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e residue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1초

수출용 단감에 대한 Difenoconazole과 Thiamethoxam의 잔류특성 연구 (Residue Studies of Difenoconazole and Thiamethoxam during Cultivation of Sweet Persimmon for Export)

  • 장희라;강혜림;도정아;오재호;황인균;권기성;임무혁;김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8-254
    • /
    • 2012
  • 국내 유망 수출 식품 중 잔류농약으로 인하여 수출 장애가 있는 식품을 대상으로 문제가 되는 농약에 대해 CAC 및 수출국의 농약잔류 허용기준 제안을 위한 작물잔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작물은 수출용 단감이었고, difenoconazole과 thiamethoxam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Difenoconazole의 잔류량 범위는 0.2~0.56 mg/kg였고, thiamethoxam의 잔류량 범위는 0.08~0.28 mg/kg으로 두 약제 모두 수확 1일차 시료부터 MRL 농도 이하로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약제를 살포하고 수확한다면 국내에 설정된 MRL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ifenoconazole의 각 포장별 반감기는 각각 13.6, 19.4, 16.3일 이었고, thiamethoxam의 각 포장별 반감기는 각각 10.0, 15.3, 14.0일 이었다. Clothianidin의 잔류농도는 1개 지역에서 14, 28일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나, 농도는 0.03 mg/kg 이하였다.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Pesticide Residue Survey and Estimate Intake Amount of Vegetables in Noeun Wholesale Market, Daejeon)

  • 한국탁;이규승;이은경;이용재;고광용;원동준;이정원;권순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0-214
    • /
    • 2003
  •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6종의 채소류 중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후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00건의 분석시료 중 농약이 검출된 시료의 비율은 46.0%이었고, 잔류허용기준 초과비율은 6.0% 이었다. 검출비율이 높은 시료는 상추(85.0%), 깻잎(80.0%), 오이(60.0%) 순이었고, 상추 3건, 깻잎 3건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제는 dicarboximide계, 유기염소계, azole계 농약, 살충제는 유기인계, 합성 pyrethroid계 농약이 많이 검출되었다.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은 procymidone, chlorpyrifos, chlorothalonil, cypermethrin, EPN의 순이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농작물에 대한 농약의 추정 섭취량과 ADI를 비교한 결괴 허용기준을 초과한 깻잎의 bitertanol, triflumizole, iprobenphos가 다른 성분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각 농산물의 식이섭취량이 적어 ADI에 대한 추정섭취량의 비율이 0.46% 이하로 나타나 그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Chlorothalonil의 참깨 및 토양중 잔류소장에 관한 연구 (Residue Determination of Chlorothalonil in Sesame and Soil)

  • 이강봉;조일규;심재한;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2
    • /
    • 1990
  • Chlorothalonil의 참깨 재배중 살포횟수 및 처리시기에 따른 잔류정도와 토양에 처리한 후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hlorothalonil의 잔류분석 회수율은 참깨시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0.1ppm과 1.0ppm에서 각각 평균 91.2%, 89.6%를 보였고 검출한계는 0.01ppm이었다. 토양시료에서는 0.05ppm과 0.5ppm의 처리에 대한 회수율이 각각 평균 92.8%와 95.4%이었으며 검출 한계는 0.002ppm이었다. 2. Chlorothalonil의 참깨에서의 잔류분석은 Mills등의 방법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얻을수 있었고 그 결과 수확 3일전 6회 처리는 0.06ppm, 수확 7일전 5회처리는 0.05ppm이 잔류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며 chlorothalonil의 참깨에 대한 안전사용은 수확 7일 전한, 5회 이내의 사용으로 추천할수 있었다. 3. Chlorothalonil의 토양에서의 잔류분석 결과 처리 0일째 평균 12.95ppm이던 잔류량이 처리후 10일째는 3.28ppm으로 감소되었고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0.03ppm만이 잔류되어 있었으며 곡선회귀식에 의한 chlorothalonil의 토양중 반감기는 8.9일 이었다.

