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workers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6초

일부 도시지역에 있어서 중, 고교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Menstruation of Middle & High School Girls in an Urban Area)

  • 김명엽;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3-72
    • /
    • 1971
  •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detailed survey of 1,285 students experiencing menstruation, who were chosen among 1,717 students in middle & high school gir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20-July 24, 1971. 1. Age of Menarche An average age of menarche was 13.3$\pm$1.07. The earliest age of menarche was 9 and the latest age 18. Ages of menarche were between 12 and 14 in 84.3 percent of the students surveyed. a. By present age distribution, the aged students were lower, than younger students in the average age of menarche. b. By father′s educational levels,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graduated from high schools, college & ever the earliest average age of menarche was found with 13.2, and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graduated from primary schools that wag latest with 13.6. c. By father′s occupations,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om engaged in "workers not classifiable"the earliest age of menarche was found with 12.5$\pm$0.27,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service business"the second was 12.9$\pm$1.07, and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miners, quarrymen and related workers"that was latest with 13.8$\pm$1.14. d. By economic status, among the students of "wealthy"families the age of menarche was 13.1$\pm$0.25, the among the students of "ordinary"families the lags of menarche 13.3$\pm$1.06. and the among the students of "poor" families that was 13.8$\pm$0.31. e. By home discipline, among the students being treated "rigid" the age of menarche was 13.5$\pm$1.13, among the students being treated "moderate"the age of menarche was 13.3$\pm$0.22, and those being treated "indifferent" that was 13.0$\pm$0.26. f. By students physical condition, among the students of "good" condition the average of menarche was 13.3$\pm$0.16, and among the students "poor" that was 13.5$\pm$0.31. 2. Menstruation a. For the six months after the average of menarche 39.0 percent of the students had normal menstruations, and 61.3 percent of them had abnormal ones. Of the students with abnormal menstruation 21.7 percent had abnormal menstruation from time to time, 25.4 percent had no menstruation for one month to three months, 7.2 percent had menstruation for four to six months and 6.7 per cent had no menstruation for more than sin months. Most students became to have normal menstruations a few months later the age of menarche. b. At the time interviewed, the percentile of cycle of menstruation as following: 23 days types: 46.8 percent 30 days types: 40.6 percent others : 12.6 percent The average cycle of menstruation was every 28.9 days. c. The average duration of menstruation is 4.69 days. d. The subjective symptoms during menstruation period: Out of the total 89.7 per cent had some pains, while 10.3 percent had no symptom. Among the symptoms, abdominal pain occupied 29.9 percent, neurotic symptoms 19.0 percent and lumbago 15.1 percent. e. By attitude or Action at first physical change, "Treated it by own experience" : 30.0 percent "Don′t know what to do because of ignorance" : 20.1 percent "Asked others about it" : 43.0 percent

  • PDF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 이현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3-61
    • /
    • 2003
  • 본 연구는 서구사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중고령자의 조기퇴직과 그에 따른 경력의 마감형태에 대하여 개인수준의 자료를 갖고 노동시장 및 사회보장정책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오늘날 많은 중고령근로자들이 조기퇴직을 하고 있지만 그 이후에 어떤 형태로 경력을 종료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5세 이후 직업에서 이탈한 후 61세까지의 개인의 노동시장 경험을 분석하여 노년기의 경력마감형태를 발견 구성해 보고 어떤 요인들이 복잡한 경력종료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시적 모형과 거시적 모형을 설정, 그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대규모의 조기퇴직 현상은 종래의 사회심리적 결정모델과 미시경제적인 설명방법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과정으로서 노동시장의 주체(기업, 경영자협회, 노조, 국가)등의 역할을 강조하는 고령화의 정치경제적 접근(political economy of aging)에 바탕을 둔 노동시장접근방법을 차용하였다. 본 목적을 위해 전미고령자종단연구 1966-1991(최종분석대상 n=2,784)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55세 현직에서 계속 근무하는 형태(27.3%), 55세 직업을 그만두고 전직하여 다른 직업에서 근무하는 형태(46.1%), 노동시장전출입을 반복한 형태(4.4%), 간헐적으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형태(15.9%), 영구 퇴직하여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는 형태(6.3%)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설명모델을 추정한 결과 건강의 정도, 코호트 소속, 민족적 배경, 가치관 변수보다는 기업연금, 공적연금, 노동시장상태, 직업의 구조변수들이 고령자의 경력마감행동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동시장접근관점이 조기퇴직을 설명하는데 더 강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탄광부 진폐증 환자에 동반된 기관지 탄분섬유화증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Associated with Coal Workers' Pneumoconiosis)

