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ing Workforc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고령화와 조직 혁신: 비선형성과 연령 다양성의 조절효과 (Aging Workforce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Curvilinear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Diversity)

  • 박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40-446
    • /
    • 2018
  • 본 논문은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효과와 연령 다양성이 이러한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지식경영 기반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업 특유적 지식과 조직 내외부 사회적 연결망 측면에서 고령인력이 일정 정도 조직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반면, 고령인력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면 새로운 지식 창출관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조직 혁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효과가 보다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더하여,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적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연령 다양성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연령 다양성이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 간 비선형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측한대로 고령인력과 조직 혁신은 역 U자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령 다양성은 이러한 역 U자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결과는 고령인력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들을 보다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고령화 인력의 직무 특성, 직무만족도, 그리고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국내 상용직 근로자와 비상용직 근로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Life Quality of Aging Workfor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 임승준;이정호;류춘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9-211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직면하여 기업 및 사회의 고령화 인력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들 삶의 질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수집한 고령화 6차 패널 자료를 통해 국내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 연구 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고령화 인력의 자발적 복리후생 유무, 임금 수준, 법정 복리후생 유무, 관행적 퇴직 권유 수준, 그리고 직무적합도는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비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비상용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임금 수준과 삶의 질 간 매개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으로 하여금 고령화 인력의 활용을 비용적 측면이 아닌 사회적 가치의 향상으로 인식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국내 기업과 정부의 정책입안자에게 국내 고령화 인력의 활용방안과 상용직 근로자와 비상용직 근로자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평균연령 증가 추세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Aging and Research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승태;정수현;이기종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3호
    • /
    • pp.25-50
    • /
    • 2017
  • 정부재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에 대해 국회와 언론을 중심으로 연구경쟁력과 비효율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들 외부 관계자는 출연(연) 평균연령의 증가를 비효율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는다. 평균연령 증가가 인건비 상승, 연구명맥 단절, 신진 연구자 유입 저하 및 연구경쟁력 약화 등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출연(연) 내부에서는 평균연령 점증은 입직(入職) 연령증가 등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연구성과에 미치는 부작용은 낮거나 오히려 그 반대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논쟁이 극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연령과 연구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한 기존 연구가 없다는 점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인식하에 2011년도부터 2015년도까지의 5개년도 출연(연) 연구성과 및 인력구조를 추적 조사 및 분석하고, 평균연령과 연구성과 간의 상관관계의 실증을 시도했다. 그 결과 논문성과와 평균연령은 역U형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최적 평균연령은 44.96세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허성과에 있어서는 평균연령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Aging Workers and Trade-Related Injuries in the US Construction Industry

  • Choi, Sang 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2호
    • /
    • pp.151-155
    • /
    • 2015
  •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y trends of injury type as it relates to the age and trade of construction worke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any individual who, while working on a heavy and highway construction project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sustained an injury during the specified time frame of whe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is period, 143 injury reports were collected. The four trade/occupation groups with the highest injury rates were laborers, carpenters, iron workers, and operators. Data pertaining to injuries sustained by body part in each age group showed that younger workers generally suffered from finger/hand/wrist injuries due to cuts/lacerations and contusion, whereas older workers had increased sprains/strains injuries to the ankle/foot/toes, knees/lower legs, and multiple body parts caused by falls from a higher level or overexertion. Understanding these trade-related tasks can help present a more accurate depiction of the incident and identify trends and intervention methods to meet the needs of the aging workforce in the industry.

설문조사를 통한 건설근로자의 현황분석 연구 (Questionnair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truction Labor Force)

  • 김태균;김창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2부
    • /
    • pp.95-97
    • /
    • 2010
  • Current trend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the aging of the workforce, a lack of new Korean construction workers, and an inflow of unskilled foreign labor, have caused a range of problems, including quality deterioration, reduced productivity,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to name a few. Yet while countermeasures to these problems should be based on accurate and diverse fundamental data,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demand and supply of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workers, the perception of construction workers, studies on these questions have, thus far, been scarce.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managers and workers on construction sites, to secure fundamental data relating to construction workers. The findings of the survey showed that it is urgent to prepare measures to educate, train and foster human resources, considering the aging of the construction workforce and the lack of an inflow of new construction workers.

