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gregate Grading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5초

저온소성 납석질 벽돌의 특성에 관한 연구(저온소성 ladle용 벽돌의 개발연구 제이보) (Characteristics of Pyrophyllite Aggregate fired at Low Temperature(II))

  • 지응업;한기성;최상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9
    • /
    • 1975
  • The continuous grading method of pyrophyllite particles was adopted to prepare the refractories for ladle. The optimum conditions of fabrication adjusting the binders, the amount of water, the forming pressure and the firing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The various properties, such as strength, density, porosity, thermal shock, corrosion resistance to slag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properties of ladle bricks presently used at local steel plants. The specimen studi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showed a rather superior properties to theconventional product available locally.

  • PDF

Durability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Fine Sand of Nakdong-River

  • Kwon, Soon-Oh;Bae, Su-Ho;Lee, Hyun-Jin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65-271
    • /
    • 2014
  • It is strongly needed to investigate the fine sand as an alternative fine aggregate of well-graded river sand because the fine sand which is being enormously distributed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Nakdong-River in Korea has a poor grading but good quality as a fine aggregate for concrete. Thu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the fine sand to utilize it actively as a fine aggregate. For this purpose, the concrete specimens using different fine sand were made for the specified concrete strength of 35MPa, and then their durability such as the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and carbonation, and drying shrinkage were evaluated. It was observe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and carbonation of concrete using the fine sand was similar to that of concrete using reference sand, but the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the fine sand with small fineness was comparatively lager than that of concrete using reference sand.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순환골재 미분말의 입도 변화에 따른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 (Effect of Grading of Fine Powder obtained from Recycled Aggregates on Fundamental Properties of Slag-based Mortar)

  • 황금광;박재용;정상운;허영선;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7-38
    • /
    • 2013
  • The fine powder obtain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contains unhydareted cement particles on their surface. It is believed that the alkalinity of the powder (11.0-12.5) is enough to active the slag-based composites. In this paper, the obtained powder was sieved and divided into two sizes, i.e., 0.08 mm and 0.3 mm, and added to the slag-based mortar. Results showed that the fine powder had an effect on the slump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lag-based composites. With the different pH values of the powder, it could be see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vel powders. And found the peak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as the replacement ratio of the recycled aggregate powder chang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an indication that with achieved compressive strength, the fine powder can be used in a light weight concrete.

  • PDF

잔골재를 패각으로 치환한 모르터의 강도, 흡수율 및 계면 결합형태 (Strength, Absorption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Mortar Using Waste Shells as Fine Aggregates)

  • 문훈;김지현;이재용;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23-529
    • /
    • 2014
  • 국내에서는 많은 양의 패류가 생산되고 있으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량의 패각을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패각을 대량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건설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르터의 잔골재를 패각으로 치환하여 흡수율,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계면결합 형태를 관찰하였다. 대체적으로 패각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압축강도는 감소하였다. 예외적으로 꼬막 패각을 치환한 모르터는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패각 치환율의 증가에 따른 흡수율의 증가 및 압축강도의 감소는 패각 주위에 발생한 다공성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꼬막 패각을 치환한 모르터는 패각과 시멘트 입자간의 계면결합 형태가 양호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강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A proposal for an approach for meso scale modeling for concrete based on rigid body spring model

  • Zhao, Chao;Shi, Zheng;Zhong, Xingu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7권3호
    • /
    • pp.283-295
    • /
    • 2021
  • Existing meso-scale models of concrete need to refine the mesh grids of aggregate and cement mortar, which may greatly reduc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To overcome this problem, a novel meso-scale modeling strategy, which is based on rigid body spring method and Voronoi diagram, is proposed in this study to establish the meso-scale model of concrete. Firstly, establish numerical aggregate models according to user-defined programs. Circle aggregates are adopted due to their high efficiency in generation and packing process, and the grading of aggregat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urve proposed by Full and Thompson; Secondly, extract the centroids of aggregates, and then develop the Voronoi diagram in which aggregate centroids are defined as initial scatters; Finally, establish the rigid body spring model for concrete based on the Voronoi diagram. Aggregates are represented by rigid blocks, and assumed to be unbreakable. Cement mortar is concentrat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adjacent blocks and represented by two uniform springs. The number of grids is consistent with that of aggregates in specimens, and no mesh-refinement of aggregates and cement mortar is required.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modeling strategy are firstly identified by comparing the numerical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ones, and then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strategy with different volume percentage occupied by aggregates is investigated.

해양구조물 제조를 위한 제강슬래그 골재 조합별 물성평가 및 콘크리트 개발( I ) (Development of Concrete and Evaluation of Properties of Combined Steel making Slag Aggregates for Offshore Structure Production (I))

  • 정원경;황윤석;박동천;조봉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2호
    • /
    • pp.49-59
    • /
    • 2016
  • 제강슬래그는 제강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 토목용, 돌용 및 시멘트 원료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활용분야가 대부분 저부가가치 분야에 집중되어 제강슬래그의 장점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강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나 한정적인 제강슬래그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팽창성 억제에 관한 것으로 실질적인 콘크리트용 골재로써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방식에 따라 제강슬래그 골재를 구분하여 총 7종을 통한 골재간 조합을 통해 콘크리트용 골재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제강슬래그 골재를 일반 콘크리트용 골재와 동등하게 활용하기에는 입도, 염화물함량 등의 기준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절한 골재조합을 통해 특수분야에 한하여 콘크리트용 골재로는 그 활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재료에 따른 다짐말뚝 구근 형성 메커니즘 (Mechanism on Bulb Formation of Compaction Pile Depending on Materials)