  • 김미혜;이홍열;남기호;임재민;정복현;류대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67-73
    • /
    • 2010
  • Background: In previous study, most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BAF) were non-miners, and non-occupational old aged females.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AF in patients with coal workers' pneumoconiosis (CWP) is unknown. Methods: Among patients with CWP who transferred to our hospital for an evaluation of associated pulmonary diseases, 32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bronchofibroscopy (BFS)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examination were evaluated for the association of the BAF using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Results: Nine of the 32 CWP patients (28%) were complicated with BAF. Four of the 16 simple CWP patients (25%) were complicated with BAF.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lassification by profusion, 2 out of 3 patients in category 1, 1 out of 8 patients in category 2 and 1 out of 3 patients in category 3 were complicated with BAF. Five out of 16 complicated CWP patients were complicated with BAF. Three out of 7 patients in type A and 2 out of 5 patients in type C were complicated with BAF. CWP patients with BAF had significantly greater multiple bronchial thickening and multiple mediastinal or hilar lymph node enlargement than the CWP patients without BAF.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ther clinical features between the CWP patients with BAF and those without BAF. Conclusion: Many CWP patients were complicated with BAF. The occurrence of BAF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CWP progression. Therefore, a careful evaluation of the airway with a bronchoscopy examination and chest CT is warranted for BAF complicated CWP patients who present with respiratory symptoms and signs, even ILO class category 1 simple CWP patients.

산업장 근로자들의 BMI 변화와 혈압 변화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among Industrial Workers)

  • 윤석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30-6141
    • /
    • 2015
  •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들의 건강검진결과를 토대로 BMI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및 고혈압 발생비율과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02년부터 20012년까지 11년간 정기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부터 69세까지의 산업장 근로자 28,249명(남자 25,548명, 여자 2,701명)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2002년부터 20012년까지의 BMI 구분에 따른 혈압의 평균치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준년도(2002)로부터 10년간의 BMI의 변화량구분별로 혈압의 평균변화량을 산출하였으며, 정상혈압에서의 BMI 구분별 10년간의 고혈압의 년차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0년간의 평균혈압은 BMI가 저체중군에서 정상체중군, 비만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0년간의 고혈압 발생비율도 BMI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10년(2002-20012)간의 BMI의 증가는 혈압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 인력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Manpower Esti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Workload of Medical Technologists)

  • 최세묵;양병선;김윤식;임용;오연숙;배도희;최병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95-503
    • /
    • 2019
  • 본 연구는 채혈실의 적정인력에 대한 표준산출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인력 규모를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표준산출모형을 위한 채혈 관련 주요 인자를 선정하고 국내현황조사, 인자의 병원 간 분석, 표준채혈시간을 제시하여 채혈 적정인력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소아와 노인을 제외한 20세 이상~60세 미만의 성인 외래채혈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14단계 표준채혈시간은 4분 8초이었다. 하루 8시간 기계적 채혈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1명의 임상병리사가 채혈 할 수 있는 최대건수는 100건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채혈에 종사하는 임상병리사의 1일 적정채혈 환자 건수는 100건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정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채혈적정인력은(채혈업무 100% 비중)=연간적정건수/((1일 근로시간/건당 소요시간)×연간 근무일수)이므로 채혈 적정인력(채혈업무 100%비중)=연간적정건수/(100×연간 근무일수)라 할 수 있다.

실천지침 이행률에 따른 대사증후군 중재 효과 비교: 직장인 남성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health outcomes according to intervention compliance in male Korean workers with metabolic syndrome)

  • 남경희;강지연;이연주;성숙희;장윤균;이지영;박일근;최태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56-16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how achievement of session goals contributes to outcomes of subjects after participation in a 12-week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MetS). Thirty office workers with MetS, aged $47.2{\pm}6.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rch to July, 2011.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ed face-to-face counseling five times during the 12-week period. Counselors and subjects designed session goals for each round. The average of the goal achievement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compliance for each rou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tertiles of achievement rate: Low-compliance group (LC, < 59%), medium-compliance group (MC, 59-70%), and high-compliance group (HC, > 70%). Anthropometry, biochem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 were examin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the 12-week intervention program. After the intervention,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group, and waist circumference (WC)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C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BP,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I group. Changes in SBP and DB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p < 0.01). Changes in L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Results for intake of total energy, protein, fat, and sodium, as well as rates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participants (p < 0.05). The change in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The change of fruit serving siz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C group (p < 0.01). The number of risk factors for Me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and HC groups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In conclusion, participation in this intervention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risk factors for Me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habits, especially in the High-compliance group.