  • PDF

건설업 실태분석을 통한 건설업생산성의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through Construction Status Analysis)

  • 박홍태;전준태;이양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42-257
    • /
    • 2012
  •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의 양상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여성화 추세이며, 더불어 출산율의 저화와 고령화 인구의 비율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어려운 인력수급으로 건설노무자는 외국인에 의해 충원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과 FTA의 체결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쇠퇴하면 건설노무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건설 기능인력의 부족현상과 기능 인력의 노무비 증가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건설업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업 생산성을 위해 최근 자료로부터 국내 건설경기 동향, 산업별 생산성 지수, 산업별 취업자 추이, 연령 계층별 기능인력 추이, 여성 기능 인력 추이, 노동시간 추이, 외국노동자 인력 추이, 건설업의 수주동향 분석, 업체규모별 수주동향, 건설경영분석지표로부터 노동생산성에 관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분석으로 건설업생산성 발전전망을 제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고령화 인식정도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gree of aging recognition of firefighters and countermeasures(focus on firefighters in Jeollanam-do))

  • 하강훈;김재호;최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98-407
    • /
    • 2021
  •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소방공무원은 고령화로 인한 문제점이 예상 되는 직업중 하나이다. 소방공무원의 평균 연령 증가로 인한 고령화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전라남도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직무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방공무원 고령화 인식 정도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고령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업무상의 문제점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고령화 대비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소방공무원의 고령화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총 근무경력과 내/외근직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고령화에 대한 인식정도가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방공무원의 고령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체력 증진 프로그램 등의 주기적 운영, 현장업무 수행, 직무순환 및 행정부서 등으로의 보직 변경 등의 관리적 방안 마련, 드론이나 로봇 기술을 적용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소방 활동에 적용 가능한 기술의 도입, 퇴직관리 정책의 수립과 민간취업의 연계 활성화 방안의 마련 등이 있다. 현장 적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 방안의 마련과 계획적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 노화인식,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 Stress for Older Pati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Aging Anxiety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Nurses)

  • 강수진;염혜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75-18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are stress for older pati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anxiety about aging on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 which participants were 222 nurses who had at least six months of work experience and were involved in caring for older patients in the last six months at the work sit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using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he participants was moderate (3.21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domains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financial preparation had the lowest scor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aging anxie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nurses, accounting for 16% of the variable's total variance. Conclusion: A greater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was associated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aging and a decreased level of aging anxiety in the clinical nurse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exploration of specific determinants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he nursing workforce.

산업구조의 변화와 고령인력의 고용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and Employment of Older Workers)

  • 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1호
    • /
    • pp.55-88
    • /
    • 2012
  • 이 논문은 각 산업의 인력고령화 실태를 살펴보고 산업구조의 변화가 고령자에 대한 노동시장 수요 및 고령자의 고용안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1~2010년 사이 고령근로자를 많이 고용한 산업의 고용규모는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고령근로자에 대한 노동시장의 상대적인 수요가 감소하였다. 또한 2001~2010년 발생한 산업구조의 변화는 고령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논문의 결과는 고령인력의 고용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고령자의 노동시장 여건이 전반적으로 호의적이지 못하다는 점과 각 산업의 고령자 고용여건이 매우 이질적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of construction workers through cognitive function training

  • Se-jong Ahn;Ho-sang Moon;Sung-Taek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2호
    • /
    • pp.159-166
    • /
    • 2023
  • Due to the aging workforc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South Korea, the accident rate has been increasi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older workers are closely related to both safety incidents and labor productiv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gnitive abilities through personalized training based on cognitive assessment results, us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 in order to enable safe performance in labor-intensive environments. The provided cognitive training content includes concentration, memory, oreintation,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Difficulty levels were applied to each content to enhance user engagement and interest. To stimulate interes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rticipants, the difficulty level wa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feedback from the MMSE-DS results and content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individual training scenarios have been set differently to intensively improve insufficient cognitive skills, and cognitive training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reduce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measured data and research. Through such simple cognitive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duction of accidents in the aging construction workforce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social costs associated with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s caused by acc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