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ccess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Quantitative Ultrasound

정량적 전산화단층촬영법(QCT)과 정량적 초음파법(QUS)에 의한 골밀도측정 비교

  • 김기범 (가천의과학대학교 방사선학과) ;
  • 안성민 (가천의과학대학교 방사선학과) ;
  • 이귀원 (동남보건대학 방사선과) ;
  • 김성철 (가천의과학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1.04.22
  • Accepted : 2011.05.16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The BMD difference depending on QCT and QUS, whose usages are recently being increased for the test of BMD, was accessed for 106 subjects of a general health examination who were aged between 24~69 year-old and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The measured value of BMD by QCT and QU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general (p>0.05). In terms of th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measurement methods depending on sexes, the female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low T-score in the test made through QUS (p<0.05). Depending on ages, there was T-score difference among the subjects aged more than 40 year-old within significant range (p<0.05). When it came to the effect depending on heights and on weights, no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 a group with less than 22.9 of BMI value, the T-score was measured significantly low when testing it through QCT while other groups were not affected by any testing methods. Likewise, it may require a different measurement method when it comes to the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depending on sex, age, height, and BMI among patients. Thus, it suggests obtaining accurate data by conducting various testing methods in case of a special occasion.

24~69세의 일반검진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시 최근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QCT와 QUS에 따른 BMD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QCT와 QUS에 의한 골밀도의 측정값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성별에 따른 측정방법간의 차이에서 여성에서는 QUS에 의한 검사방법에서 T-score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나이에 따라서는 4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범위(p<0.05)에서 T-score의 차이가 있었다. 키 및 몸무게에 따른 차이에서는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BMI값이 22.9이하 그룹에서는 QCT로 검사시 T-score가 유의하게(p<0.05) 낮게 측정되었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검사방법에 따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골밀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환자의 성별, 나이, 키 및 BMI에 따라서 측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에는 여러 검사방법 등을 통하여 정확한 자료를 얻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R. Mazess, B. Collik, J. Trempe, H. Barden, and J. Hanson, "Performance evaluation of dual-energy X-ray bone densitometer," Calig Tissue Int, Vol.44, pp.228-232, 1988. https://doi.org/10.1007/BF02556569
  2. R. Pacific, R. Rupich, M. Griffin, A. Chines, N. Susman, and L. V. Aviolo, "Dual energy radiography versus quantitative computer to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 Clin Endocrinal and Metab, pp.705-710, 1990. https://doi.org/10.1210/jcem-70-3-705
  3. 정금희, 양순옥, 백성희, "중년여성의 정량적 초음파(Quantitative Ultrasound)로 측정한 골다공증 정도와 위험인자", 류마티스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9-47, 2005.
  4. 양승오, 신중우, 신명진, 이상일, 최윤영, 류진숙, 이희경, "포스터연제: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으로 측정한 골밀도와 정량적 초음파측정법으로 측정한 변수와의 상관관계", 핵의학분자영상, 제30권, 제2호, pp.270, 1996.
  5. M. E. Arlot, E. Sornay-Rendu, P. Garnero, B. Vey-Marty, and P. D. Delmas, "Apparent pre-and postmenopausal bone loss evaluated by DXA at different skeletal sites in woman:the OFELY cohort," J Bone Miner Res, Vol.12, pp.683-690, 1997. https://doi.org/10.1359/jbmr.1997.12.4.683
  6. 정인철, 박윤경, 강영화, 곽현성, 김현정, 최세경, 조현희,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측정 시 기기간 골밀도 값 비교와 표준화", 대한폐경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92-199, 2007.
  7. 보건복지부, "2005년 건강증진사업", pp.557, 2005.
  8. 하용찬, "골다공증 역학 및 사회적 손실비용", 대한골절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14-120, 2011.
  9. C. Cooper, G. Campion, and L. J. Melton,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A world-wide projection,"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2, No.6, pp.285-289, 1992. https://doi.org/10.1007/BF01623184
  10. 권덕문, "골밀도 측정에 관한 고찰",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12, 1994.
  11. 정재윤, 정성택, 전용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EXA)과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법(QCT)에 의한 요추부 골밀도 비교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31권, 제3호, pp.440-446, 1996.
  12. 한인권, 이득주, 이은주, "여성에서의 DEXA와 pQCT로 측정한 골밀도의 비교분석", 대한골대사학회지, 제1권, 제1호, pp.55-60, 1994.
  13. 임청환, 한범희, 이상호, 라길수, "동일개체에서 DXA와 QCT의 L-spine BMD 비교", 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4호, pp.349-354, 2010.
  14. G. Guglielmi, G. M. Giannatempo, A. Scillitani, I. Chiodini, A. Liuzzi, and M. Cammisa, "QUS, QCT and DXA in Healthy, Postmenopausal and Osteoporotic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6, No.1, pp.207, 1996. https://doi.org/10.1007/BF02500364
  15. 조은미, 김진영, 배상욱, 박기현, "골다공증환자에서 초음파와 DEXA골밀도와의 상관관계", 대한폐경회지, 제3권, 제2호, pp.171-177, 1997.