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correlation

검색결과 5,848건 처리시간 0.037초

Expression Levels of Tetraspanin KAI1/CD82 in Breast Cancers in North Indian Females

  • Singh, Richa;Bhatt, Madan Lal Brahma;Singh, Saurabh Pratap;Kumar, Vijay;Goel, Madhu Mati;Mishra, Durga Prasad;Srivastava, Kirti;Kumar, Rajend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431-3436
    • /
    • 2016
  • Background: Carcinogenesis is a multifaceted intricate cellular mechanism of transformation of the normal functions of a cell into neoplastic alterations. Metastasis may result in failure of conventional treatment and death Hence, research on metastatic suppressors in cancer is a high priority. The metastatic suppressor gene CD82, also known as KAI1, is a member of the transmembrane 4 superfamily which was first identified in carcinoma of prostate. Little work has been done on this gene in breast cancer. Herein, we aimed to determine the gene and protein level expression of CD82/KAI1 in breast cancer and its role as a prognosticato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83 histologically proven cases of breast cancer and a similar number of controls were included. Patient age ranged from 18-70 years.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 PCR)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were used to investigate KAI1 expression at gene and protein levels,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o correlate expression of KAI1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i) KAI1 was remarkably diminished in metastatic vs non metastatic breast cancer both at the gene and the protein levels (P < .05); (ii) KAI1 expression level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NM staging, histological grade and advanced stage (p<0.001) and no association was found with any other studied parameter; (iii) Lastly,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xpression of KAI1 and overall median survival of BC patients (P = 0.04).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lack of expression of the KAI1 might indicate a more aggressive form of breast cancer. Loss of KAI1 may be considered a significant prognostic marker in predicting metastatic manifestation. When evaluated along with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actors, KAI1 expression may be beneficial to tailor aggressive therapeutic strategies for such patients.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upon Missing Tooth of some Industrial Workers)

  • 문선정;이명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0-379
    • /
    • 2011
  •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향후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할 수 있는 구강 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북 구미시에 소재하는 49개 산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7,185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 4인이 산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인공조명하에서 치경과 핀셋, 탐침,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검사를 실시한 후 결손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결손치에 영향을 미치는 문항은 구강검진문진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구강검사결과통보서 7,185개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209개를 제외한 6,976개의 자료를 SPSS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층이 높은 경우, 치석제거를 받지 않은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과거에 흡연을 했거나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경우, 양치횟수가 적은 경우, 치아가 욱신한 경우, 잇몸에 통증 및 출혈과 혀 및 뺨이 욱신한 경우에 결손치율은 높았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결손치의 원인인 치면세균막과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스켈링의 유효성을 인지시켜, 스켈링의 경험률을 높여주고, 금연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진을 통한 충분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유지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정량적 전산화단층촬영법(QCT)과 정량적 초음파법(QUS)에 의한 골밀도측정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ccess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Quantitative Ultrasound)

  • 김기범;안성민;이귀원;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98-203
    • /
    • 2011
  • 24~69세의 일반검진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시 최근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QCT와 QUS에 따른 BMD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QCT와 QUS에 의한 골밀도의 측정값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성별에 따른 측정방법간의 차이에서 여성에서는 QUS에 의한 검사방법에서 T-score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나이에 따라서는 4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범위(p<0.05)에서 T-score의 차이가 있었다. 키 및 몸무게에 따른 차이에서는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BMI값이 22.9이하 그룹에서는 QCT로 검사시 T-score가 유의하게(p<0.05) 낮게 측정되었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검사방법에 따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골밀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환자의 성별, 나이, 키 및 BMI에 따라서 측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에는 여러 검사방법 등을 통하여 정확한 자료를 얻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안경 안면각 변화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n Variation of Face Form Angle of Eyewear)