  • PDF

벼 재배 토양과 토양수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rice paddy soil and paddy water)

  • 노현호;이재윤;박소현;정오석;김서홍;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7-144
    • /
    • 2012
  • 전국 논토양과 논물 중 잔류농약을 모니터링하고 검출농약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1년 7월과 8월 전국 40지점의 논에서 토양과 논물을 각각 채취하여 GC와 HPLC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총 160점 시료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0점의 논토양의 경우 butachlor 등 5종의 농약이 13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어 약 16.3%의 검출율을 보였으나 물 시료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농약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GUS를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검출농약 모두 GUS가 1.3 이하로써 검출된 농약이 지하수로 용탈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결과 검증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실험실간 협력 실험 (The collaborative study for verification of analytical results and assurance confidences for pesticide residue)

  • 박혜진;고광용;한국탁;김일중;이용재;김성헌;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15-221
    • /
    • 2005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기에 앞서 대전지역에서 잔류분석을 시행할 관련기관(충남대학교 농생대 농화학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들간의 각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기 안정도 및 회수율 협력 실험을 통하여 분석 결과의 검증 및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실시하였다. 기기안정도 실험에서는 bifenthrin의 경우 기관별 크로마토그램상의 area 변화의 상대표준편차 범위가 0.684%(기관 D)~1.212%(기관 C), chlorpyfiphos의 경우 0.159%(기관 A)~0.405%(기관 C), diazinon의 경우 0.324%(기관 B)~0.623%(기관 C), 그리고 ethoprophos의 경우 0.274%(기관 B)~0.736%(기관 C)이었다. 정량 분석법에서는 상대 표준편차범위는 10% 정도가 되어야 만족스럽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상대 표준편차는 1.212% 이하로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각 기관별 기기는 매우 안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회수율 실험의 경우 참깨와 오이의 결과 회수율은 63.4-94.3%이며 이들의 상대표준편차(RSD) 또한 0.32-1.03으로 각 기관별 분석방법은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추후에 좀 더 많은 Data를 가지고 기관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pineb의 안전사용(安全使用) 기준(基準) 설정(設定)을 위한 잔류분석(殘留分析) (Residue Analysis to Establish an Index for the Safety Use of Propineb)

  • 최원석;양재의;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9-214
    • /
    • 1992
  • 이 실험은 참깨에 대한 Propineb의 안전(安全) 사용기준(使用基準)을 설정하기 위하여 보호(保護) 살균제(殺菌劑)인 Propineb(56%)와 직접(直接) 살균제(殺菌劑)인 Oxadixyl(8%)의 혼합제(混合劑)를 경엽 살포하였을때, 그 시용량(施用量)과 시용시간(施用時間)에 따라 참깨시료중에 잔류(殘留)하는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을 측정하였다. 공시농약의 처리는 수확전 3, 7, 15, 30, 45, 60일에 하였으며 Propineb는 각 처리구당 $0.028g/m^2$의 수준으로 시용(施用)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 중 Propineb의 회수율(回收率)은 84-96%이었으며, 최소(最少) 검출(檢出) 한계(限界)는 0.03mg/kg이었다. 2. 처리횟수 및 처리기간에 따른 참깨 시료중의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0.14{\sim}1.38mg/kg$ 범위였다. 3.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처리 횟수가 많을수록, 또 처리 일수가 수확일에 가까울수록 많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 참깨시료중에 Propineb의 잔류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했으며 이는 First-Order Kinetics에 따랐다. 5. 참깨시료중 Propineb의 잔류량은 6회 사용, 수확 3일전에 처리하였을 경우에 1.38mg/kg이었으며,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최대(最大)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인 2mg/kg보다 낮았다. 6. 본 실험에서 측정한 Propineb의 반감기(半減期)는 $12{\sim}16$일이었다.

