의 유전은 뚜렸한 경향이 없었다. 6. 장섬유성인 Paymaster와 단섬유성인 Heujueusseo Trice간의 교잡조합의 $F_2,$ $F_3에$ 있어서의 섬유장분리는 장섬유가 단섬유에 대하여 완전 또는 부분우성의 단인자지배에 의하여 분리되였으며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우성개체발현율이 감소되는 경향이였다. 또한 Diallel Cross $F_1으로$ 동시에 수개품종을 비교할 경우는 각품종의 섬유장의 폭이 다르고 우성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대립인자작용으로 나타났다. 7. 주당삭수는 대체로 초월우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상가적부분이 적게 표현되여 비대립유전자의 작용도 존재하는 것으로 였다. 8. 소면수량도 초월우성이 강하게 나타내여 비대립유전자의 작용도 존재하는 Multi gene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보였으며 대체로 다수성품종이 소수성품종에 비하여 우성이였다. 그러나 Heujeusseo Trice는 소수성품종으로서 초월우성을 나타내여 품종 및 조합에 따라서 상리한 반응을보였다. 9. 개화소요일수의 유전력은 39~34%였으나 협의 11%로 낮은 것은 우리 나라에서는 개체변이가 심하여 유전력이 다소 낮게 표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삭중의 유전력은 광의 30%, 협의 22%로 낮은 경향이였으나 Diallel Cross $F_1$ 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10. 섬유장 및 소면비율의 유전력은 어느 경우에서도 높았으므로 선발효율이 클것으로 기대된다. 11. 주당삭수의 유전력 Diallel Cross 에서 30%, $F_2에서$ 협의 36%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광의 67%로 높았으므로 $F_2,$ $F_3에서는$ 양친의 특성을 어느정도 나타낼것으로 기대된다. 12. 소면수량의 유전력은 Diallel Cross 에서는 초월우성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에 낮은 우전력을 보였으나, $F_2,$ $F_3에서는$ 광의 38%, 협의 50%로서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수량의 유전력은 $F_1에서는$ 극히 낮았으나, $F_2,$ $F_3세대에서는$ 높아가는 경향이였다. 13. 개화소요일수, 소면비율 및 섬유장의 상호간에는 $F_1,$ $F_2,$ F3에서 모두 표현형상관이 높았으므로 만숙품종 및 개체가 대체로 장섬유 및 고소면의 경향이였고 이들의 유전상관도 높기때문에 유전적관계가 컸었다. 개화소요일수와 소면수량과의 상관관계가 극히 낮았으므로 이들은 서로 독립형질로 사료되지만 주당 삭수와는 $F_3에서$ 부의 상관이 있으므로 조숙개체가 다삭성인 경향을 많이 보였다. 14. 소면비율과 섬유장과의 표현형 및 유전상관은 $F_1,$ $F_2,$ $F_3$ 모두 높았으므로 이 두 형질은 대체로 흡사한 형질이라고 인정할 수 있음에 따라 장섬유품종이 대체로 고소면성이였다. 또한 소면수량과 소면비율과는 Diallel Cross $F_1에서$ 정의 상관, $F_2에서는$ 섬유장과의 정의 상관을 보여 소면비율 및 섬유장도 소면수량에 다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소면수량은 주당삭수와의 표현형상관이 $F_1,$ $F_2,$ $F_3$ 모두 고도의 전상관을 나타냈고, 유전상관도 높음에 따라 유전적인 관련성이 크다고 인정되였다. 따라서 다수성을 선발하려면 주당삭수가 많은 개체를 후기세대에서 선발하는 것이 선발효율이 크다고 사료된다. 또한 양질계통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장섬유 및 고소면개체를 초기세대부터 선발해도 선발효율은 클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러한 개체는 동시에 만숙성을 내포할 가능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