  • 고다영;김기홍;이동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7-484
    • /
    • 2015
  • 목적: 안경테의 안면각의 크기 변화가 시력 및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면각이 $25^{\circ}$$5^{\circ}$인 검안테를 각각 착용하여 시력, 대비감도, 사위 및 입체시를 측정하였고, 자각적 증상은 설문조사를 하였다. 여기에는 안질환이 없는 성인 30명(남자 14명, 여자 16명, 평균연령 $25.46{\pm}3.9$세)이, 굴절이상자는 완전교정 한 후, 실험의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결과: 안면각이 $5^{\circ}$일 때 보다 $25^{\circ}$일 때 시력과 대비감도가 감소하였고, 사위도는 내사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체시는 안면각이 $5^{\circ}$일 때 보다 $25^{\circ}$일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안면각이 큰 경우, 대상자들의 굴절이상도가 높을수록 글자가 흐리거나 어지럽거나 눈이 아프다는 등의 자각적 증상의 증가가 심해지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두 요소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 안면각이 큰 경우 시력과 대비감도 및 입체시가 감소하고 사위도는 내사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안면각의 변화가 시력과 시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아에서 심장 주기 시간 변화에 따른 조직 도플러 지표들의 변화양상 (Variation of parameters according to cardiac cycle length, evaluated by TDI in children)

  • 이창현;김재광;진형승;박기영;김봉선;한명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39-345
    • /
    • 2009
  • 목 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에서 고식적 심초음파와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지표들의 심장 주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 2006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강릉아산병원에서 심장초음파를 시행한 해부학적으로 정상 심장을 가진 총 18명의 소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첨 4방 단면도에서 이완기 승모판 유입 최고 혈류 속도 E, A와 승모판륜의 외측 끝단 및 심실 중격 끝단에서 조직 도플러 영상으로부터 s',e',a'과 함께 각각의 심장 주기 시간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연속된 6-18 심장 주기 동안 이루어졌으며, 심장 주기 길이와 각 지표들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평균 나이는 $3.6{\pm}0.5$세(남:여=8:10)이었다. 심장 주기 시간과 Lat s', Lat a', Sep s', Sep e', Sep a'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심장 주기 시간과 E/A, Lat e'/a', Sep e'/a'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그러나 E, Lat e'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229, 0.221). 결 론 : 본 연구로 심장 주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좌심실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정상치를 결정함에 있어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NS addictio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권명진;김지현;정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05-4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beta}=.265$, p<.001), SNS 사용시간(${\beta}=.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ors of emtional intelligence, humor sense, and ego resilience on adjustment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박성희;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56-26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까지였고, 최종 40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24{\pm}.4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년(t=2.687, p<.001), 연령(F=3.187, p=.042), 성적(F=18.551, p<.001), 전공만족(F=61.347, p<.001), 교우관계(F=28.27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감성지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은 감성지능(r=.421, p<.001), 유머감각(r=.360, p<.001), 자아탄력성(r=.418,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t=-5.241, p<.001), 성적(t=3.833), p<.001), 전공만족(t=6.768, p<.001), 교우관계(t=2.923, p=.014), 감성지능(t=2.674, p=.008), 자아탄력성(t=4.345,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1.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의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유치원 아동의 영양섭취실태와 성장발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er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Daily Food Intakes and Growth Rate of Kindergarden Children)

  • 이종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1호
    • /
    • pp.51-59
    • /
    • 197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passible correlations between the growth rate and daily food intakes of two hundreds E and Y kindergarden children in Seoul, Korea. The subjects adapted in this study were 5-year-old boys and girls and their physical growth index was calculated by means of body weight and height. Dietary survey was performed by recording all the foods taken at daily basis for six da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iving circumstances of the subjects. a) In most cases, subjects had two to three brothers and sisters. b) About 39% of boys were brought up by cow's milk and 34%, by mined nourishment with mother's milk and cow's milk, while approximately 40% of the girls were brought up by mother's milk and 37%, by mixed one. Of the whole subjects, 70% were weaned at the age of $7{\sim}18$ months. c) Fruit juices were introduced to children at about 3 months old in 40% of the subjects. d) Approximately 60% of the children had their meals regularly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had irregularlity in their meal, mainly because of excess consumption of snacks. e) About $20{\sim}40%$ of total income of sampled families were spent for foods. f) The most favorate main dish was steamed rice, other favorate foods were beef and pickled cabages for boys, and ham and dried laver for girls. The least favorate foods for both sexes were oyster, shellfish and various vegetabes. Fruits, juice, milk, and ice cream are more popular snacks among children. 2. Nutrition survey a) Insufficient caloric intakes were shown in both sexes, comprising 90% of daily recommended dietary allowences for boys and only 75% for girls. Iron intake was strikengly low, reaching only 62% of R.D.A. for boys and 72% for girls. b) The total caloric intake was composed of CHO 62%, protein 18%, and fat 21% respectively. c) The consumption of animal protein comprises 55% of total protein intake. d) The cereal consump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the level of 43%. e) When the total caloric intake was divided into each meal and snack, snack took the highest part in any other meal. Each figure showed as follow; breakfast 21%, lunch 27%, supper 22% and Snack 30% for boys, and 23%, 22%, 25% and 30% for girls, respectively. 3.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a)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rate and the caloric intake of the subjects at the level of 0.050.01.