  • 최정호;이민지;;박성진;추연욱;김일곤;김병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7호
    • /
    • pp.25-3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연약지반개량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모래다짐말뚝 공법의 개선을 위해 개발된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구근 형성 및 품질을 평가하고자 다짐말뚝 시공을 모사하는 축소모형실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재 모래다짐말뚝 공법의 경우 모래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경제성이 하락하였고, 쇄석다짐말뚝 공법은 해상 초연약점토지반에 시공 시 구근의 팽창 파괴로 인한 불균일한 구근과 퍼짐 현상 발생으로 해상 연약지반 적용에 한계가 있어왔다. 구근의 균일한 형성은 다짐말뚝의 지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나, 현재까지 구근 형성에 대한 연구사례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짐말뚝 구근이 시공되는 절차를 모사하여 구근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기존 다짐말뚝 공법을 개선하는 입도조정골재의 품질 평가를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짐말뚝 재료와 지반 강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4차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짐말뚝 재료는 입도조정골재와 모래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구근은 모래다짐말뚝과 유사한 품질로 나타났으며,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지지력이 모래다짐말뚝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형삼축시험에 의한 상사입도 조립재료의 변형 및 전단강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Deformation and Shear Strength of Parallel Grading Coarse-grained Materials Using Large Triaxial Test Equipment)

  • 김광일;신동훈;임은상;김기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2호
    • /
    • pp.57-67
    • /
    • 2009
  • 최근 시공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댐 축조재료로 사용되는 조립재료의 최대입경은 수cm에서 1m이상에 달하고 있다. 실제 현장 원입도 시료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고가일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많은 문제가 존재하므로 일반적으로 상사입도 시료에 대하여 실내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실제 지반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에 적용한다. 지반구조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거동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입자크기에 따른 전단거동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B댐 현장 댐 축조시료인 하상 사력재에 대하여 최대입경을 서로 달리하여 재구성한 상사입도시료를 대상으로 같은 상대밀도로 공시체를 제작하여 대형삼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최대입경의 변화에 따른 상사입도시료의 응력-변형특성, 전단강도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시험결과 조립재료는 전단과정에서 응력연화 및 체적팽창 거동을 나타내고, 상사입도 시료의 최대입경이 증가할수록 그 현상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마찰각, 전단강도는 상사입도 시료의 최대입경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품질 골재가 동일 작업성 조건에서 콘크리트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quality Aggregates in the Same Workability Condition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 민경철;한천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99-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일 작업성 조건에서 저품질 잔 굵은 골재가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 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럼프 및 공기량을 단위수량과 AE제 혼입량 변화로 동일하게 배합설계 하였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 비해 저품질의 골재 사용시 불량의 입도 및 미립자량 등의 영향으로 단위수량 및 AE제 혼입량이 각각 약 18%, 98%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양호한 품질의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 비해 저품질의 발파석 굵은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서 특히, 발파석 마사토 및 해사와 같은 저품질 잔골재와 복합될 때 20~35% 까지 저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품질 잔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는 압축강도뿐만 아니라 탄성계수와 내구성으로 동결융해, 건조수축, 탄산화 및 염해저항성 측면에서도 크게 저하하여 그 심각이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저품질 골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물씻기, 혼합골재에 의한 입도 조정 등 별도의 처리를 거쳐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을 철저히 규제하는 특별한 대책이 수립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잔골재 조립률 및 굵은골재 입형이 초유동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ineness Modulus of Pine Aggregate and Grain Shape of Coarse Aggregate on the Properties of High Flowing Concrete)

  • 정용욱;이승한;윤용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85-792
    • /
    • 2005
  • 본 연구는 굵은골재의 입형불량과 잔골재의 조립률 저하가 초유동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이다. 이론 위해 잔골재 조립률을 2.0, 2.5, 3.0, 3.5로 변화시키고 굵은골재는 입형개선전$\cdot$후 골재를 사용하여 초유동콘크리트의 유동검 및 충전성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골재입자의 분산거리를 상대비교 함으로써 잔골재의 조립률 및 굵은골재의 입형이 골재입자의 분산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굵은골재와 잔골재 혼합시의 최소공극률은 골재 입형개선 유무에 관계없이 잔골재 조립률 3.0, 2.5, 2.0, 3.5 순으로 나타나 조립률 KS 규정 값 $2.3\~3.1$보다 작거나 클 경우 공극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굵은골재의 입형은 구형율 0.69의 원반상에서 구형율 0.78의 구상으로 개선할 경우 최소공극률을 나타내는 잔골재율을 $47\%$에서 $41\%$$6\%$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골재 조립률에 따른 28일 압축강도 특성은 조립률 2.0에서 2.5, 3.0으로 증가할수록 약 3MPa씩 증가하였으나, 조립률 3.5에서는 3.0에 비해 약 9MPa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굵은골재의 입형개선과 잔골재 조립률의 증가는 유동성, 충전성 및 V로드 상대유하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잔골재 조립률은 KS 규정 값 $2.3\~3.1$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높은 값을 사용하는 것이 페이스트 용적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