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llaborative study for verification of analytical results and assurance confidences for pesticide residue

분석결과 검증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실험실간 협력 실험

  • Park, Hye-Jin (Dept. of nutrition, food science, and hospitality, South Dakota State Univ.) ;
  • Ko, Kwang-Yo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an, Kook-Tak (National Agriculture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
  • Kim, Il-Jung (National Agriculture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
  • Lee, Yong-Jae (KT&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Kim, Sung-Hu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Se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박혜진 ;
  • 고광용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식품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 한국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분석실) ;
  • 김일중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분석실) ;
  • 이용재 (KT&G 중앙연구원) ;
  • 김성헌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식품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 이규승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식품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The residual study of pesticide has been used in various areas, such as food safety, environmental protection, establishment of tolerance, and explaining the pathway and reaction mode of pesticides, and its importance wa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more. The aspect of food safety, the pesticide residue survey have been practiced at many organizations, but there were no verification of analytical results at present. In this experiment, we focused on instrumental stability, including response of each instrument and the recovery ratio of each organization's method. As samples for this experiment, we prepared cucumber and sesame, and chose 4 pesticides (bifenthrin, chlorpyrifos, diazinon, and ethoprophos), which were mostly detected from pesticide residue survey and widely used for each crop. The standard deviation of peak areas in the chromatogram of each pesticide were under 1.212 %, so it showed that most instruments were stable. The relationship of recovery ratio of each organization were over 0.996 for every pesticide and each organization. Finally, the analytical results for pesticide residue from each participated organization we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and we could put confidence in the result from each organization.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기에 앞서 대전지역에서 잔류분석을 시행할 관련기관(충남대학교 농생대 농화학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들간의 각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기 안정도 및 회수율 협력 실험을 통하여 분석 결과의 검증 및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실시하였다. 기기안정도 실험에서는 bifenthrin의 경우 기관별 크로마토그램상의 area 변화의 상대표준편차 범위가 0.684%(기관 D)~1.212%(기관 C), chlorpyfiphos의 경우 0.159%(기관 A)~0.405%(기관 C), diazinon의 경우 0.324%(기관 B)~0.623%(기관 C), 그리고 ethoprophos의 경우 0.274%(기관 B)~0.736%(기관 C)이었다. 정량 분석법에서는 상대 표준편차범위는 10% 정도가 되어야 만족스럽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상대 표준편차는 1.212% 이하로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각 기관별 기기는 매우 안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회수율 실험의 경우 참깨와 오이의 결과 회수율은 63.4-94.3%이며 이들의 상대표준편차(RSD) 또한 0.32-1.03으로 각 기관별 분석방법은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추후에 좀 더 많은 Data를 가지고 기관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