  • PDF

주요 농산물 중 Bezenesulfonamide계 살균제 Flusulfamide의 잔류 분석법 (Analytical Method for Flusulfamide as Benzenesulfonamide Fungicide, Residues in Major Agricultural Commodities)

  • 안경근;김기쁨;황영선;강인규;이영득;정명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7-6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benzenesulfonamide계 살균제 flusulfamide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대표 농산물은 사과, 고추, 배추, 현미 및 콩을 적용하였고, acetone에 의해 추출된 flusulfamide 성분을 dichloromethane 액-액 분배법과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HPLC-UVD/MS의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Flusulfamide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최적 HPLC-UVD 분석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정량한계(LOQ)는 0.02 mg/kg 이었다. 각 대표 농산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 한계의 10배 및 5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2.3-98.2% 수준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반복간 변이계수(CV)는 최대 6.5%를 나타내어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LC/MS/SIM을 이용하여 실제 농산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flusulfamide의 HPLC-UV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주요하천수(主要河川水)에 대(對)한 농약잔류(農藥殘留) 실태조사(實態調査) (A Survey for Pesticide Residues in Major Rivers of Korea)

  • 이해근;이영득;박영선;신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1983
  • 우리나라 주요(主要) 하천수(河川水)에 대(對)한 농약잔유실태(農藥殘留實態)를 파악(把握)하여 농약안전사용(農藥安全使用)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자 5대강(大江) 본류(本流)를 중심(中心)으로 주요(主要) 지류유입지점(支流流入地點)을 강별(江別)로 5개소(個所)를 선정(選定), 갈수기(渴水期)(4월(月))와 성수기(盛水期)(8월)에 동일(同一) 지점(地點)에서 시과(試科)를 채취(採取)하여 하천수중(河川水中) 농약잔유량(農藥殘留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조사대상지역(調査對象地域)이나 조사시기(調査時期)와는 무관(無關)하게 하천수중농약잔유량(河川水中農藥殘留量)은 극미량(極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대체(大體)로 성수기(盛水期)가 갈수기(渴水期)에 비(比)해 다소(多少) 높은 수준(水準)으로 검출(檢出)되었는데, IBP와 diazinon의 경우는 그러한 현상(現象)이 더욱 현저하였다. 유기인계농약(有機燐系農藥)은 IBP와 diazinon만이 검출(檢出)되었으며, fenthion, fenitrothion, chlorpyriphos, chlorpyriphos-methyl, chlorfenvinphos, phenthoate, 및 edifenphos는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IBP와 diazinon의 조사최고치(調査最高値)는 각각(各各) 1.53과 0.39ppb이었다. 유기염소농약(有機鹽素農藥)은 조사시기(調査時期)에 따른 차리(差異)가 거의 없었다. Aldrin은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dieldrin과 p.p`-DDT는 극(極)히 일부(一部) 시료(試料)에서만 극미량(極微量)으로 검출(檢出)된 반면(反面), BHC와 heptachlor및 ${\alpha}-endosulfan$의 검출빈도(檢出頻度)는 다소(多少) 높은 편(便)이나 그들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은 매우 낮았다.

  • PDF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

국내 골프장농약 사용에 따른 골프장 및 인근 지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조사를 통한 영향평가 (Pesticides Residue Monitoring and Impact Evaluation of Golf Course and Neighbouring Area in Korea)

  • 이준배;조훈제;곽은지;박경훈;이민경;김현구;정현미;장희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2
    • /
    • 2018
  • BACKGROUND: At these days, the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of pesticide used for turf grass management at golf courses in Korea have increase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pesticide residues for golf course and neighboring area and evaluate the impact moved into neighboring area of pesticides treated at golf courses. METHODS AND RESULTS: Three golf courses and neighboring areas in Korea were monitored from July to October, 2017. The soil sample collection was divided the golf course into its logical parts (such as a greens, fairways, and rough) and neighboring a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points. The water samples of the golf course and neighboring area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points, respectively. The pesticide residues for soil and water sample were monitored by the multi-residue screening method of 98 pesticide with HPLC-MS-MS. The concentrations of detected pesticide in soil and water samples of the golf course were in the range of 0.01~1.26 mg/kg and 0.0001~0.0089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levels for detected pesticides in neighboring area were at 0.01~0.04 mg/kg and 0.0001~0.0029 mg/kg, respectively, well below those level in golf course.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sticide residue levels of golf course and neighboring area in Korea may not a possible risk of exposure on soil and aquatic environment. For future work, more monitoring should be performed so that the evaluation data becomes more va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