중고령자의 은퇴 만족 유형과 삶의 만족도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ypes of Retirement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조규영;전혜정;이은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1-381
    • /
    • 2019
  • 본 연구는 은퇴를 주로 부정적인 생애사건으로 분류하였던 기존 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취업자를 참조집단으로 하여, 은퇴자의 은퇴 만족 여부(만족 은퇴, 불만족 은퇴)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1~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참여자 중 45세 이상의 취업자 1,886명, 은퇴자 723명으로 총 2,609명이며, 은퇴자는 1~2차년도 지속적 불만족 은퇴자와 만족 은퇴자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위해 성별에 따른 회귀계수의 차이를 Mplus 7.3을 사용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해 검증한 뒤, Wald-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불만족 은퇴자와 만족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은퇴에 불만족할 경우 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는 낮은 반면, 은퇴에 만족할 경우 오히려 취업자보다도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남녀 모두 불만족 은퇴자는 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이 효과는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만족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취업자보다 높은 반면, 남성의 경우 이러한 영향력이 유의미하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은퇴자 집단의 이질성 및 생애과정에서의 성차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노년기 농업노동의 사회복지비용 절감 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rming Labor in Later Life 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 윤순덕;박공주;강경하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109-126
    • /
    • 2005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공공의 사회보장부문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급여를 사회복지비용이라 정의하고, 노인의 농업노동 참여가 사회복지비용 지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농업노동 참여여부에 따라 1인당 그리고 한 해 사회복지비용 지출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소득·의료보장을 위해 지출된 2003년도 교통수당, 경로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국민건강보험급여 등 생계지원비 및 의료지원비를 37개 동·읍·면사무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자료제공 협조를 요청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799명에 대한 원자료를 수집·활용하였다. 65~74세, 75~84세, 85세 이상 등 3개 연령집단별로 분석한 결과, 첫째, 생계지원비 및 의료지원비 모두 모든 연령집단에서 농업노동에 참여한 노인보다 농업노동을 하지 않았던 노인에게 더 많이 지출되었다. 노인 1인당 차액은 연령집단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는데 생계지원비는 113,959~361,132원, 의료지원비는 15,644~51,418원이었다. 둘째, 노인의 농업노동 참여여부는 65~74세, 75~84세 연령집단의 생계비 지출에, 65~74세 연령집단의 의료지원비 지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년기 농업노동 참여에 따른 한 해 사회복지비용 절감액을 산출한 결과, 2003년도 기준 1304억원이었다.

사회인지론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 이샛별;정유리;안효진;안민지;유수아;강남이;오세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5-177
    • /
    • 2015
  • Objectives: Based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children, we develope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ccording to effective use in social welfare centers. Methods: We conducted in-depth group interviews to assess program needs in 28 participants, 10 low-income school-aged children and 9 of their care givers, 9 social workers and 9 care-givers. Theoretical backgrounds of our program were heath belief model and social cognitive theory considering motivation, action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study, we developed major program themes and contents. Five selected key themes were 'balanced diet', 'processed food', 'food hygiene and safety', 'Korean healthy traditional diet', and 'family cooking' to induce changes in dietary behaviors. Main findings of in-depth group interviews included 'child's active participation',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message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such as a lack of child care at home, limited budget of social welfare centers, and less qualified educators for nutrition and health. Each lesson was constructed as a 1-hour program particularly emphasizing activity-based programs, including cooking and teamwork exercises. Program contents in each session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could induce outcome and value expectations,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nd cues to actions regarding diet behavior. Conclusions: We develope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that is rarely available for low-income children in Korea, considering theoretical bas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our program.

아파트 유·무인 경비시스템의 경제성 비교 연구: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용성 제고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conomical Efficiency in Apartment Security System: Focused on a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 하재룡;이광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7-36
    • /
    • 2014
  • 본 연구는 2015년부터 감시 단속적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 100%가 적용되면서 아파트 관리비 인상의 부담으로 인해 경비체계를 유인화 시스템에서 무인화 시스템으로 바꾸거나 경비원의 인력을 대폭 감소시키려는 아파트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아파트 경비의 유 무인화에 대한 경제성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비용 편익분석을 통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아파트 유 무인 경비시스템의 경제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무인경비 시스템의 비용 편익 비율은 최소값의 경우 1.66%와 최대값의 경우 1.30%의 편익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인경비 시스템의 비용 편익 비율은 최소값의 경우 1.42%와 최대값의 경우 1.66%의 편익이 발생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아파트 경비시스템 체계를 유인시스템에서 무인시스템으로 변경할 경우 경제적으로 큰 효용성을 얻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특히 최대값의 경우 오히려 무인경비 시스템 보다 유인경비 시스템의 경제적 효용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