  • PDF

Effects of Dietary Attitudes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Nurses in Kyungnam Province

  • Bae, Ji-Hyun;Youn, Hyun Sook;Choi, Yun Youn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247-253
    • /
    • 2004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attitudes on nutritional status of nurses living in Kyungnam province. A total of 249 muses working at hospitals in the Kyungnam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attitudes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nutrient intakes were examined using one day 24-hour recall method from November 14 to December 20, in 2001. The data of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and then the diet quality was estimated using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high score group (17.3 %), medium score group (54.2%), and low score group (28.5%) based on dietary attitude sco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verage age of subjects was 27.1 years old, average nursingexperience was 5.7 years, and 70.7% of the subjects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The rate of shift work (45.4%) and non-shift work (54.6%) were similar. The average score on dietary attitudes in thehigh score group was 78.8, and those in he medium score group and in the low score group were 58.6 and 40.8 out of 100 points respectively. The average intake of energy (p < 0.001), carbohydrate (p < 0.001), protein (p < 0.05), animal protein (p < 0.01), animal fat (p < 0.05), vitamin $B_1$ (p < 0.01), vitamin $B_2$ (p < 0.0l), niacin (p < 0.001), Ca (p < 0.001), Fe (p < 0.001), animal Fe (p < 0.01), P (p < 0.001), and crude fiber (p < 0.00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score group than those in the medium score group and low score group. In the high score group, the average intake of protein, vitamin $B_1$, niacin, vitamin C and P were above 125% of the Korean RDA, and in medium score group, those of vitamin C and P, and in low score group, that of vitamin C were above 125% of the Korean RDA. In the high score group, nutrient of intake below 75% of the Korean RDA was Ca, and those in medium score group were vitamin $B_2$, Ca, and Fe, and those in low score group were energy, vitamin $B_2$, Ca and Fe. The intake ratio of Ca and P showed an unbalanceof 1:2, and that of animal protein/plant protein, and that of animal fat/plant fat were high (1.45-1.64) in all group;. The dietary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p < 0.00l) with nutrition intake except vitamin A and vitamin C.

수량화II류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의 평가 (Evaluation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s through Quantification Method II)

  • 김현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37-444
    • /
    • 2008
  •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내에서 휴양지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산림휴양기능의 평가를 시도하였다. 청옥산 자연휴양림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표준지 173개 소반을 추출하여 수량화II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외적기준은 산림휴양 효용의 정도를 전문가로부터 부여받았고, 설명변수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대상지의 산림휴양자원을 고려하여 임상, 임령, 경사, 수변, 도로, 시설의 6인자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절대판별적중률은 제 1 2상관비 축에서 각각 82%, 75%로서 예측 가능한 판별 정도(精度)를 얻었다. 요인으로서는 도로와 경사가 산림휴양기능의 잠재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카테고리에 있어서는 도로가 있는 것이, 경사는 낮을수록 산림휴양기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옥산 자연휴양림의 소반별 산림휴양기능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지에서의 예측식을 사용하여 산림휴양효용의 정도를 나타내는 종합점수를 구한 다음, 판별구분점에 의하여 높다(H), 보통(M), 낮다(L)로 3구분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분포를 나타내는 평가도를 작성하였다. 수량화라는 형식을 매개로 하여 산림휴양의 효용의 정도에 관한 현실의 직관적 경험적 종합판단을 평가인자와 카테고리가 개입된 분석적 판단으로 변환하고 있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